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심리부검에 대한 고찰과 제언 = Recommendation for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1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sychological autopsy is a method to estimate causes of suicidal death by collecting data from interviewing suicide victim’s family added with additional life records. Recently, local governments and suicide prevention centers have been trying to implement psychological autopsy. but there is paucity of efforts examining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sychological autopsy. Therefore, this paper reviewed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and risk factors in Western and Asia countries. and then a methodology for the Korean version of psychological autopsy was suggested. After investigating the specific risk factors for korean suicide through psychological autopsy, then it can be possible to grasp the intervention point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We als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psychological autopsy study and interventions in Korea.
      번역하기

      The psychological autopsy is a method to estimate causes of suicidal death by collecting data from interviewing suicide victim’s family added with additional life records. Recently, local governments and suicide prevention centers have been trying t...

      The psychological autopsy is a method to estimate causes of suicidal death by collecting data from interviewing suicide victim’s family added with additional life records. Recently, local governments and suicide prevention centers have been trying to implement psychological autopsy. but there is paucity of efforts examining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sychological autopsy. Therefore, this paper reviewed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and risk factors in Western and Asia countries. and then a methodology for the Korean version of psychological autopsy was suggested. After investigating the specific risk factors for korean suicide through psychological autopsy, then it can be possible to grasp the intervention point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We als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psychological autopsy study and interventions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심리부검이란 주변인의 진술과 기록을 통해 자살자의 심리행동 양상을 파악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심리부검은 자살의 원인을 통합적으로 밝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국내에서도 각 지자체와 지역사회 자살예방센터를 중심으로 확대 실시되고 있으나 다양한 실행주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심리부검의 타당성과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살률 감소를 위한 장기 정책 목표를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실시된 심리부검의 절차, 심리부검에 포함할 내용, 선행 연구결과를 검토한 후, 향후 심리부검을 실시할 때 고려할 점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심리부검이란 주변인의 진술과 기록을 통해 자살자의 심리행동 양상을 파악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심리부검은 자살의 원인을 통합적으로 밝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심리부검이란 주변인의 진술과 기록을 통해 자살자의 심리행동 양상을 파악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심리부검은 자살의 원인을 통합적으로 밝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국내에서도 각 지자체와 지역사회 자살예방센터를 중심으로 확대 실시되고 있으나 다양한 실행주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심리부검의 타당성과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살률 감소를 위한 장기 정책 목표를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실시된 심리부검의 절차, 심리부검에 포함할 내용, 선행 연구결과를 검토한 후, 향후 심리부검을 실시할 때 고려할 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룡, "한국형 심리적 부검 프로토콜 활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2 서종한, "한국 자살사망자 특징: 사례-대조 심리적 부검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23-344, 2012

      3 충청남도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충남 자살자 심리사회적 원인조사(부검)와 유가족 지원사업보고서" 충청남도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2014

      4 권호인, "청소년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방법론에 대한 고찰"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5 (25): 121-127, 2014

      5 보건복지가족부,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 보건복지가족부 2008

      6 생명의 전화, "자살자 심리부검과 사후예방 접근 방법 연구" 생명의 전화 2010

      7 문국진, "자살의 증명과 심리부검" 15 (15): 1-13, 1991

      8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예방기본계획" 한국자살예방협회 2011

      9 이구상, "자살사망자의 축약 심리적 부검에 관한 연구" 3 (3): 18-24, 2012

      10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사망자 심리적 부검 및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서비스 구축방안" 한국자살예방협회 2009

      1 이창룡, "한국형 심리적 부검 프로토콜 활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2 서종한, "한국 자살사망자 특징: 사례-대조 심리적 부검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23-344, 2012

      3 충청남도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충남 자살자 심리사회적 원인조사(부검)와 유가족 지원사업보고서" 충청남도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2014

      4 권호인, "청소년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방법론에 대한 고찰"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5 (25): 121-127, 2014

      5 보건복지가족부,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 보건복지가족부 2008

      6 생명의 전화, "자살자 심리부검과 사후예방 접근 방법 연구" 생명의 전화 2010

      7 문국진, "자살의 증명과 심리부검" 15 (15): 1-13, 1991

      8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예방기본계획" 한국자살예방협회 2011

      9 이구상, "자살사망자의 축약 심리적 부검에 관한 연구" 3 (3): 18-24, 2012

      10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사망자 심리적 부검 및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서비스 구축방안" 한국자살예방협회 2009

      11 제영묘, "자살과 정신 장애"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0 (10): 3-10, 2004

      12 정상혁, "우리나라 자살의 사회․경제적 비용부담에 관한 연구" 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1-128, 2005

      13 이만석, "심리적 부검을 통한 전북지역 자살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1 (21): 119-130, 2015

      14 도순원, "심리부검의 의의와 사례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2

      15 신성원, "심리부검 연구의 실무적 활용 및 윤리적 고려사항" 1 (1): 231-252, 2005

      16 전충현, "군자살자의 자살원인에 대한 효과적인 심리부검 적용 방안" 한국과학수사학회 6 (6): 79-91, 2012

      17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자살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61-82, 2011

      18 뉴시스, "“법원, 자살사건에 첫 ‘심리적 부검’… 업무상 재해 인정"

      19 WHO, "World report on violence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20 Joiner, T. E. J., "Why People Die by Suicid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21 Henry, "Therapeutic effect of psychological autopsies; The impact of investigating suicide on interviewees" 30 : 20-24, 2009

