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기독교교육 개선을 위한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Comeniu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465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7세기 대표적인 교육 사상가중 한사람인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의 기독교교육 사상을 통하여 한국 기독교교육의 사상적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코메니우스는 20세기 중반까지는 근대적 교육학의 아버지로 간주되어 왔으나 20세기 후반에는 근대적 교육사상가로 규정하는 학자들이 늘어가고 있다. 특별히 코메니우스는 이론적 사상가에 그치지 않고 모든이론을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실천하는 실천 신학자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자는 한국 기독교교육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사상적 문제를 해결하는데는 코메니우스가 가장 적절한 사람으로 판단하여 그의 기독교교육 사상을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코메니우스에 대한 최근까지의 서적들과 그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종합하여 코메니우스의 기독교교육 사상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 그 핵심 사상들이 한국적 기독교교육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과제는 아래와 같다.
      1. 코메니우스의 사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대사적 배경을 검토한다.
      2. 코메니우스의 생애와 그의 주요 저작을 검토하여 사상확립에 영향을 준것은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3. 코메니우스가 제시한 기독교교육의 핵심 모델인 8단계 학교를 검토한다.
      4. 코메니우스 기독교교육 사상의 핵심을 한국 기독교교육의 문제점에 조명하면서 그 해결을 모색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코메니우스의 사상형성의 배경을 알기 위하여 17세기 시대적, 정치적, 종교적 배경을 살피면서 다음으로 코메니우스의 전 생애를 출생기(出生期)부터 말기 최후에 살았던 암스테르담까지의 중요한 삶을 장소별로 나누어 추적하면서 저작활동과 사건들을 검토하였다. 또 이러한 삶의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사상의 철학적, 신학적 토대와 원리를 찾아보았으며, 범교육 사상의 완성이라 할 수 있는 8단계학교의 교육목표와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검토를 통하여 연구자는 코메니우스가 기독교교육의 핵심으로 삼았던 교육사상이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사상이며 말씀 중심사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천적 기독교교육 사상가였던 코메니우스가 제시했던 바람직한 기독교교육은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 전인교육, 평생교육, 범교육학, 교육의 장(場)의 확대를 들 수 있었다.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추구하려고 했던 한국교회에서 겪고있는 기독교교육의 사상적 문제점의 해결을 시도하면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담임목회자의 목회철학의 수정을 촉구하였다. 곧 기독교교육이 목회 프로그램중의하나가 아닌 ‘교육이 곧 목회다’라는 철학을 말한다. 둘째, 기독교교육의 대상자를 이미 교회안에 들어와 있는 자에게 한정하지 말고 교회 밖으로까지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생 연령층 중심의 교회교육 제도를 평생교육 개념으로 전환하여 교회교육 제도를 세울 것을 촉구하였다. 넷째, 능력 있는 전인적 기독교인이 되기 위하여 피교육자의 실천적 삶을 강조함 동시에 보다 다양한 방면의 지식을 제공하여 줄 것을 주장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7세기 대표적인 교육 사상가중 한사람인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의 기독교교육 사상을 통하여 한국 기독교교육의 사상적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코메니우스는 20세...

      본 연구는 17세기 대표적인 교육 사상가중 한사람인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의 기독교교육 사상을 통하여 한국 기독교교육의 사상적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코메니우스는 20세기 중반까지는 근대적 교육학의 아버지로 간주되어 왔으나 20세기 후반에는 근대적 교육사상가로 규정하는 학자들이 늘어가고 있다. 특별히 코메니우스는 이론적 사상가에 그치지 않고 모든이론을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실천하는 실천 신학자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자는 한국 기독교교육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사상적 문제를 해결하는데는 코메니우스가 가장 적절한 사람으로 판단하여 그의 기독교교육 사상을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코메니우스에 대한 최근까지의 서적들과 그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종합하여 코메니우스의 기독교교육 사상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 그 핵심 사상들이 한국적 기독교교육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과제는 아래와 같다.
      1. 코메니우스의 사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대사적 배경을 검토한다.
      2. 코메니우스의 생애와 그의 주요 저작을 검토하여 사상확립에 영향을 준것은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3. 코메니우스가 제시한 기독교교육의 핵심 모델인 8단계 학교를 검토한다.
