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감자의 출소 후 가족복귀 경험에 관한 교정기관 상담자의 인식 = An Qualitative Study on Correctional institution Counselors’ Perception of Ex-Offender’s Experience regarding Reintegration into Fami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16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amily reunion of the ex-offenders. To this end, Korea Rehabilitation Agency under Ministry of Justice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conducted intensive interviews with ex-offenders, their families and with 8 counselors who are in charge of ex-offenders and their families’ residential,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upport.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CO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 counselors found out that most of ex-offenders had experienced unhappy childhood which was lack of healthy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Secondly, counselors noticed a common feature among the families of ex-offenders. The common feature was that they keep the fact that one of their parents was imprisoned to their children as a secret. Thirdly, through the data analysis, counselors could understan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reunion of ex-offenders’ families: the factors that helped successful reunion were ex-offenders’ sense of responsibility, open and healthy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mutual understanding of being a good family member, whereas, irresponsible dependance to other family members, denier and avoidance from the family members against ex-offenders, and lost sense of being a family member were the factors that discouraged the reunion. It turned out that the kinds of crime that ex-offenders committed also affected family reunion. The processes of reunion were easier for those who served their time with fraud, embezzlement, whereas, it was much more challenging for those who served their time with rape, violence, or murder. Fourthly, counselors learned that “relaxation” is the key factor in the process of reunion of ex-offenders’ families. They also emphasized that there should be thorough monitoring process before the intervention in the reunion process. This study contributes in terms of finding healthy ways of intervention with ex-offenders’ families and developing programs that help ex-offenders to recover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amily reunion of the ex-offenders. To this end, Korea Rehabilitation Agency under Ministry of Justice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conducted intensive interviews with ex-offenders, their families and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amily reunion of the ex-offenders. To this end, Korea Rehabilitation Agency under Ministry of Justice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conducted intensive interviews with ex-offenders, their families and with 8 counselors who are in charge of ex-offenders and their families’ residential,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upport.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CO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 counselors found out that most of ex-offenders had experienced unhappy childhood which was lack of healthy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Secondly, counselors noticed a common feature among the families of ex-offenders. The common feature was that they keep the fact that one of their parents was imprisoned to their children as a secret. Thirdly, through the data analysis, counselors could understan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reunion of ex-offenders’ families: the factors that helped successful reunion were ex-offenders’ sense of responsibility, open and healthy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mutual understanding of being a good family member, whereas, irresponsible dependance to other family members, denier and avoidance from the family members against ex-offenders, and lost sense of being a family member were the factors that discouraged the reunion. It turned out that the kinds of crime that ex-offenders committed also affected family reunion. The processes of reunion were easier for those who served their time with fraud, embezzlement, whereas, it was much more challenging for those who served their time with rape, violence, or murder. Fourthly, counselors learned that “relaxation” is the key factor in the process of reunion of ex-offenders’ families. They also emphasized that there should be thorough monitoring process before the intervention in the reunion process. This study contributes in terms of finding healthy ways of intervention with ex-offenders’ families and developing programs that help ex-offenders to recover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담자의 눈을 통해 성인출소자의 출소 후 가족 관계 회복 과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법무부 산하의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서울, 인천, 부산, 대구, 경남 지부 및 법무보호복지공단과 가족상담 연계 서비스를 진행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출소자와 그 가정을 대상으로 숙식 및 주거 지원, 심리 지원, 자녀 학업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상담 전문가 8명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자들은 대부분의 출소자들이 가족이 부재한 어린 시절을 보내며 부모와의 유대나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구조적․기능적 결손을 경험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상담자가 인식한 출소자의 가족, 즉 배우자와 자녀의 전형적인 특징은 자녀에게 부모의 수감사실을 숨기는 가족의 비밀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상담자들은 가족에 대하여 출소자가 갖는 책임감, 가족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가족 복귀의 성공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가족에 대한 의존심, 출소자에 대한 가족의 거부와 회피,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존재감 상실을 가족 복귀의 실패요인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강간이나 알코올 중독, 폭력, 살인 등에 비해 횡령, 사기 등과 같은 경제사범들의 가족복귀가 비교적 원활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출소자의 가족 관계 회복을 위한 상담 및 심리지원에 있어 상담자들은 휴식의 개념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출소자 및 그 가족에 대한 개입을 실시하기 전에 철저한 스크리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출소자 및 그 가정에 대한 심리적․상담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출소자의 가정 복귀 및 가족 관계 회복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상담자의 눈을 통해 성인출소자의 출소 후 가족 관계 회복 과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법무부 산하의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서울, 인천, 부산, 대구, 경남 지부 ...

