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정된 대한췌장담도학회 총담관결석 진료 가이드라인: 개발 목적과 과정 = Revi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for Common Bile Duct Stones: Purpose and Process of Guidelin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23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3년 본 학회에서 총담관결석 진료 권고안이 발간된 이후, 최신의 치료 기술을 반영하면서도 국내 의료 환경을 고려한 임상진료지침 개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에 대한췌장담도학회는 최근까지 발표된 국내외의 총담관결석과 관련된 중요 문헌을 수집, 분석 및 고찰 후,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시행, 임상진료지침을 개정하였다. 개정된 임상진료지침은 1) 총담관결석의 진단, 2) 총담관결석의 내시경 치료, 3) 난치성총담관결석의 내시경 치료 3개 분야로 작성되었으며, 총 13개의 권고사항과 그 근거를 제시하는 형태로 기술하였다.
      번역하기

      2013년 본 학회에서 총담관결석 진료 권고안이 발간된 이후, 최신의 치료 기술을 반영하면서도 국내 의료 환경을 고려한 임상진료지침 개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에 대한췌장담도학회는 ...

      2013년 본 학회에서 총담관결석 진료 권고안이 발간된 이후, 최신의 치료 기술을 반영하면서도 국내 의료 환경을 고려한 임상진료지침 개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에 대한췌장담도학회는 최근까지 발표된 국내외의 총담관결석과 관련된 중요 문헌을 수집, 분석 및 고찰 후,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시행, 임상진료지침을 개정하였다. 개정된 임상진료지침은 1) 총담관결석의 진단, 2) 총담관결석의 내시경 치료, 3) 난치성총담관결석의 내시경 치료 3개 분야로 작성되었으며, 총 13개의 권고사항과 그 근거를 제시하는 형태로 기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mon bile duct (CBD) stones carry a risk of complications including biliary obstruction, acute cholangitis and pancreatiti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regarded as the standard of treatment for CBD stones nowadays. However, ERCP can cause severe adverse events such as bleeding, post-ERCP pancreatitis and perfo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 to manage CBD stones for clinicians. The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KPBA) established the first Kor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BD stones in 2013. Taking together the recently developed techniques for CBD stones and evidence newly obtained, the committee of the KPBA decided to perform an extensive revision of the guidelines. These revised guidelines were developed based on consensusbased guideline using Delphi methods. The main topics of these guidelines fall under the following topics: 1) diagnosis, 2) endoscopic management, 3) endoscopic management for difficult CBD stones. The specific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with the quality of evidence and classification of recommendations.
      번역하기

      Common bile duct (CBD) stones carry a risk of complications including biliary obstruction, acute cholangitis and pancreatiti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regarded as the standard of treatment for CBD stones nowadays. Howe...

      Common bile duct (CBD) stones carry a risk of complications including biliary obstruction, acute cholangitis and pancreatiti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regarded as the standard of treatment for CBD stones nowadays. However, ERCP can cause severe adverse events such as bleeding, post-ERCP pancreatitis and perfo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 to manage CBD stones for clinicians. The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KPBA) established the first Kor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BD stones in 2013. Taking together the recently developed techniques for CBD stones and evidence newly obtained, the committee of the KPBA decided to perform an extensive revision of the guidelines. These revised guidelines were developed based on consensusbased guideline using Delphi methods. The main topics of these guidelines fall under the following topics: 1) diagnosis, 2) endoscopic management, 3) endoscopic management for difficult CBD stones. The specific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with the quality of evidence and classification of recommend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