      4. 코메니우스 기독교교육 사상의 핵심을 한국 기독교교육의 문제점에 조명하면서 그 해결을 모색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코메니우스의 사상형성의 배경을 알기 위하여 17세기 시대적, 정치적, 종교적 배경을 살피면서 다음으로 코메니우스의 전 생애를 출생기(出生期)부터 말기 최후에 살았던 암스테르담까지의 중요한 삶을 장소별로 나누어 추적하면서 저작활동과 사건들을 검토하였다. 또 이러한 삶의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사상의 철학적, 신학적 토대와 원리를 찾아보았으며, 범교육 사상의 완성이라 할 수 있는 8단계학교의 교육목표와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검토를 통하여 연구자는 코메니우스가 기독교교육의 핵심으로 삼았던 교육사상이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사상이며 말씀 중심사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천적 기독교교육 사상가였던 코메니우스가 제시했던 바람직한 기독교교육은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 전인교육, 평생교육, 범교육학, 교육의 장(場)의 확대를 들 수 있었다.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추구하려고 했던 한국교회에서 겪고있는 기독교교육의 사상적 문제점의 해결을 시도하면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담임목회자의 목회철학의 수정을 촉구하였다. 곧 기독교교육이 목회 프로그램중의하나가 아닌 ‘교육이 곧 목회다’라는 철학을 말한다. 둘째, 기독교교육의 대상자를 이미 교회안에 들어와 있는 자에게 한정하지 말고 교회 밖으로까지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생 연령층 중심의 교회교육 제도를 평생교육 개념으로 전환하여 교회교육 제도를 세울 것을 촉구하였다. 넷째, 능력 있는 전인적 기독교인이 되기 위하여 피교육자의 실천적 삶을 강조함 동시에 보다 다양한 방면의 지식을 제공하여 줄 것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intended to overcome the ideological problems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by studying educational thoughts of John Amos Comenius, a leading educational philosopher in the seventeenth century. Comenius has been regarded as the father of modern pedagogy until the mid twentieth century. However, from the late twentieth century, he has come to be seen more as a modern educational philosopher. He has made special attempts to apply his the ones to every aspects of education. Along with this respect, the writer has decided to study Comenius with the belief that he can offer the most suitable insights to solve the idealogical problems taking place 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The followings were the sub-topics of this dissertation.
      1.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as to understand Comenius' ideology.
      2. To review Comenius' life, works, and major writing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his theory
      3. To examine 8 stage school concept presented by Comenius as a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4. To find out the solutions for Korean Christian education by assessing problems based on Comenius' theory
      It started with a research on historical, political, religious background of seventeenth century as a way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for the formation of Comenius' ideology. The writer then moved on to examine his works and major events by tracing his life classified differently depending on his physical locations and found out hi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si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Comenius' educational ideology was entirely focused on God- and Word- based ideology, which was adopted as the core of Christian education by Comenius. Christian education claimed by Comenius was presented to include the restoration of image of God, education for the whole man, lifelong education, practical use of pedagogy and the extended educational contexts. In conclusion, this study made suggestions as a way of trying to resolve ideological problems of Korean churches. First, it urged to change the concept of ministry.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seen not as one of ministrial programs but as minisry itself. Second, it proposed to expand the target to be educated so broadly as to incorporate those outside the church. Third, it urged to set up new church educational system that would shift from student centered education to whole-life centered education. Fourth, it insisted on offering a variety of knowledge and emphasized active and voluntary role of those educated so that they might become capable and holistic Christians.
      번역하기

      This dissertation intended to overcome the ideological problems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by studying educational thoughts of John Amos Comenius, a leading educational philosopher in the seventeenth century. Comenius has been regarded as the fathe...

      This dissertation intended to overcome the ideological problems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by studying educational thoughts of John Amos Comenius, a leading educational philosopher in the seventeenth century. Comenius has been regarded as the father of modern pedagogy until the mid twentieth century. However, from the late twentieth century, he has come to be seen more as a modern educational philosopher. He has made special attempts to apply his the ones to every aspects of education. Along with this respect, the writer has decided to study Comenius with the belief that he can offer the most suitable insights to solve the idealogical problems taking place 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The followings were the sub-topics of this dissertation.
      1.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as to understand Comenius' ideology.
