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상광고에 나타나는 감성배색 효과 연구 -국내 커피메이커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motional Coloration Appearing in Video Advertisement -With the Domestic Coffee Makers as Sub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63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dern society is the society where the marketing appealing to the emotion of consumers is becoming definite, and the current tendency is to make products reflect the color image moving human psychology and to apply it to marketing. In the period selling image which is not a product, the color as a means representing image is raising the importance of its rol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oloration applied to video ads with emphasis on ads of coffee makers among video ads from the viewpoint of color design and to confirm the emotional response of users. And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visional emotional coloration as a way to confirm how the coloration of the base of the color emotion appearing in video ads. The study adopts the way to apply the techniques of color marketing which can maximize the cognition and sale of products by using color among the techniques of emotional marketing with the subject analyzing emotional effect. The study aim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video ads applying emotional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emotion of users. As consumers show the emotional response to color and shape through their specific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ssential factor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implicit representation and symbolic imag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ositioning and the study also tries to clarify the context of message. With the emotion of modern consumers valuing intuition and image as the bas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whole image by satisfying emotional desires together with ment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 it is expected that the emotional trend of consumers changing from function to feeling can be conquered by arranging psychologically all the emotional contents such as shapes, patterns, materials and contents through the adjective lingual image scale.
      번역하기

      The modern society is the society where the marketing appealing to the emotion of consumers is becoming definite, and the current tendency is to make products reflect the color image moving human psychology and to apply it to marketing. In the period ...

      The modern society is the society where the marketing appealing to the emotion of consumers is becoming definite, and the current tendency is to make products reflect the color image moving human psychology and to apply it to marketing. In the period selling image which is not a product, the color as a means representing image is raising the importance of its rol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oloration applied to video ads with emphasis on ads of coffee makers among video ads from the viewpoint of color design and to confirm the emotional response of users. And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visional emotional coloration as a way to confirm how the coloration of the base of the color emotion appearing in video ads. The study adopts the way to apply the techniques of color marketing which can maximize the cognition and sale of products by using color among the techniques of emotional marketing with the subject analyzing emotional effect. The study aim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video ads applying emotional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emotion of users. As consumers show the emotional response to color and shape through their specific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ssential factor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implicit representation and symbolic imag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ositioning and the study also tries to clarify the context of message. With the emotion of modern consumers valuing intuition and image as the bas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whole image by satisfying emotional desires together with ment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 it is expected that the emotional trend of consumers changing from function to feeling can be conquered by arranging psychologically all the emotional contents such as shapes, patterns, materials and contents through the adjective lingual image sca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사회는 소비자의 감성에 어필하는 마케팅이 대두되는 사회이며, 사람의 심리를 움직이는 색채 이미지를 상품에 반영시켜 마케팅에 적용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제품이 아닌 이미지를 파는 시대에서 색채는 이미지를 대변하는 수단으로서 그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상광고 중 커피메이커 광고를 중심으로 영상광고에 적용된 배색을 색채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사용자 감성의 반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영상광고에 나타나는 색채 감성 기반의 배색이 시청자의 감성에 어떻게 호소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시각적 감성배색 시 고려할 사항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감성배색의 분석 대상으로 감성 마케팅 기법 중에서 색채를 이용하여 제품의 인지 및 판매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색채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사용자 감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을 통해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영상광고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소비자들은 특정한 경험을 통해 색과 형태에 대한 감성 반응을 하므로 소비자 감성에 대한 포지셔닝(Positioning)조사를 통한 필수요소 분석이 필요하며, 함축적인 표현과 상징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메시지의 맥락을 정확히 하고자 했다. 직관과 이미지를 중시하는 현대 소비자 감성을 기반으로 정신적, 심리적 만족감과 동시에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배색 이미지를 중심으로 형상, 무늬, 소재나 내용 등 감성적인 모든 것을 형용사 언어이미지 스케일을 통해 심리적으로 정리하여 전체 이미지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므로 영상광고 감성배색 분석을 통하여 기능에서 느낌으로 변화하는 소비자의 감성 트렌드를 사로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현대 사회는 소비자의 감성에 어필하는 마케팅이 대두되는 사회이며, 사람의 심리를 움직이는 색채 이미지를 상품에 반영시켜 마케팅에 적용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제품이 아닌 이미...

      현대 사회는 소비자의 감성에 어필하는 마케팅이 대두되는 사회이며, 사람의 심리를 움직이는 색채 이미지를 상품에 반영시켜 마케팅에 적용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제품이 아닌 이미지를 파는 시대에서 색채는 이미지를 대변하는 수단으로서 그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상광고 중 커피메이커 광고를 중심으로 영상광고에 적용된 배색을 색채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사용자 감성의 반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영상광고에 나타나는 색채 감성 기반의 배색이 시청자의 감성에 어떻게 호소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시각적 감성배색 시 고려할 사항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감성배색의 분석 대상으로 감성 마케팅 기법 중에서 색채를 이용하여 제품의 인지 및 판매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색채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사용자 감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을 통해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영상광고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소비자들은 특정한 경험을 통해 색과 형태에 대한 감성 반응을 하므로 소비자 감성에 대한 포지셔닝(Positioning)조사를 통한 필수요소 분석이 필요하며, 함축적인 표현과 상징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메시지의 맥락을 정확히 하고자 했다. 직관과 이미지를 중시하는 현대 소비자 감성을 기반으로 정신적, 심리적 만족감과 동시에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배색 이미지를 중심으로 형상, 무늬, 소재나 내용 등 감성적인 모든 것을 형용사 언어이미지 스케일을 통해 심리적으로 정리하여 전체 이미지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므로 영상광고 감성배색 분석을 통하여 기능에서 느낌으로 변화하는 소비자의 감성 트렌드를 사로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민, "평면디자인 적용에 따른 웹사이트 감성효과 연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15

      2 이재만, "컬러배색 코디네이션" 일진사 2007

      3 오수연, "컬러마케팅 시대! 컬러의 매력으로 승리하자" 마케팅 2001

      4 함준용, "컬러 아이덴티티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인터넷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4

      5 심형근, "채널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6 김은혜, "웹디자인을 위한 UI/UX" 서울교과서 2014

      7 한국미술연구소, "영상디자인" 시공사 1997

      8 박은주, "색채조형의 원리" 미진사 2001

      9 문은배, "색채의 이해" 국제 2002

      10 최정환, "상품광고디자인" 서울교과서 2014

      1 김영민, "평면디자인 적용에 따른 웹사이트 감성효과 연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15

      2 이재만, "컬러배색 코디네이션" 일진사 2007

      3 오수연, "컬러마케팅 시대! 컬러의 매력으로 승리하자" 마케팅 2001

      4 함준용, "컬러 아이덴티티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인터넷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4

      5 심형근, "채널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6 김은혜, "웹디자인을 위한 UI/UX" 서울교과서 2014

      7 한국미술연구소, "영상디자인" 시공사 1997

      8 박은주, "색채조형의 원리" 미진사 2001

      9 문은배, "색채의 이해" 국제 2002

      10 최정환, "상품광고디자인" 서울교과서 2014

      11 이소아, "디자인경영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는"

      12 CCI색채연구소, "감성배색" 도서출판국제 2007

      13 사토쿠니오, 히라시와 데츠야, "감성마케팅" 그린비 1998

      14 "https://www.opensurvey.co.kr/blog/trendreport/onlinevideoead_report_2016"

      15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219103202"

      16 KBS 한국색채연구소, "The Color Coordination For Designers" 2014

      17 "KS A 0062색의 3속성의 표시방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