      22 Weisman, A. D., "The realization of death: A guide for the psychological autopsy" Behavioral Publications 1974

      23 Hawton, K., "The psychological autopsy approach to studying suicide : A review of methodological issues" 50 : 269-276, 1998

      24 Conner, K, R., "The next generation of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Part II. Interview procedures" 42 : 86-103, 2011

      25 Conner, K, R., "The next generation of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Part I. Interview content" 41 : 594-613, 2011

      26 Gunnell, D., "The global distribution of fatal pesticide self-poisoning : systematic review" 7 : 357-395, 2007

      27 Rehkopf, D. H., "The association between suicide an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areas : A Systematic Review" 2 : 145-157, 2006

      28 Boardman, A. P., "The North Staffordshire suicide study : A case-control study of suicide in one health district" 29 : 27-33, 1999

      29 Joiner, T.,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indicates specific and crucial psychotherapeutic targets" 1 : 80-89, 2008

      30 Mann, J. J.,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 a systematic review" 294 : 2064-2074, 2005

      31 Isometsä, E. T., "Suicide in major depression" 151 : 530-536, 1994

      32 Hawton, K., "Suicide in female nurses in England and Wales" 32 : 239-250, 2002

      33 Chen, Y. Y., "Suicide in Asia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34 : 129-144, 2012

      34 Wei, K. C., "Suicide in Asia" 20 : 434-440, 2008

      35 Pirkis, J., "Suicide and recency of health care contacts; A systematic review" 173 : 462-474, 1998

      36 Yoshimasu, K., "Suicidal risk factors and completed suicide : meta-analyses based on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13 : 243-256, 2008

      37 Brent, D. A., "Suicidal behavior runs in families : A controlled family study of adolescent suicide victims" 53 : 1145-1152, 1996

      38 Goldstein, B. I., "Substance use and the treatment of resistant depression in adolescents" 48 : 1182-1192, 2009

      39 Robins, E., "Some clinical considerations in the prevention of suicide based on a study of 134 successful suicides" 49 : 888-899, 1959

      40 Neimeyer, R. A.,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meaning: Grief therapy and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24 : 541-558, 2000

      41 Foster, T., "Risk factors for suicide independent of DSM-III-R axis I disorder" 175 : 175-179, 1999

      42 Phillips, M. R., "Risk factors for suicide in China : A national case-control psychological autopsy study" 360 : 1728-1736, 2002

      43 NIMH, "Research on reduction and prevention of suicidality"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3

      44 Runeson, B., "Reactions of Survivors of Suicide Victims to Interviews" 83 : 169-173, 1991

      45 Cheng, A. T. A., "Psychosocial and psychiatric risk factors for suicide : Case-control psychological autopsy study" 177 : 360-365, 2000

      46 Cavanagh, J. T. O.,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of suicide : a systematic review" 33 : 395-405, 2003

      47 Isometsä, E. T.,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A Review" 16 : 379-385, 2001

      48 WHO, "Preventing suicide; A global imperat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49 Kubler-Ross, E., "On Grief and grieving: Finding meaning of grief through the five stages of loss" Scribner 2005

      50 WHO, "Mental health—country reports and charts available"

      51 Hirokawa, S., "Mental disorders and suicide in Japan : A Nation-wide psychological autopsy case-control study" 140 : 168-175, 2012

      52 Henriksson, M. M., "Mental disorders and comorbidity in suicide" 150 : 935-940, 1993

      53 Brown, G. W., "Loss, humiliation and entrapment among women developing depression : A patient and non-patient comparison" 25 : 7-21, 1995

      54 Cavanagh, J. T., "Life events in suicide and underestimated death in South-East Scotland : A case-control study using the method of psychological autopsy method" 29 : 1141-1149, 1999

      55 Bartol, C. R., "Introduction to Forensic Psychology: Research and Application" SAGE Publication 2004

      56 Gilewski M. J., "Interaction of depression and bereavement on mental health in the elderly" 67-75, 1991

      57 Lehtinen, V., "Integrating mental health services : the Finnish experience" 1 : 1-7, 2001

      58 Runeson, B., "Family history of suicide among suicide victims" 160 : 1525-1526, 2003

      59 Hakanen J., "Evaluation strategy for Finland’s suicide prevention project" 17 : 167-174, 1996

      60 Mitchell, A. M.,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suicide survivors : A comparison of close and distant relationships" 23 : 2-10, 2009

      61 Luoma, J. B., "Contact with mental health and primary care providers before suicide : a review of the evidence" 159 : 909-916, 2002

      62 Kim, S. Y., "Comparative epidemiology of suicide in South Korea and Japan: effects of age, gender and suicide methods" 32 : 5-14, 2011

      63 Shneidman, E. S., "Autopsy of a Suicidal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64 Clark, D. C.,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uicide" Guilford Press 144-182, 1992

      65 Kong, Y., "Access to farming pesticides and risk for suicide in Chinese rural young people" 30 : 217-221, 2010

      66 Barraclough, B., "A hundred cases of suicide : Clinical aspects" 12 : 355-373, 1974

      67 중앙심리부검센터, "2015년 심리부검 결과보고서" 보건복지부 2015

      68 부산광역자살예방센터, "2014 자살예방의 날 기념 자살예방개입전략세미나 자료집" 부산광역자살예방센터 2014

      69 보건복지부, "2013년 자살실태조사 요약보고서" 보건복지부 2014

      70 통계청, "(2002-2015).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