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두부 제조와 판매 및 소비양상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3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시대 두부의 생산과 소비는 사찰과 관리들을 중심으로 이뤄지다가 점차 민간으로 확대되었다. 조선시대 두부는 크게 공무상 쓰일 두부 제조와 민간에서의 두부 제조 및 활용으로 나눠...

      전통시대 두부의 생산과 소비는 사찰과 관리들을 중심으로 이뤄지다가 점차 민간으로 확대되었다. 조선시대 두부는 크게 공무상 쓰일 두부 제조와 민간에서의 두부 제조 및 활용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공무에 필요한 두부는 조포사(造泡寺)로 지정된 사찰의 승려들이 만들어 납부하였고 민간에서는 스스로 만들어 썼거나 두부 제조자들이 만든 것을 구입하였다. 민간에서의 제조는 주로 가내에서 이뤄졌으며, 사람들은 두부를 노인봉양이나 콩과 관련된 음식 생활의 일부로서 여러 음식으로 만들어 소비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 무렵에는 기존의 두부 제조인들이 조직화되고, 두부를 만드는 회사와 공장이 출현한다. 그리하여 소규모 상점이나 가정 내에서의 직접 제작 또는 조포사와 같은 특수성 등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던 두부는 일제강점기의 두부회사나 공장 등을 통해 산업화 됐으며 대량생산 되었고 언제든 판매될 수 있었다. 또한 두부를 만드는 기계의 등장으로 ‘전문성’이라는 장벽이 낮아지게 되어 비숙련가들이 두부제조업에 다수 종사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일제강점기에서 시대성을 표방하는 ‘위생’, ‘규율’ 등의 담론도 이 시기 두부의 생산과 판매에 영향을 끼쳤다. 생산자와 판매자들은 모두 이러한 담론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는데, 이를 검증하고 강제하는 행정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밖에도 행정력이 강제한 것은 중량과 형체의 표준화였다. 표준을 제정하고 규격화를 이끌어내면서 공정가격의 제정도 실현시켰다.
      이러한 두부를 통해 드러나는 당대의 대중 음식문화와 일상적 음식생활의 면모는 전통시대와 크게 다르지 않게 보인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두부에는 공무적 성격이 없어졌고, 경제성 및 효율성 제고나 과학적이며 영양학적인 정보 제시 및 판매와 구매의 측면에서도 이전 시대의 두부와는 다른 차이점을 보이고 있어, 시대적 특수성이나 민족적 차원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실제적 생활상을 사람들로 하여금 경험을 하게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raditional bean curd gradually expanded from the center of temples and officials to the private sector.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eople who led the tofu food culture were aristocratic, but tofu production and c...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raditional bean curd gradually expanded from the center of temples and officials to the private sector.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eople who led the tofu food culture were aristocratic, but tofu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private sector were also common. These traditional tofu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change as we enter the modern era.
      Some changes occurred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after modern times, especial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existing tofu merchants were organized and related companies and plants emerged. The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tofu, which have been based on handmade manufacture in small stores or homes and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s such as ‘Joposa(造泡寺)’, could be industialized and mass produced by tofu companies or plants after modern times. The emergence of tofu-making machines also lowered the barrier of expertise,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non-skilled people to engage in the tofu manufacturing industry.
      In addition, several discourses including ‘hygiene’ and ‘regulations’ representing moder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effects on the production and even the selling of tofu. Both producers and sellers could not but be affected by such discourses, because of administrative capacity to inspect and force them. Another discours that was forced by the administrative capacity was the standardization of weight and forms.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prices was also realized, as the enactment of standards and the standardization were drawn by it.
      However, ordinary people’s food culture and routine food lives revealed by tofu do not seem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previous periods. But nevertheless, The modern tofu has exhibited some differences in the improvement of economy and efficiency, the provision of scientific and dietetic information and selling and buying, especially, it can be evaluated to allow us to experience a substantial lifestyle in terms of historical peculiarity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전통시대 두부의 제조와 쓰임
      • Ⅲ. 일제강점기 두부의 생산
      • Ⅳ. 일제강점기 두부장수의 등장과 행정당국의 취체 및 규제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전통시대 두부의 제조와 쓰임
      • Ⅲ. 일제강점기 두부의 생산
      • Ⅳ. 일제강점기 두부장수의 등장과 행정당국의 취체 및 규제
      • Ⅴ. 일제강점기 두부의 소비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鷺梁津 新農夫:두부국과 막걸리"

