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휴먼 시대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과 융·복합적 교육 접근 모색 = The Implication on the Diverse Perspectives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s of Architecture with Convergence Approaches in the Digital Human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3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과학기술 시대에는 인간의 창의력과 새로운 지식에의 접근, 다양한 학문을 통한 융·복합적 아이디어의 발견, 기술적 상상력과 더불어 인문학적 사고를 필요로 한�...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과학기술 시대에는 인간의 창의력과 새로운 지식에의 접근, 다양한 학문을 통한 융·복합적 아이디어의 발견, 기술적 상상력과 더불어 인문학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디지털 휴먼 시대에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을 4가지 학제적(기술공학적, 도시경제환경적, 조형예술적, 인문학적) 측면으로 도출하고 이를 학교교육으로 변환하기 위한 융·복합적 접근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기초건축교육이 국민교육을 위한 공교육으로의 도입을 시도했던 것과 달리, 현재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건축교육은 사회·경제·환경·문화적 변화에 따른 메가트렌드를 건축과 연결 하여 도시재생 및 발전에 공헌하는 건축으로의 인식 변화를 꾀하고 궁극적으로 문화적·산업적 경쟁력 향상과 건축문화 진흥의 토대 마련을 위한 교육에 집중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건축 정책에서 제외된 건축이 함유한 조형예술적 의미와 인문학적 가치를 환기하여 학교교육에서의 학교급별 건축교육을 제안하면서, 디지털 휴먼 시대 인류 미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견인하는 데 있어 스마트 도시환경 정책을 실현함과 동시에 인문학적 부흥을 꾀할 수 있는 중요한 융·복합 분야가 바로 건축 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creativity and access to new knowledge, the discovery of convergence ideas through various studies and humanistic thinking are required as well as technological imagina...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creativity and access to new knowledge, the discovery of convergence ideas through various studies and humanistic thinking are required as well as technological imag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four academic aspects of architecture in this digital human era with the diverse perspectives(technical engineering, urban economic environment, formative arts, and humanities) and to explore a convergent and complex approach for application to school architecture education. Unlike previous attempts to introduce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as public education,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currently promo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nnects megatrends to architecture, ultimately focusing on improving cultural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us, this study proposes architectural education to school education by recalling the structural artistic meaning and humanities values excluded from the current architectural policy, emphasizing that architecture is an important convergence field in driving sustainable growth and current smart-urban environment towards future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Ⅱ.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의 학제적 이해 Ⅲ. 융·복합 시대 건축 정책 현황과 건축교육 실천 사례 Ⅳ. 디지털 휴먼 시대 건축교육의 융·복합적 실천 가능성 Ⅴ. 결론 및 제언
      • I. 서론 Ⅱ.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의 학제적 이해 Ⅲ. 융·복합 시대 건축 정책 현황과 건축교육 실천 사례 Ⅳ. 디지털 휴먼 시대 건축교육의 융·복합적 실천 가능성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연, "학교미술교육에서 건축교육 현황 및 쟁점 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77) : 141-171, 2021

      2 류호창,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물성의 감성적 표현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57-165, 2017

      3 Smith, T., "컨템포러리 아트란 무엇인가" 마로니에북스 2013

      4 김정곤, "친환경 건축에서 나타나는 랜드스케이프 건축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3-10, 2013

      5 김광현, "초등교원 미술연수에서 초등건축교육 강의"

      6 국토교통부,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2021-2025)" 국토교통부 2021

      7 국토해양부, "제1차 건축정책기본계획(2010-2014)" 국토해양부 2010

      8 전민주, "장소의 형성 요인과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관계성 연구-C. N. Schulz의 장소 형성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3 (13): 111-124, 2018

      9 문화체육관광부,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인문학법)([시행 2019.6.19.] [법률 제15957호, 2018.12.18. 일부개정])"

      10 민병호, "인간장소 : 휴먼 디자인의 일곱 가지 허미뉴틱스" 문운당 2017

      1 이주연, "학교미술교육에서 건축교육 현황 및 쟁점 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77) : 141-171, 2021

      2 류호창,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물성의 감성적 표현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57-165, 2017

      3 Smith, T., "컨템포러리 아트란 무엇인가" 마로니에북스 2013

      4 김정곤, "친환경 건축에서 나타나는 랜드스케이프 건축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3-10, 2013

