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건소를 이용하는 재가노인의 낙상두려움 예측요인 = Predictive factors on fear of falling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8492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8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홍(손)귀령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부록 수록
        참고문헌: p. 49-60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of Fear of Falling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 the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Method: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Aug...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of Fear of Falling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 the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Method: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August to September, 2016. A total of one hundred forty-three older adults over 65 years old were recruited from Seoul and Kyung-gi area,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5.9±6.2 years. A total of 88.8% of Participants reported the Fear of Falling. Fear of Falling b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pouse, Number of chronic diseases, Perceived chronic pain, Falling experience, Exercise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Fear of Fall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evel of exercise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Exercise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Fear of Falling(β=-.31, p<.001). Perceived chronic pain(β=.20, p=.026), Falling experience(β=.15, p<.056) and Living arrangement(β=-.15, p<.056) were also significant predictors. These variables explained 25.8% of the variance in Fear of Falling(F=5.11, p<.001).
      Conclusi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n Fear of Falling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factors of Exercise, Perceived chronic pain, Falling experience and Living- arrangement in this popu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기반으로 인지저하가 없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의 운동, 운동효능감과 낙상두려움의 관계를 확인하고 낙상두려움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기반으로 인지저하가 없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의 운동, 운동효능감과 낙상두려움의 관계를 확인하고 낙상두려움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이를 바탕으로 재가노인을 위한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낙상과 낙상두려움예방 간호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 총 4곳의 보건소를 방문하는 65세 이상 노인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인지기능 저하가 없는 재가노인 143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8월 10일부터 9월 27일까지 약 1개월 3주 동안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현일선 등(2010)이 개발한 노인의 낙상지식도구, 최명애 등(2010)이 번안한 노인의 신체활동측정도구(K-PASE)중 운동영역, Choi 등(2015)이 번안한 노인의 운동효능감도구(SEE-K), 송경애 등(2001)이 번안한 노인의 낙상두려움도구(SAF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Dunnett’s T3(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5.9세(±6.2세)였고, 여성은 198명(68.5%), 남성은 45명(31.5%)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교육정도는 초등학교 졸업이하가 52명(36.4%)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가 있는 노인은 80명(55.9%)으로 나타났다. 동거자 수는 1인과 함께 사는 노인이 68명(47.5%)로 가장 많았으며 혼자 사는 노인은 50명(35.0%)으로 나타났다. 유병 만성질환의 수는 1개가 47명(32.9%), 2개는 39명(27.3%)으로 나타났다. 최근 6개월 동안 지속적인 몸의 통증이 있다고 응답한 노인은 90명(62.9%)으로 통증이 없다고 응답한 노인 53명(37.1%)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 1년 이내에 낙상경험이 있는 노인은 143명중에서 30명(21.0%)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낙상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 정도는 총점 10점 중 평균 9.0점이며, 낙상지식 점수는 최저 15점에서 총점 30점 중 평균 26.3점으로 나타났다. 운동을 하는 노인은 총 143명 중 127명(88.8%)으로 일주일 평균 운동정도의 점수는 21.3점이었으며 운동정도의 범위는 2.2점부터 69.8점으로 나타났다. 운동효능감 점수는 90점 총점 중 평균 53.1점이었으며 낙상두려움 점수는 33점 총점 중 평균 10.2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낙상두려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는 배우자 유무(p=.022), 만성질환 수(p=.015), 통증유무(p<.001), 낙상경험 유무(p=.022), 운동유무(p=.012), 운동효능감 유무(p<.001)로 나타났다. 연령, 성별, 교육정도와 동거자 수에 따른 낙상두려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낙상두려움과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노인의 연령(r=.18, p=.037), 만성질환 수(r=.22, p=.009)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r=-.41, p<.001)과 운동효능감(r=-.27,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는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중 인구학적 변수(연령, 성별, 교육정도, 배우자 유무, 동거자 수), 구조적변수(낙상지식, 낙상경험, 만성질환 수, 통증유무), 지각된 심각성(낙상의 심각성)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통증유무(β=.24, p=.014), 낙상경험(β=.17, p=.043), 만성질환 수(β=.16, p=.05)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15.3%로 나타났다(F=3.56, p<.001). 2단계에서는 지각된 유익성(운동과 운동효능감)을 투입한 후 설명력이 10.5% 증가하였다(F=5.11, p<.001). 전체적인 낙상두려움 예측요인은 운동정도(β=-.31, p<.001), 통증유무(β=.20, p=.026), 낙상경험(β=.15, p<.056), 동거자 수(β=-.15, p<.05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체변수의 설명력은 25.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5.11, p<.001).

      본 연구결과, 운동과 낙상두려움의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운동효능감과 낙상두려움의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낙상두려움 예측요인으로 노인의 운동정도가 가장 중요한 예측인자이며, 그 다음으로는 통증유무, 낙상경험 그리고 동거자 수가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또한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중 ‘지각된 유익성(운동정도)가 지각된 위협감(낙상두려움)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고 설정한 가설이 지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낙상과 낙상두려움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다학제간 협력을 바탕으로 운동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과 체계적인 만성질환관리를 통한 통증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의 정의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문헌 고찰 8
      • 1. 노인의 낙상두려움 8
      • 2. 노인의 운동 10
      • 3. 노인의 운동, 운동효능감과 낙상두려움 12
      • Ⅲ. 이론적 틀 14
      • 1. 건강신념모형 14
      • 2. 본 연구의 이론적 틀 17
      • IV. 연구 방법 21
      • 1. 연구 설계 21
      • 2. 연구 대상 21
      • 3. 연구 도구 23
      • 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6
      • 5. 자료분석 방법 27
      • V. 연구 결과 28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28
      • 2. 대상자의 낙상에 대한 지각된 신체적정신적 심각성, 낙상지식,
      • 운동, 운동효능감, 낙상두려움 정도 30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 낙상두려움 정도의 차이 33
      • 4. 대상자의 낙상두려움과 제 변수간의 관계 35
      • 5. 대상자의 낙상두려움 예측요인 37
      • VI. 논의 41
      • Ⅶ. 결론 및 제언 47
      • 1. 결론 47
      • 2. 제언 48
      • 참고문헌 49
      • 부록 61
      • Abstract 76
      • 감사의 글 78
      • 연구윤리서약서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