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용 건물에서 경관조망 및 주거용 건물에서 시야조망, 경관조망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조망권의 성립과 침해의 기준이 명확하지 아니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다툼이 있을 수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79918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53-472(2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영업용 건물에서 경관조망 및 주거용 건물에서 시야조망, 경관조망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조망권의 성립과 침해의 기준이 명확하지 아니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다툼이 있을 수 있...
영업용 건물에서 경관조망 및 주거용 건물에서 시야조망, 경관조망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조망권의 성립과 침해의 기준이 명확하지 아니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다툼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를 통하여 조망권의 성립 및 침해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세워 보고자 한다.
조망권이 성립하려면 조망권자의 조망이익이 생활이익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고, 그 이익이 사회통념상 독자적인 이익으로 승인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판단하는 요소로 지역적 특수성, 조망의 목적성과 토지이용과의 조화성, 시설의 소유, 시간적 선주를 들 수 있다.
조망권이 성립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경관조망에서 문제가 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망의 대상이 조망의 가치가 있는 물건이어야 할 것이고, 그 대상이 피해건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야 할 것이며, 조망이 침해당할 당시에 조망이 가능하였어야 할 것이다.
조망권의 침해는 조망이익의 침해 정도가 사회통념상 일반적으로 인용하는 수인한도를 넘었는지 여부로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경관조망에 있어서는 조망침해율이고, 일응 조망침해율이 60%이면 조망을 침해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시야조망에 있어서는 조망침해율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가해건물과 피해건물의 이격거리가 될 것이다. 조망침해율이 60% 이상이고, 이격거리가 인접대지로부터 가해건물 높이의 0.5배 이내이면 조망을 침해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establishment and infringement of the prospect right.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spect right, the benefit of the prospect should be worth a life interest. And the interest shall be the exclusive interests on so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establishment and infringement of the prospect right.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spect right, the benefit of the prospect should be worth a life interest. And the interest shall be the exclusive interests on social norms.
I wish to see that establishment and infringement of the standards of the prospect right through this a study. To establish of the right of the prospect of landscape shall be the targets of prospect, is the river, sea and so on. Also, the targets shall be situ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uilding. it should be able to view when prior to the infringement at the time.
In prospect of landscape, the violation rate of prospect is important, the rate will be at least 50%. In prospect of view, the violation rate of prospect is important, but more important than that will be applied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harmed building and the damaged building. The violation rate of prospect is 60% and separation distance would be applied to more than double the height of the build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윤하, "환경침해를 원인으로 한 민사소송에 관한 문제" 한국법학원 (81) : 120-152, 2004
2 함태성, "환경법(제3판)" 박영사 2008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4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6
5 송오식, "조망방해와 사법적 구제" 한국비교사법학회 14 (14): 189-226, 2007
6 김종률, "조망권의 법적 구성론" 법조협회 2003
7 조은래, "조망권의 민사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법학회 26 (26): 249-276, 2004
8 구재군, "조망권에 관한 판례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7): 63-88, 2008
9 이동원, "조망권 침해에 관한 판례의 동향" 법조협회 54 (54): 236-294, 2005
10 노회승, "조망권 침해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35) : 143-161, 2009
1 손윤하, "환경침해를 원인으로 한 민사소송에 관한 문제" 한국법학원 (81) : 120-152, 2004
2 함태성, "환경법(제3판)" 박영사 2008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4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6
5 송오식, "조망방해와 사법적 구제" 한국비교사법학회 14 (14): 189-226, 2007
6 김종률, "조망권의 법적 구성론" 법조협회 2003
7 조은래, "조망권의 민사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법학회 26 (26): 249-276, 2004
8 구재군, "조망권에 관한 판례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7): 63-88, 2008
9 이동원, "조망권 침해에 관한 판례의 동향" 법조협회 54 (54): 236-294, 2005
10 노회승, "조망권 침해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35) : 143-161, 2009
11 김황중, "경관조망의 유형과 조망차폐율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22 (22): 109-125, 2012
12 홍관종, "경관영향평가의 조망거리 기준 설정 연구" 2010
13 김남욱, "眺望權의 法理" 한국환경법학회 27 (27): 47-72, 2005
14 전경운, "眺望權의 成立與否" 한국비교사법학회 12 (12): 1-34, 2005
15 정민호, "眺望權 法理의 再檢討" 법학연구소 34 (34): 125-154, 2010
16 李泰喆, "眺望權 侵害와 損害賠償請求- 대법원 2007. 6.28. 선고, 2004다54282 판결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0) : 189-215, 2007
17 양재모, "眺望 등 不動産環境利益의 私法的 保護 - 眺望利益의 私法的 權利认定与否 -" 한양법학회 (28) : 291-308, 2009
저작권 침해 소송에서 실질적유사성 판단 방식에 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5 | 0.85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