      본 연구는 상담자의 눈을 통해 성인출소자의 출소 후 가족 관계 회복 과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법무부 산하의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서울, 인천, 부산, 대구, 경남 지부 및 법무보호복지공단과 가족상담 연계 서비스를 진행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출소자와 그 가정을 대상으로 숙식 및 주거 지원, 심리 지원, 자녀 학업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상담 전문가 8명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자들은 대부분의 출소자들이 가족이 부재한 어린 시절을 보내며 부모와의 유대나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구조적․기능적 결손을 경험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상담자가 인식한 출소자의 가족, 즉 배우자와 자녀의 전형적인 특징은 자녀에게 부모의 수감사실을 숨기는 가족의 비밀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상담자들은 가족에 대하여 출소자가 갖는 책임감, 가족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가족 복귀의 성공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가족에 대한 의존심, 출소자에 대한 가족의 거부와 회피,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존재감 상실을 가족 복귀의 실패요인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강간이나 알코올 중독, 폭력, 살인 등에 비해 횡령, 사기 등과 같은 경제사범들의 가족복귀가 비교적 원활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출소자의 가족 관계 회복을 위한 상담 및 심리지원에 있어 상담자들은 휴식의 개념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출소자 및 그 가족에 대한 개입을 실시하기 전에 철저한 스크리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출소자 및 그 가정에 대한 심리적․상담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출소자의 가정 복귀 및 가족 관계 회복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연, "효율적인 갱생보호사업의 방향-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23 : 185-219, 2004

      2 이운안, "출소전후 취업 및 창업지원 연계필요성" 59-62, 2010

      3 김동언, "출소자의 출소 후 사회복귀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보호감호 경험자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7

      4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가족지원(복지)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4 (14): 153-180, 2015

      5 이동훈,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전문가의 인식" 한국가족복지학회 20 (20): 449-480, 2015

      6 남재성, "출소자들의 경험을 통해서 본 수형자 처우의 현실" 13 (13): 61-88, 2007

      7 류석진, "출소자 가정복귀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 주거지원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재활심리학회 23 (23): 469-490, 2016

      8 이동훈,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모델 정립과 모델 유형에 따른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4

      9 이승은,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15 (15): 441-460, 2003

      10 양돈규,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원의 영향" 4 (4): 55-74, 1998

      1 정진연, "효율적인 갱생보호사업의 방향-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23 : 185-219, 2004

      2 이운안, "출소전후 취업 및 창업지원 연계필요성" 59-62, 2010

      3 김동언, "출소자의 출소 후 사회복귀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보호감호 경험자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7

      4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가족지원(복지)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4 (14): 153-180, 2015

      5 이동훈,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전문가의 인식" 한국가족복지학회 20 (20): 449-480, 2015

      6 남재성, "출소자들의 경험을 통해서 본 수형자 처우의 현실" 13 (13): 61-88, 2007

      7 류석진, "출소자 가정복귀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 주거지원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재활심리학회 23 (23): 469-490, 2016

      8 이동훈,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모델 정립과 모델 유형에 따른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4

      9 이승은,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15 (15): 441-460, 2003

      10 양돈규,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원의 영향" 4 (4): 55-74, 1998

      11 고성혜, "청소년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5

      1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6

      13 최인섭, "전과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1-185, 1994

      14 이윤호, "전과자들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경험연구" 13 (13): 27-60, 2007

      15 이현희, "재범요인에 관한 인과적 분석 : 형벌과 사회적 결속" 한국교정학회 24 : 97-122, 2004

      16 장희숙, "재범요인과 범죄유형별 특성: 직업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남성 교도소 수형자 대상" 한국교정학회 39 : 163-190, 2008

      17 김승만, "장기수형자 처우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5

      18 김용수, "장기수용자가 지각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의 분석"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123-143, 2010

      19 김인숙, "여성출소자들의 재사회화에 관한 연구" (6) : 9-31, 1992

      20 최영신, "여성 출소자의 사회적응지원 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5-214, 2006

      21 김두섭, "여성 수형자의 수형 생활 실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22 이동훈, "아직도 가야 할 길: 출소자의 아내가 경험하는 삶의 도정(道程)"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2 (22): 223-261, 2016

      23 박선영, "수형자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공생의 사회구현 실행방안 연구" 2012

      24 김영식, "수형자 사회복귀 전환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51 : 7-41, 2011

      25 전영실, "수형자 가족관계 건강성 실태조사 및 향상방안 연구 : 2007년 법무부 연구용역 보고서" 법무부 여성정책과 2007

      26 송미애, "수용자가 지각하는 가족응집력과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지지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7 박선영, "수용자 자녀문제에 관한 미국과 영국의 사례분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270, 2012

      28 전영실, "수용자 가족방문 실태 및 그 효과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45 : 279-303, 2009

      29 신연희, "수용자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40 : 203-225, 2008

      30 이동훈,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삶과 가족관계 경험" 한국여성심리학회 21 (21): 81-108, 2016

      31 박수정, "성폭력수용자의 치료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2014

      32 정유희, "성별, 재범여부, 범죄유형에 따른 수형자의 NEO-PI-R 반응"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725-740, 2004

      33 주성진, "부모의 범죄성향이 자녀의 비행성향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34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보호대상자 지원사업 안내"

      35 조윤오, "범죄자 교정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재복역율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4 (14): 187-216, 2012