      5 김광현, "초등교원 미술연수에서 초등건축교육 강의"

      6 국토교통부,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2021-2025)" 국토교통부 2021

      7 국토해양부, "제1차 건축정책기본계획(2010-2014)" 국토해양부 2010

      8 전민주, "장소의 형성 요인과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관계성 연구-C. N. Schulz의 장소 형성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3 (13): 111-124, 2018

      9 문화체육관광부,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인문학법)([시행 2019.6.19.] [법률 제15957호, 2018.12.18. 일부개정])"

      10 민병호, "인간장소 : 휴먼 디자인의 일곱 가지 허미뉴틱스" 문운당 2017

      11 홍성욱, "융합이란 무엇인가 : 융합의 과거에서 미래를 성찰하다" 사이언스북스 2012

      12 전진영, "융·복합 시대의 건축인문학" 58 (58): 56-57, 2014

      13 김영훈, "왜 건축인가 : 건축의 8개의 보이지 않는 손" 세진사 2006

      14 서현, "사라진 건축의 그림자" 효형출판 2012

      15 승효상, "보이지 않는 건축, 움직이는 도시" 돌베개 2016

      16 김정신, "바이오모픽 건축의 유기체 철학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36-443, 2014

      17 윤갑근, "랜드스케이프 건축개념의 재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105-114, 2007

      18 김광현, "기초건축교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및 교재 내용 개발 연구" 국토해양부 2012

      19 고인석, "기술의 융합, 학문의 통합" 84 : 68-80, 2010

      20 윤희철, "그림 그리는 건축가의 서울 산책" 이종 2017

      21 유현준, "공간이 만든 공간 :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을유문화사 2020

      22 Giedion, S., "공간·시간·건축" Spacetime·시공문화사 2013

      23 서현,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의 Architecture/Architect의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149-156, 2009

      24 승효상, "건축이란 무엇인가: 우리 시대 건축가 열한명의 성찰과 사유" 열화당 13-26, 2012

      25 김인철, "건축이란 무엇인가: 우리 시대 건축가 열한명의 성찰과 사유" 열화당 53-70, 2012

      26 승효상, "건축이란 무엇인가 : 우리 시대 건축가 열한명의 성찰과 사유" 열화당 2012

      27 김광현, "건축이라는 가능성" 안그라픽스 2018

      28 장용순, "건축의 철학적 모험 : 은유와 생성" 열린 책들 2010

      29 Ruskin, J., "건축의 일곱 등불" 마로니에북스 2012

      30 Caudill, W. W., "건축의 이해" 기문당 2018

      31 봉일범, "건축의 외연" 예림인쇄 2005

      32 Ven de Ven, C., "건축의 공간 개념: 근대건축 역사와 이론에서 진화한 새로운 개념" 씨아이알 2019

      33 김혜정, "건축을 읽는 7가지 키워드" 효형출판 2014

      34 김유봉, "건축은 삶과 둥지" 기문당 1998

      35 Michelis, P. A., "건축미학" 까치 2007

      36 김석철, "건축과 도시의 인문학" 돌베개 2011

      37 김유한, "건축개론" 청문각(교문사) 2007

      38 서현, "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 인문적 건축 이야기" 효형출판 2014

      39 Tait, J., "건축 개념의 네 가지 기둥: 끝까지 살아남는 건축 개념을 위한 32가지 생각들" Spacetime 2018

      40 Jones, K., "Top 7 construction technology trends for 2021"

      41 김미옥, "The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German Bauhaus"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1 (21): 38-49, 2018

      42 문화도시연구소, "K12건축학교"

      43 서울도시건축센터, "2021 서울어린이건축학교"

      44 김중업박물관, "2019 어린이건축학교 프로그램"

      45 K12건축학교, "2013 김포 수남초등학교 건축교실(브로슈어)"

      46 윤민희, "100주년을 맞이한 바우하우스 조형교육의 재조명과 현대적 의미" 한국조형교육학회 (74) : 207-227, 2020

      47 김광현, "(전문가 포럼) 건축은 인문학이 아니다" 한국경제신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조형교육
      외국어명 : ART EDUCATION REVIEW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6 0.94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