      2 임성조, "홍사용의 시세계와 문학사의 의미"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1 : 1988

      3 손헌수, "한국의 두부 연혁과 신규 두부의 개발" 한양대학교 민족학연구소 6 : 1997

      4 박유미, "한국 고대의 두류 재배와 활용" 고조선단군학회 35 (35): 83-108, 2016

      5 김은실, "찜의 문헌적 고찰(Ⅱ)~어패류, 채소류 및 기타를 이용한 찜을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5 (5): 1990

      6 심승구, "조선시대 조포사와 진관사-조포사의 변천과 진관사 두부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70) : 199-240, 2019

      7 이용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韓興書林 1936

      8 조선은행조사부, "조선농업통계도표" 조선은행조사부 1944

      9 노성환, "임란포로 박호인 전승에 관한 연구 -한 장의 그림 속에 숨겨진 조선포로 이야기-"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35-258, 2012

      10 구자옥, "일제강점기의 조선 8도 식생활(끼니) 실태" 한국농업사학회 8 (8): 127-166, 2009

      1 "鷺梁津 新農夫:두부국과 막걸리"

      2 임성조, "홍사용의 시세계와 문학사의 의미"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1 : 1988

      3 손헌수, "한국의 두부 연혁과 신규 두부의 개발" 한양대학교 민족학연구소 6 : 1997

      4 박유미, "한국 고대의 두류 재배와 활용" 고조선단군학회 35 (35): 83-108, 2016

      5 김은실, "찜의 문헌적 고찰(Ⅱ)~어패류, 채소류 및 기타를 이용한 찜을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5 (5): 1990

      6 심승구, "조선시대 조포사와 진관사-조포사의 변천과 진관사 두부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70) : 199-240, 2019

      7 이용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韓興書林 1936

      8 조선은행조사부, "조선농업통계도표" 조선은행조사부 1944

      9 노성환, "임란포로 박호인 전승에 관한 연구 -한 장의 그림 속에 숨겨진 조선포로 이야기-"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35-258, 2012

      10 구자옥, "일제강점기의 조선 8도 식생활(끼니) 실태" 한국농업사학회 8 (8): 127-166, 2009

      11 "일인두부회사"

      12 "이번엔 豆腐統制 重量과 型을 똑같이 京畿道産業課에서 標準을 制定"

      13 이규진, "음식 관련기사를 통해서 본 일제강점기 식생활 연구-『女性』잡지를 중심으로(1936. 4~1940. 12)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336-347, 2008

      14 김윤희, "유길준과 마포도선조합 - 자본의 사회적 승인과정 -" 한국사연구회 (177) : 37-71, 2017

      15 한상배, "우리나라 두부류의 관리체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0 (10): 2005

      16 "우리가 상식하는 두부가 만병에 약:폐병에도 좃코 매독에도 조흔데 두부 종류가 팔백"

      17 최규서, "우리 나라 두부업계의 현황과 전망" 동아시아 식생활학회 24 (24): 1998

      18 "용원청년단 두부행상개시"

      19 "영앙가치는 얼마(一)"

      20 "어린두부장사"

      21 "산업구락부"

      22 "부정식품의 정체 <2>석회두부"

      23 "부산 권총강도 遂 就縛, 인천 敷島町에 잠복 중 체포, 범인은 두부제조공장 경영자"

      24 "두부행상파업"

      25 "두부행상자살"

      26 "두부집 영감"

      27 "두부의 영양조사-대부분이 담백질 병자에게도 좋다"

      28 류영기, "두부의 생산과 유통현황"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0 (10): 2005

      29 서제원, "두부의 기원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관광학회 8 (8): 2006

      30 "두부의 營養價 아신니"

      31 "두부쇼리에 싸홈"

      32 "두부기계 광고"

      33 "두부 종류를 다양하게"

      34 "두부 만드는 법-간수대용으론 조개껍질"

      35 "두부 行商罷業 갑슨 올리고 배당은 는 다고 분개하야"

