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를 위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경제기본개념의 향상 및 지속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6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의 향상 및 지속에 긍정적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두 학급 유아 64명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다· 이들 두 학급을 실험집단,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한 후, 실험집단에 교육과학기술부(2011)에서 개발 보급한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경제·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18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이전, 종료 직후, 그리고 종료 10주 후 3번에 걸쳐 경제기본개념 점수를 측정한 후, 수집된 자료에 대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경제기본개념 점수는 비교집단에 비해 사후, 추수검사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경제·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처치 직후부터 효과를 나타내 추수검사 시기까지 그 효과가 지속되는 양질의 프로그램임을 말해주는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적극적인 활용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의 향상 및 지속에 긍정적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두 학...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의 향상 및 지속에 긍정적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두 학급 유아 64명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다· 이들 두 학급을 실험집단,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한 후, 실험집단에 교육과학기술부(2011)에서 개발 보급한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경제·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18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이전, 종료 직후, 그리고 종료 10주 후 3번에 걸쳐 경제기본개념 점수를 측정한 후, 수집된 자료에 대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경제기본개념 점수는 비교집단에 비해 사후, 추수검사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경제·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처치 직후부터 효과를 나타내 추수검사 시기까지 그 효과가 지속되는 양질의 프로그램임을 말해주는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적극적인 활용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an economic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ffects their basic economic concep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64 children from two classes in a kindergarten in Busan. One class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he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economic consumer education program twice a week for 11 weeks. Before, right after, and two months following the program, the study measured all the children``s basic economic concepts.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both post-tests than did the control group.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how an economic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ffects their basic economic concep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64 children from two classes in a kindergarten in Busan. One class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This study examines how an economic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ffects their basic economic concep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64 children from two classes in a kindergarten in Busan. One class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he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economic consumer education program twice a week for 11 weeks. Before, right after, and two months following the program, the study measured all the children``s basic economic concepts.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both post-tests than did the control grou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영, "환경 친화적인 경제교육이 유아의 환경의식과 경제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1 (11): 23-47, 2007

      2 윤주현, "현장중심의 통합적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167-182, 2012

      3 심성경,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47-68, 2006

      4 정현영,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79-299, 2012

      5 김영옥, "텃밭가꾸기 중심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9 (49): 209-229, 2007

      6 김정숙, "체험 중심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9 (29): 43-63, 2008

      7 박찬옥,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경제ㆍ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65-290, 2012

      8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경제․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교육과학기술부 2011

      9 김영옥, "유아의 소비생활 인식과 경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모색" 41-62, 1998

      10 이기숙, "유아를 위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양서원 1998

      1 김주영, "환경 친화적인 경제교육이 유아의 환경의식과 경제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1 (11): 23-47, 2007

      2 윤주현, "현장중심의 통합적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167-182, 2012

      3 심성경,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47-68, 2006

      4 정현영,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79-299, 2012

      5 김영옥, "텃밭가꾸기 중심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9 (49): 209-229, 2007

      6 김정숙, "체험 중심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9 (29): 43-63, 2008

      7 박찬옥,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경제ㆍ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65-290, 2012

      8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경제․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교육과학기술부 2011

      9 김영옥, "유아의 소비생활 인식과 경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모색" 41-62, 1998

      10 이기숙, "유아를 위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양서원 1998

      11 채영란,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을 연계한 유아 경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205-237, 2012

      12 문주영,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유아 소비자교육 필요성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01

      13 이순자,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2008

      14 노소은,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5 한명자,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6 서현아,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및 실시현황"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131-151, 2005

      17 장명주,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8 김미경,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과 실시현황및 요구 조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9 홍순옥,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인문과학연구소 11 (11): 103-126, 2006

      20 김영옥, "유아 기본생활습관 교육 활동 자료" 교육부 1998

      21 김성섭, "유아 경제교육이 접근방법에 대한 고찰" 11 : 115-134, 2009

      22 김숙자, "유아 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Ⅲ"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83-313, 2010

      23 손희정,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15 (15): 61-80, 2006

      24 박미자, "유아 경제개념 검사도구 개발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25 鄭水美, "아동의 경제적 개념 이해에 관한 연구"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26 이방실, "세시풍속과 연계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효과" 교육문제연구소 49 : 165-196, 2010

      27 윤선영, "비판적 사고 교수 접근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13-141, 2008

      28 최성환, "백만장자 아빠가 딸에게 보내는 편지" 한국경제매거진 2013

      29 김정원, "문학을 활용한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65-80, 2004

      30 김도진, "몬테소리 수 교육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경제개념, 소비행동, 수 연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307-317, 2011

      31 김혜영, "동화에 나타난 경제개념 내용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2 황경윤, "경제동화 읽기에 기초한 가정 연계 경제교육 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 및 유아와 부모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23, 2013

      33 김덕순,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추론 발달과 어머니의 자녀경제사회화 태도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4 이정진, "경제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35 박선아, "幼兒園 兒童의 消費者 行動에 關한 硏究 : 水原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36 Laney, J. D., "The effect of cooperative and mastery learning methods on primary grade student learning and retention of economic concepts"

      37 Schung, M. C., "The development of economic think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47 : 141-145, 1983

      38 Laney, J. D., "Teah kids economics and they will learn" 11 (11): 13-18, 1998

      39 Melendez, W. R., "Teaching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n" Wadsworth Publishng 2000

      40 Seefeldt, C.,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 Merrill/Pearson 2010

      41 NCSS, "Social studies for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eparing for the 21th century" NCSS 1998

      42 Ward, S., "Consumer socialization" 1 : 1-14, 1974

      43 Stampfl, R. W., "Consumer education and the preschool child" 12 (12): 12-29, 1978

      44 Kourilsky, M., "Children's use of cost benefit analysis: Developmental or nonecxistent?" 1985

      45 Vanfossen, P. J., "Best practice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67 (67): 90-9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