      36 이상현, "범죄심리학" 박영사 2004

      37 신연희, "기혼 여자재소자에 관한 연구 :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8 박철현, "교도소 재입소자의 재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1-203, 2000

      39 이민규, "교도소 수형자의 성격특성과 정신건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 (20): 77-90, 2006

      40 강은영, "경력범죄자의 성인초기 범죄지속과 중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41 홍봉선, "出所者 福祉增進과 更生保護事業의 活性化 方案" 한국교정학회 14 : 143-174, 2002

      42 Bloom, B., "Why Punish the Children?: A Reapraisal of the Children of Incarcerated Mothers in America" National Council on Crime and Delinquincy 1993

      43 Loeber, R., "Violence and serious theft: Development and prediction from childhood to adulthood" Taylor & Francis 2008

      44 Visher, E. B., "Therapy with stepfamilies" Routledge 2013

      45 Bahr, S. J., "The reentry process: How parolees adjust to release from prison" 3 (3): 243-265, 2005

      46 Zamble, E., "The process of recidiv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7 MacKenzie, D. L., "The impact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controls on the criminal activities of probationers" 39 (39): 243-276, 2002

      48 Mustin, J. W., "The family: A critical factor for corrections" Family Research Council of America 1989

      49 Eisner, E.,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Macmillan 1991

      50 Adams, D., "The effects of prison residents’ community contacts on recidivism rates" 1976

      51 Huebner, B. M., "The effect of maternal incarceration on adult offspring involvemen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35 (35): 283-296, 2007

      52 Farrington, D. P., "Saving children from a life of crime: Early risk factor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53 Johnston, J. R., "Research Update" 33 (33): 415-425, 1995

      54 Polkinghorne, D. E., "Reaction to special section on qualitative research in counseling process and outcome" 41 : 510-512, 1994

      55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Sage 1994

      56 Mills, A., "Prisoners’ families and offender management : Mobilizing social capital" 55 (55): 9-24, 2008

      57 Travis, J., "Prisoners once removed: The impact of incarceration and reentry on children, families, and communities" The Urban Institute 2003

      58 Glaser, P. E., "Pressure effects on postulated lunar materials" 4 (4): 335-352, 1964

      59 Kampfner, C. J., "Post-traumatic stress reactions in children of imprisoned mothers" 89-100, 1995

      60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People of Faith Mentoring Children of Promise: A Model Partnership Based on Service and Community"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2004

      61 Loper, A. B., "Parenting Programs for Incarcerated Parents : Curr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17 (17): 407-427, 2006

      62 Wilson, H., "Parental supervision re-examined" 27 (27): 275-301, 1987

      63 Murray, J., "Parental imprisonment : Effects on boys’ antisocial behaviour and delinquency through the life-course" 46 : 1269-1278, 2005

      64 Labouvie, E., "Maturing out of substance use: Selection and self-correction" 26 : 457-477, 1996

      65 Howser, J. F., "Maintaining family ties" 44 (44): 96-98, 1982

      66 이민식, "LSI-R을 이용한 성별·범죄유형별 재범유발요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157-187, 2009

      67 Bales, W. D., "Inmate social ties and the transition to society : Does visitation reduce recidivism?" 2008

      68 Simmons, T., "Households and Families, 2000 (Vol. 3)" US Department of Commerce, Economics and Statistics Administration, US Census Bureau 2001

      69 Naser, R. L., "Family support in the prisoner reentry process : Expectations and realities" 43 (43): 93-106, 2006

      70 Harm, N. J., "Families and Re-Entry Process" (21) : 1999

      71 Holt, N., "Explorations in inmate-family relationships" Research Division, California Department of Corrections 1972

      72 Roettger, M. E., "Examining racial variations in the associations of father’s history of incarceration with son’s delinquency and arrest in contemporary US society" National Center for Marriage Research 2009

      73 Baldry, E., "Ex-prisoners, housing and social integration" 16 (16): 13-, 2003

      74 Murray, J., "Evidence Based Programs for Children of Prisoners" 5 (5): 721-735, 2006

      75 Wolff, N., "Dynamics of social capital of prisoners and community reentry : Ties that bind?" 10 (10): 457-490, 2004

      76 Horney, J. D., "Criminal careers in the short term : Intra-individual variability in crime and its relation to local life circumstances" 60 (60): 655-673, 1995

      77 Sampson, R. J., "Crime in the Making: Pathways and Turning Points Through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78 Murray, J., "Crime in adult offspring of prisoners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two longitudinal samples" 34 (34): 133-149, 2007

      79 Farrell, D., "Correctional facilities : Prisoners’ visitation rights, the effect of Overton v. Bazetta and Lawrence v. Texas" 5 : 167-174, 2004

      80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An Update" 62 : 196-205, 2005

      81 Anderson, E., "Code of the Street" Norton 107-141, 1999

      82 Wright, J. P., "Association of prenatal and childhood blood lead concentrations with criminal arrests in early adulthood" 5 (5): ㄷ101-, 2008

      83 Hill, C. E.,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5 (25): 517-572,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