      36 양향자, "두부" 한국식품연구원 4 (4): 2011

      37 "동요 두부장사:두부장사"

      38 조선총독부, "농업통계표 1-5" 조선총독부 1930

      39 "노동협회의 신경영으로 고학생의 두부상, 한 체에 2전 이익을 주어 지난 21일부터 판다. 장차 5개소를증설"

      40 "광고"

      41 "갈롭 만주 대신 두부 팔 고학생, 기계까지 사드리려고"

      42 "靑莊館全書 卷62"

      43 "豆腐에 公定價"

      44 "豆腐싸홈이 仁川서 자저"

      45 "豆腐로 暴利"

      46 "豆腐製造 足踏機硏究 군위군의 량홍씨가"

      47 "豆腐價引上 한모에 六전식으로"

      48 "豆腐, 꽃行商에도 公定價格을 表示-主婦들은 安心하라"

      49 "豆腐 製造業者에 衛生上 嚴重注意"

      50 "茶山詩文集 卷6"

      51 "經世遺表 卷8"

      52 "碧蘆集 卷2"

      53 "物價暴騰과 代用食文題:갑적고 영양보충하는 음식을 생각하십시다"

      54 "牧隱詩稿 卷33․35"

      55 高橋忠彦, "漢語の表記と古辞書の位相-「豆腐」の場合" 東京学芸大学学術情報委員会 69 : 2018

      56 "海東雜錄 卷2"

      57 최덕경, "朝鮮時代의 大 ∙ 小豆와 그 가공식품" 대구사학회 72 : 71-110, 2003

      58 "月沙集 卷38"

      59 "昭和17年朝鮮總督府告示第993號(價格等統制令第7條ノ規定ニ依ル乾燥豆腐油揚ノ最高販賣價格)中左ノ通改正ス:朝鮮總督府告示第499號"

      60 "星湖僿說 卷6"

      61 국사편찬위원회, "戒逸軒日記 外" 국사편찬위원회 1999

      62 "惺所覆瓿藁 卷26"

      63 "忠淸監營啓錄 철종 3년 11월 29일"

      64 "忙中有閑-豆腐장사"

      65 "平壤豆腐商 競爭激烈 두부갑은 갈사록 뎌락해갈 이다"

      66 "平壤豆腐商 全部盟罷 두부는 빗사지고 구문은 적은 닭"

      67 김성진, "尾錄을 통해 본 士族의 生活文化―음식문화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회 24 (24): 177-206, 2007

      68 "家庭-소고기대신으로 소화 잘 되고 맛있고 값싼 두부를 많이 먹읍시다"

      69 "宣祖實錄 卷34"

      70 "大豆의 二重利用 粉末豆腐를 發明 그外에 脂肪分도 훌륭히 抽出 國益年二千餘萬圓"

      71 田村正紀, "凍豆腐" 日本調理科学会 28 (28): 1995

      72 "共設市塲 豆腐는 四錢 釜山의 食料値下"

      73 "全州豆腐商을 價格引上 協議"

      74 "價格等統制令第7條ノ規定ニ依リ凍豆腐ノ最高販賣價格左ノ通指定ス:朝鮮總督府告示第602號"

      75 "價格等統制令第7條ノ規定ニ依リ乾燥豆腐油揚ノ最高販賣價格左ノ通指定ス:朝鮮總督府告示第993號"

      76 "備邊司謄錄 정조 20년 8월 23일"

      77 京城府國民總力課, "京城府ニ於ケル公定竝ニ協定價格集" 朝鮮圖書出版 1940

      78 "世宗實錄 卷39․49"

      79 "不潔한 井水로 豆腐製造嚴禁 우물물은 매균이 잇다"

      80 "一日一人:豆腐漫筆"

      81 "この頃の知識:ほした豆腐が出來る"

      82 탁효정, "『廟殿宮陵園墓造泡寺調』를 통해 본 조선후기 능침사의 실태" 조선시대사학회 (61) : 195-229, 2012

      83 "http://www.nl.go.kr"

      84 "http://dbhistorygokr"

      85 이인영, "1930년대 세태소설에 나타난 경성부민(京城府民)의 식생활 문화 연구 - 염상섭의「삼대」 ,「무화과」와 박태원의 「천변풍경」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8 (28): 290-305,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