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일훈, "국악전집", 제20집, 서울: 국립국악원, 2009
2 장사훈, "국악총론",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9
3 강운구, 송혜진, "한국악기", 서울: 열화당, 2001
4 김기수, "한국음악", 제21집, 서울: 국립국악관,, 1985
5 장사훈, "한국 음악사",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1
6 이종숙, "국악원논문집", 서울: 국립국악관, 2018
7 함화진, "조선음악통론", 서울: 을유문화사, 1948
8 이혜구, "한국음악논총", ,서울: 秀文堂,, 1975
9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서울: 민속원, 2007
10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1 박일훈, "국악전집", 제20집, 서울: 국립국악원, 2009
2 장사훈, "국악총론",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9
3 강운구, 송혜진, "한국악기", 서울: 열화당, 2001
4 김기수, "한국음악", 제21집, 서울: 국립국악관,, 1985
5 장사훈, "한국 음악사",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1
6 이종숙, "국악원논문집", 서울: 국립국악관, 2018
7 함화진, "조선음악통론", 서울: 을유문화사, 1948
8 이혜구, "한국음악논총", ,서울: 秀文堂,, 1975
9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서울: 민속원, 2007
10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11 손태룡, "한국의 전통악기", 경산: 영남대출판부, 2003
12 진두환, "한국 문묘 제도의 변천", 국악원논문집(17), 2008
13 이기동, "문묘제례의식의 철학적 기반", 유교문화연구, 2004
14 박선덕, "문묘제례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9
15 김영숙, "韓國祭禮佾舞의 美學思想硏究", 성균관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2
16 임학선, "문묘일무의 역사적 원형과 왜곡",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9
17 정화순, "현행 한국문묘제례악 대한 검토", 韩国音乐史学报, 2009
18 송지원, "정조대 의례 정비와春官通考편찬", 奎章閣, 2011
19 이동희, "아악에서 박(拍)의 사용에 관한 검토", 한국음악연구, 2020
20 정화순, "악학궤범의 문묘제례악에 관한 연구", 동양예술, 한국동양 예술학회, 2008
21 이민홍, "文廟의 釋奠大祭와 太學生의 泮宮生活", 대동한문학, 2004
22 유혜진, "근대이후 한국 문묘일무의 변천사 연구", 한국체육철학회지, 2015
23 박지선, "유가 수양론과 문묘일무의 교육적 가치", 한국무용교육학회 지, 2017
24 정화순, "조선조 세종대 문묘제례악에 대한 추고", 온지논총, 서울: 온지학회, 2009
25 유지신, "釋奠禮樂의 淵源과 그 展開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박사학 위논문, 2011
26 진상원, "朝鮮中期道學의 正統系譜成立과 文廟從祀", 한국사연구, 2005
27 임미선, "대한제국기 궁중음악-대한예전을중심으로-", 韓國音樂史 學報, 2010
28 오용록, "문묘제례악의한배변화와그배경에대한고찰", 국악교육연구,, 2010
29 차혜경, "文廟釋奠의 傳承과 歷史的機能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0 임학선, "문묘일무의 춤사위구조 및 의미성과 상징성",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2005
31 유혜진, "문화브랜드로서의 문묘일무의상징적 가치 연구", 한국무용연 구, 2020
32 유준회, "유물편경의음향분석을통한아악황종음고의추정", 韓國音響學會 誌, 2011
33 우영기, "文廟祭禮樂에 나타난 陰陽五行思想에 대한 硏究", 용인대학교석 사학위논문, 2005
34 임학선, "문묘일무의 춤사위 진퇴에 담긴 교육철학적 가치", 우리춤과 과학기술, 2011
35 이숙희, "春官通考소재 文廟祭禮佾舞圖의 史料的가치 연구", 韓國 音樂硏究,, 2007
36 김영숙,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과 이에 따른재연 및 전승", 한국 무용기록학회지, 2008
37 이하나, "韓國文廟祭禮의 變化樣相考察을 통한 孔子의 位相硏究", 동 아시아고대학, 2017
38 이하나, "한국 문묘제례(文廟祭禮)의 전통의례콘텐츠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2015
39 박미라, "文廟祭祀에서의 孔子位相문제-先師⋅先聖⋅文宣王의 尊號를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 2013
40 이희재, "유교제례에서의 악(樂)의 의미-한국의 문묘와 종묘제례악을 중 심으로-", 儒學硏究,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