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바렛식도의 위험인자로서 복부비만과 체질량지수 = Selected Summaries : Abdominal Obesity and Body Mass Index as Risk Factors for Barrett`s Esophagus, Gastroenterology 2007;133:34-4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368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바렛식도는 위식도역류질환(gasts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의 하나이며, 식도선암종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위식도역류질환이 비만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바렛식도와 체질...

      바렛식도는 위식도역류질환(gasts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의 하나이며, 식도선암종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위식도역류질환이 비만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바렛식도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또는 복부비만(abdominal obesity)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다. 저자들은 건강검진 코호트인 Kaiser Permanente Northern California에 등록되어 있는 18-79세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2년과 2005년 사이에 바렛식도로 진단된 사람을 환자군으로 등록하였으며, 바렛식도가 없는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대조군과 위식도 역류질환이 없는 정상대조군에 대하여 짝을 지어 비교하였다. 설문조사와 신체계측을 시행하였는데, 복부비만의 평가는 복부둘레길이를 이용하였고, 복부/대퇴부둘레길이의 비를 보조적인 지표로 사용하였다. 320명의 바렛식도 환자, 316명의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317명의 정상대조군이 대상이었다. 바렛식도와 복부둘레길이와 연관성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에 복부둘레길이가 80cm 이상인 경우에,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바렛식도에 대한 odds ratio는 2.24였다(95% confidence interval, CI, 1.21-4.15). Odds ratio는 복부둘레길이가 80 cm보다 클 때에 의미있게 높았으나, 복부둘레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더 커지는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와 비교하였을 때에는 복부둘레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est for trend, p=0.03). 복부/대퇴부둘레길이의 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을 때에도 복부둘레 길이를 사용하였을 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바렛식도와 체질량지수와의 연관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복부둘레길이는 중증의 위식도역류 증상과 연관성이 있었다(odds ratio, 1.86; 95% CI, 1.03-3.38). 결론적으로 복부둘레길이가 바렛식도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나, 체질량지수는 그러한 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부비만이 위식도역류질환을 유발하며, 이를 통하여 바렛식도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는 가설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