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재옥, "해외 귀국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 특성에 관한 연구:질적 분석을 통한 귀국 중학생들의 경험 파악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329-351, 2003
2 양영은,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189-224, 2010
3 이희정,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53-278, 2010
4 권이종, "학교 중도 탈락 학생의 진로 지도 방향" 49 : 9-34, 2009
5 "통일부"
6 김이섭, "통일독일의 현주소 - 교육과 청소년, 언론과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12 (12): 379-, 2004
7 금명자, "통일대비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Ⅰ" 한국청소년상담원 2003
8 이영란, "통일 이후 독일청소년 일탈문화에 대한 연구: 스킨헤드의 극우적 폭력실태를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23 (23): 123-159, 2007
9 김혜온, "통일 이후 구 동독지역 청소년들의 심리적 적응" 20 (20): 279-297, 1999
10 윤지혜, "탈북청소년의 외상 이후 성장(PTG) 체험연구 - 탈북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7 (17): 49-82, 2010
1 정재옥, "해외 귀국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 특성에 관한 연구:질적 분석을 통한 귀국 중학생들의 경험 파악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329-351, 2003
2 양영은,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189-224, 2010
3 이희정,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53-278, 2010
4 권이종, "학교 중도 탈락 학생의 진로 지도 방향" 49 : 9-34, 2009
5 "통일부"
6 김이섭, "통일독일의 현주소 - 교육과 청소년, 언론과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12 (12): 379-, 2004
7 금명자, "통일대비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Ⅰ" 한국청소년상담원 2003
8 이영란, "통일 이후 독일청소년 일탈문화에 대한 연구: 스킨헤드의 극우적 폭력실태를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23 (23): 123-159, 2007
9 김혜온, "통일 이후 구 동독지역 청소년들의 심리적 적응" 20 (20): 279-297, 1999
10 윤지혜, "탈북청소년의 외상 이후 성장(PTG) 체험연구 - 탈북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7 (17): 49-82, 2010
11 이향규, "탈북청소년의 물리적 경계경험과 공간에 대한 기억" 201-232, 2014
12 한만길, "탈북청소년의 교육 실태와 과제" 6 : 67-77, 2012
13 허은영, "탈북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비교" 한국상담학회 8 (8): 1485-1500, 2007
14 최보영, "탈북청소년 현장전문가가 인식하는 탈북청소년 상담 개입 방안"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497-525, 2013
15 한만길,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Ⅳ)" 한국교육개발원 2013
16 김지현, "탈북아동청소년을 위한 집단심리치료 Program 사례연구 : 놀이와 미술매체의 통합적 접근" 3 : 163-178, 2004
17 채정민,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과 진로의식 연구: 성적우수자를 중심으로" 2011
18 윤인진, "탈북과 사회 적응의 통합적 이해 : 국내 탈북자를 중심으로" 3 (3): 123-184, 2000
19 장창호, "탈북 청소년의 적응에 관한 사회사업적 고찰"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1
20 박윤숙,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의 관계" 한국사회학회 41 (41): 124-155, 2007
21 김희경, "탈북 청소년용 심리상태검사 개발 및 신뢰도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521-541, 2013
22 최명선, "탈북 아동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상담전략 모색" 한국놀이치료학회 9 (9): 23-34, 2006
23 김은정, "초등학생 학습양식 및 성별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학교 적응력 분석" 46 (46): 37-52, 2009
24 곽수란,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6, 2006
25 김경화, "중학생의 새터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89-111, 2012
26 전우택, "웰컴투코리아: 북조선사람들의 남한살이" 한양대학교출판부 440-466, 2005
27 최대헌, "세터민 아동청소년의 적응력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277-291, 2007
28 장문강,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다문화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 : 195-234, 2008
29 김형태, "새터민 청소년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49-74, 2008
30 노용구, "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 (48) : 603-611, 2012
31 진은영,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과정 연구 : 무기력에서 희망으로의 거듭남"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4) : 121-152, 2013
32 허은영,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39-55, 2010
33 권이종, "새터민 청소년 교육지원을 위한 법․제도보완 방안" 통일부․(사)한국청소년연합 2008
34 이순형, "사회경제발전에 따른 한민족 아동 놀이와 놀이 노래의 특성"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7 (17): 155-174, 2011
35 이춘재, "사춘기 신체성숙시기와 심리사회적 발달" 4 (4): 89-102, 1991
36 김연희,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91-215, 2009
37 박윤숙,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8 김형태, "북한이탈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유형에 관한 통합적 비교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4
39 채정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40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
41 이혜경,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체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2 정순미,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남한 청소년의 역할" 한국윤리교육학회 (22) : 301-320, 2010
43 김형태,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및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7-59, 2010
44 김현아,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을 위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25-46, 2012
45 길은배,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262, 2003
46 조영아, "북한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167-186, 2004
47 박성희, "북한 청소년정책에 관한 연구" 114-138, 1991
48 이원봉, "북한 청소년생활의 심층연구" 105-116, 1996
49 길은배, "북한 이탈청소년들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복지정책: 토론문" 19-22, 2004
50 손기웅, "독일통일 20 년의 평가와 시사점" 17 : 1-16, 2010
51 송광성, "독일 통일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 문제" 2 (2): 173-189, 1994
52 라이 콜로르겐, "독일 통일 및 동독연구의 담론들 : 20년 후의 비판적 회고" 5 (5): 193-219, 2013
53 문희정, "다문화관점에서의 탈북청소년에 대한 국가 교육정책 분석: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3 (33): 145-166, 2012
54 이소래,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55 백혜정, "남한 내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준비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183-211, 2007
56 김형태, "그룹홈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탄력성, 그리고 심리․사회적응의 종단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37-164, 2011
57 강기정, "그룹홈 아동의 사회적응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5 (5): 119-132, 2003
58 이동훈, "귀국 청소년의 국내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1783-1804, 2009
59 진미정, "가족특성에 따른 새터민의 사회문화적 적응" 대한가정학회 45 (45): 63-74, 2007
60 Goldberg, E. R., "Uprooting and development" Springer US 211-231, 1980
61 Hirsch, B. J., "The transition to junior high school : A longitudinal study of self-esteem, psychological symptomatology, school life, and social support" 58 (58): 1235-1243, 1987
62 Bhawuk, D. P., "The measure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using the concept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16 (16): 413-436, 1992
63 Germain, C. B., "The life model of social work practice: Advances in theory &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64 Garmezy, N., "Stress, risk,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8, 1994
65 Spencer, M. B.,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focused" 34 (34): 43-57, 1999
66 Schwartz, M. B., "Obesity and body image" 1 (1): 43-56, 2004
67 Lamnek, S., "Jugend und Gewalt"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11-24, 1995
68 Wang, C., "Empowerment through photo novella : Portraits of participation" 21 (21): 171-186, 1994
69 Meredith, L. S., "Development of a brief scale to measure acculturation among Japanese Americans" 28 (28): 103-113, 2000
70 Atkinson, D. R., "Counseling American minorities" McGraw-Hill 1998
71 Förster, P., "Aus Politik und Zeitgeschichte. Beilage zur Wochenzeitung. Das Parlament B, 15" 6-17, 2003
72 한국교육개발원, "2015년 탈북학생 주요통계 자료"
73 Lampert, T., "20 Years of German Unity: Are there still differences between east and west as regards the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