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가톨릭신학대학교 미디어교육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요구분석과 종교미디어교육 연구 = "A Research of the Analysis Required for the Introduction of Media Courses at the Catholic Universities in Korea and Religious Media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44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iests are being influenced strongly by mess media to carry out pastoral care today. So they should be educated to use media effectively and to understand what is the cultural meaning of media properly. In addition to, they have to have an profession...

      Priests are being influenced strongly by mess media to carry out pastoral care today. So they should be educated to use media effectively and to understand what is the cultural meaning of media properly. In addition to, they have to have an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 of media in a seminary so that they can protect themselves and believers from unethical aspects of media and can se media effectively for evangelization.
      This is a investigation to introduce media education in a curriculum of seminaries in the Catholic Universities in Korea.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is a specific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to find a necessity and the way of media education which priests and seminary demand. This was a basic research to develop courses of media education for seminary students and included questions as follows.
      These results suggest, most of the priests and seminary students thought that the media education was just an assistant education or a means for evangeliz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people's under- standing of the media education who charge in education to set up media education in a curriculum of the seminaries. It is also needed to train expert who can teach the media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and to support economically. It should not be stressful to seminary students who have a lot of credits as well.
      The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in the Catholic Universities should be the religious media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the media competence of priests and the students. The religious media education were integrated with the teaching plan model in a curri- culum of the seminaries. In order for this education to be applied effec- tively, experimental studies have to be carried out verifying the learning effects regarding this education. In particular, education for teachers who will carry out this education is needed. This is because, in media education,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apacity of the one who is teaching, the media competence of pries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가톨릭교회에서는 여러 문헌과 연구를 통해 만민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를 사회·교육적으로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복음선포의 사명을 충실히 이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

      가톨릭교회에서는 여러 문헌과 연구를 통해 만민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를 사회·교육적으로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복음선포의 사명을 충실히 이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가톨릭대학교에 미디어교육이 도입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이론적 배경으로써 가톨릭교회의 가르침과 미디어와의 관계, 그리고 한국 가톨릭대학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종교미디어교육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신학생과 사제들을 대상으로 한국 가톨릭대학교에서의 미디어교육의 필요성과 이의 도입을 위한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상당수의 신학생과 사제들은 대학교 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신학생들과 사제들은 이 교육의 필요성 뿐 아니라, 원하는 교육의 방향도 매우 구체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미디어교육 교육내용에 대하여 이들은 실질적으로 미디어를 활용·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내용을 원하였다. 또한 왜곡된 종교문화 및 윤리적 사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기를 원하였다. 이 교육에 적합한 교수자로서는 미디어교육학 전문가를 꼽았다. 교과과정에 미디어교육 교육과정이 도입되기 위한 선행과제로써 신학생, 교수신부, 신학대학교 운영에 책임을 가지고 있는 성직위원회 주교들의 인식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공감하고 있었다. 또한 많은 사제들은 미디어교육 전문가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궁극적으로 가톨릭신학대학교의 미디어교육 형태는 다른 일반 교육기관과 차별화 하여, 그리스도교의 신념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 종교미디어교육의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종교미디어교육의 교육목표는 종교의 근본 가치 및 미디어문화와 일상생활세계가 보여주는 세계를 차별화하여 인지하는 미디어능력을 촉진하는 것이다. 미디어나 종교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인의 해석능력과 인지능력을 촉진하고, 미디어의 기능과 전달내용 및 종교와 종교의 특성이 전달하는 내용에 대한 이해와 비평적 판단능력을 촉진하고자 한다. 나아가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제작하는 능력을 키우고, 미디어 활용에 사회윤리적으로 책임있는 행동과 토론의 능력을 키우면서, 다양한 의견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촉진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구체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종교미디어교수법, 상징교수법과 전문가교육(사제양성교육)의 활성화도 중요한 교육목표가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비오 12세, "회칙" Miranda prorsus 1957

      2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한국 사제 양성 지침"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1

      3 함정태, "한국 가톨릭 교회의 미디어 교육 특성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1999

      4 교황청 사회홍보평의회, "커뮤니케이션 윤리(Etica Nelle Comunicazioni Sociali 2000)"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2000

      5 문혜성, "종교미디어교육학의 개념 정리와 한국 종교미디어교육의 지향방향, In 홍보주일 기념 간담회 발표집"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매스컴위원회 2007

      6 교황청, "제2차 바티칸공의회 문헌, In 매스 미디어 교령(Inter Miri- fica 1963)"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2

      7 교황청 사회홍보평원회, "인터넷 윤리(Ethics in Internet 2002)"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02

      8 비오 11세, "이상적인 영화에 관한 두 개의 담화" 1959

      9 비오 11세, "영화에 관한 회칙" Vigilanti Cura 1936

      10 요한 바오로 2세, "신앙과 이성(Fides et Ratio 1998)"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4

      1 비오 12세, "회칙" Miranda prorsus 1957

      2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한국 사제 양성 지침"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1

      3 함정태, "한국 가톨릭 교회의 미디어 교육 특성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1999

      4 교황청 사회홍보평의회, "커뮤니케이션 윤리(Etica Nelle Comunicazioni Sociali 2000)"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2000

      5 문혜성, "종교미디어교육학의 개념 정리와 한국 종교미디어교육의 지향방향, In 홍보주일 기념 간담회 발표집"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매스컴위원회 2007

      6 교황청, "제2차 바티칸공의회 문헌, In 매스 미디어 교령(Inter Miri- fica 1963)"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2

      7 교황청 사회홍보평원회, "인터넷 윤리(Ethics in Internet 2002)"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02