      2. To review Comenius' life, works, and major writing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his theory
      3. To examine 8 stage school concept presented by Comenius as a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4. To find out the solutions for Korean Christian education by assessing problems based on Comenius' theory
      It started with a research on historical, political, religious background of seventeenth century as a way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for the formation of Comenius' ideology. The writer then moved on to examine his works and major events by tracing his life classified differently depending on his physical locations and found out hi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si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Comenius' educational ideology was entirely focused on God- and Word- based ideology, which was adopted as the core of Christian education by Comenius. Christian education claimed by Comenius was presented to include the restoration of image of God, education for the whole man, lifelong education, practical use of pedagogy and the extended educational contexts. In conclusion, this study made suggestions as a way of trying to resolve ideological problems of Korean churches. First, it urged to change the concept of ministry.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seen not as one of ministrial programs but as minisry itself. Second, it proposed to expand the target to be educated so broadly as to incorporate those outside the church. Third, it urged to set up new church educational system that would shift from student centered education to whole-life centered education. Fourth, it insisted on offering a variety of knowledge and emphasized active and voluntary role of those educated so that they might become capable and holistic Christi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 ⅳ
      • 국문초록 = ⅵ
      • 제1장 서론 = 8
      • 제1절 연구의 목적 = 8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10
      • 【 목 차 】 = ⅳ
      • 국문초록 = ⅵ
      • 제1장 서론 = 8
      • 제1절 연구의 목적 = 8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10
      • 제2장 코메니우스 삶의 배경과 생애 = 12
      • 제1절 코메니우스 삶의 배경 = 12
      • 1. 17세기 시대적 배경 = 12
      • 2. 17세기 정치적 배경 = 13
      • 3. 코메니우스의 종교적 배경(보헤미아-모라비아 형제단 교회) = 14
      • 제2절 코메니우스의 생애 = 16
      • 1. 출생 과 유아 및 아동기(期) = 16
      • 2. 청소년기 = 17
      • 3. 청년 대학기 = 18
      • 4. 풀넥(Fulnek)기 = 19
      • 5. 제1차 레즈노(Leszno)기 = 20
      • 6. 초청지기(招請地期) = 21
      • 7. 제2차 레즈노기 = 22
      • 8. 헝가리(Hungary)기 = 23
      • 9. 제3차 레즈노기 = 24
      • 10. 암스테르담(Amsterdam)기 = 25
      • 제3장 코메니우스의 사상적 토대와 교육사상 = 26
      • 제1절 코메니우스의 사상적 토대 = 26
      • 1. 사상적 배경 = 26
      • 2. 사상의 원리 = 31
      • 제2절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 33
      • 1. 코메니우스의 범지학 = 33
      • 2. 범교육의 목적 = 35
      • 3. 범교육의 원리 = 36
      • 제4장 코메니우스의 학교론 (8단계 학교론) = 42
      • 제1절 태아학교(Schola geniturae) : 출생전의 존재를 위한 학교 = 43
      • 제2절 유아기 학교(Schola infantiae) : 어머니의 품 = 45
      • 제3절 아동기 학교(Schola pueritiae) = 49
      • 제4절 청소년 학교(Schola adolescentiae) = 51
      • 제5절 청년기 학교(Schola juventutis) = 53
      • 제6절 젊은 장년기의 학교(Schola virilitatis) = 55
      • 제7절 노년기 학교(Schola senii) = 57
      • 제8절 사망의 학교(Schola mortis) = 59
      • 제5장 기독교교육 사상과 개선을 위한 제언 = 60
      • 제1절 범교육에서 발견되는 기독교교육 사상 = 60
      • 1. 교육의 본질 = 60
      • 2. 교육의 목표 = 62
      • 3. 교육의 대상 = 65
      • 4. 교육의 도구 = 66
      • 5. 교육의 시기 = 67
      • 6. 교육의 장소 = 68
      • 제2절 기독교교육 개선을 위한 제언 = 69
      • 1. 목회철학의 수정 = 70
      • 2. 교육대상의 확대 = 72
      • 3. 평생교육의 교육제도 = 74
      • 4. 전인적 삶과 교육의 다양화 = 75
      • 제6장 결론 = 80
      • 【 참고문헌 】 = 82
      • Abstract =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