      8 비오 11세, "이상적인 영화에 관한 두 개의 담화" 1959

      9 비오 11세, "영화에 관한 회칙" Vigilanti Cura 1936

      10 요한 바오로 2세, "신앙과 이성(Fides et Ratio 1998)"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4

      11 교황청 사회홍보위원회, "새로운 시대(Aetatis Novae 1992)"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2

      12 홍두승, "사회조사분석" 다산 2005

      13 고성호, "사회조사방법론" 그린 2002

      14 교황청 가톨릭교육성, "사회 홍보수단에 관한 사제양성 지침(Dio sommo bene 1986)"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86

      15 교황청 가톨릭교육성, "사제양성의 기본지침(Tria iam lustra 1985)"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85

      16 박재만, "사제양성을 위한 신학교 교육의 종합검진과 쇄신적 전망" 5-46, 1998

      17 문혜성, "미디어 교육학"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4

      18 문혜성, "미디어 교수법-미디어교육과 미디어활용을 위한 교수 학습방법"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6

      19 오진곤, "디지털시대 영상 미디어와 기독교문화"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7 (17): 7-37, 2007

      20 교황청 가톨릭교육성, "독신 생활 양성 지침(Il presente sussidio 1974)"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74

      21 문혜성, "대중문화 속 종교유사성에 관한 종교미디어교육 연구: <다빈치 코드>를 사례로 한 '상징교수법' 교수학습 모형 개발" 한국언론정보학회 42 (42): 7-43, 2008

      22 교황청 사회홍보위원회, "대중 매체에 관한 문헌 새로운 시대, In 일치와 발전(Communio et progressio 1971)"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2

      23 한국 구술사 연구회, "구술사 방법과 사례" 선인 2005

      24 요한 바오로 2세, "교회의 선교 사명(1990)"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4

      25 교황청 사회홍보평의회, "교회와 인터넷(La Chiesa E Internet 2002)"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02

      26 교황청, "교회법전"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89

      27 Buschmann, G., "Werbung im Kontext einer lebensweltorientier ten Religionspädagogik, In Werbung, Religion, Bildung" GEP Buch 39-53, 2003

      28 Benner, D., "Systematische Pädagogik - die Pädagogik und ihre wissenschaftliche Begründung, In Pädagogik Handbuch für Studium und Praxis" KoPäd 5-18, 1994

      29 비오 12세, "Semaine Sociale de Nancy에 보낸 국무성의 서한" 1955

      30 Knoblauch, H., "Religionssoziologie" Walterde Gruyter 1999

      31 Gutmann, HM., "Populärer Kultur im Religionsunterricht, In Religionspädagogik und Kultur" Neukirchen-Vluyn 179-200, 2000

      32 Gottwald, E., "Mögliche Felder einer Zusammenarbeit zwischen Medienpädagogik und Religionspädagogik aus der Sicht der Didaktik der religiösen Kommunikation, In Medien-Bildung-Religion" KoPäd 36-51, 2004

      33 Kösel, E., "Medienpädagogik. pädagogisches Lexikon Bd. 2" Bertelsmann Stiftung 354-, 1970

      34 Kübler, HD., "Medienpädagogik und Religionsunterricht. Pers pektiven und Aufgabenfelder, In medien praktisch, 2" 26-30, 1991

      35 Baacke, D., "Medienpädagogik" Niemeyer 1997

      36 Schorb, B., "Medienkompetenz, In Grund begriffe Medienpädagogik" KoPäd 234-240, 1997

      37 Hüther, J., "Mediendidaktik" KoPäd 1997

      38 Tulodziecki, G., "Mediendidaktik" KlettCotta 2004

      39 Tulodziecki, G., "Medien in Unterricht und Erziehung" KoPäd 1994

      40 Tulodziecki, G., "Medien in Erziehung und Bildung" Klinkhardt 1997

      41 Baacke, D., "Kommunikation und Kompetenz" Juventa Verlag 1973

      42 Hickethier, K., "Film-und Fernsehanalyse" Weimer 1996

      43 Biehl, P., "Festsymbole. Zum Beispiel: Ostern. Kreative Warhnehmung als Ort der Symboldidaktik" Vluyn 1999

      44 Weritz, W., "Evaluationsergebnisse zur Pilotphase des Fernstueiumgangs FESTUM(Fernstudium Medien)"

      45 Gapski, H. u. a., "Europaeisches Zentrum fuer Medienkompe tenz, In medien praktisch 2" medien praktisch 6-19, 1996

      46 Habermas, J., "Erkenntnis und Interesse" Suhrkamp 1968

      47 Wahrig, G., "Deutsches Woerterbuch" Bertelsmann Stiftung 1994

      48 Baacke, D., "Der traurige Schein des Glücks. Zum Typus kom merzieller Jugendzeitschriften, In Visuelle Kommunikation. Beitraege zur Kritik der Bewußtseinsindustrie" Juventa Verlag 1971

      49 Landesinstitut für Schule NRW, "Das Portfolio: Medienkompetenz" Bertelmann 2002

      50 Tulodziecki, G., "Computer & Internet in Schule und Unterricht. Medienpädagogische Grundlagen und Beispiele" Cor-nelsen Scriptor 2002

      51 Baacke, D., "Aspekte einer Vermittlung von Kommunikations und Erziehungswissenschaft, In Festschrift für Heinrich Roth" Cornelsen 1972

      52 Chomsky, N.,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65

      53 Pirner, M., ""Möge die Macht der Medien mit dir sein ... " Religiöse Aspekte und die Herausfordrungen für Bildung und Erziehu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0-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Catholic The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CATHOLIC THE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07 0.59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