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경수역에서 표류하는 일본 - 한류와 혐한류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사회 - = Understanding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through “Korea Wave”and“ Hate Korea Wa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0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recent phenomena of “Korea Wave
      (Kanryu^)”and “Hate Korea Wave (Kenkanryu^)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I argue that the “(Hate) Korea Wave”is a part of
      larger phenomena related to the disintegration of “main stream
      consciousness”during the economic recession of the 1990s. The“ main
      stream consciousness”refers to the collective self-perception of
      Japanese people in which 90% of Japanese considered themselves as
      members of new middle-class. Both “Korea Wave”and “Hate Korea
      Wave”have their roots in populism embedded in the frustration and
      distrust toward the established order and the ambivalent expectation
      for reform of the existing social system. It still remains to be seen
      how these contradictory undercurrents in Japanese society will
      transform Japan’s self-perception and view of the other.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recent phenomena of “Korea Wave (Kanryu^)”and “Hate Korea Wave (Kenkanryu^)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I argue that the “(Hate) Korea Wave”is a part of larger phenomena related to the disintegration of “mai...

      This article examines the recent phenomena of “Korea Wave
      (Kanryu^)”and “Hate Korea Wave (Kenkanryu^)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I argue that the “(Hate) Korea Wave”is a part of
      larger phenomena related to the disintegration of “main stream
      consciousness”during the economic recession of the 1990s. The“ main
      stream consciousness”refers to the collective self-perception of
      Japanese people in which 90% of Japanese considered themselves as
      members of new middle-class. Both “Korea Wave”and “Hate Korea
      Wave”have their roots in populism embedded in the frustration and
      distrust toward the established order and the ambivalent expectation
      for reform of the existing social system. It still remains to be seen
      how these contradictory undercurrents in Japanese society will
      transform Japan’s self-perception and view of the ot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사와 마리, "회사인간사회의 성:현대일본을 젠더로 읽다" 나남출판 1995

      2 이따가끼 류우따, "혐한류의 해부학" 34 (34): 2006

      3 다카하라 모토아키, "한중일 인터넷 세대가 서로 미워하는 진짜 이유:불안형 내셔널리즘의 시대, 한중일 젊은이들의 갈등 읽기" 삼인 2007

      4 오구라 키조오, "한류와 혐한류의 공통성" 34 (34): 2006

      5 하라타유키에, "한국을소비하는일본:한류, 여성, 드라마" 책세상 133-, 2005

      6 장화경, "젠더의 관점에서 본 전후 일본의 가족관련복지정책의 변용, In 일본형시스템:위기와 변화" 일조각 2005

      7 김영작, "일본형 시스템:위기와 변화" 일조각 2005

      8 오노 고지, "일본의 정치문화, In 현대일본의 정치와 사회" 매봉 2005

      9 임경택, "일본대중문화속의‘한류’, In 일본한류, 한국과 일본에서 보다" 한국학중앙연구회 2007

      10 한상일, "일본,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조선병탄과 시선의 정치의 에필로그" 일조각 2006

      1 오사와 마리, "회사인간사회의 성:현대일본을 젠더로 읽다" 나남출판 1995

      2 이따가끼 류우따, "혐한류의 해부학" 34 (34): 2006

      3 다카하라 모토아키, "한중일 인터넷 세대가 서로 미워하는 진짜 이유:불안형 내셔널리즘의 시대, 한중일 젊은이들의 갈등 읽기" 삼인 2007

      4 오구라 키조오, "한류와 혐한류의 공통성" 34 (34): 2006

      5 하라타유키에, "한국을소비하는일본:한류, 여성, 드라마" 책세상 133-, 2005

      6 장화경, "젠더의 관점에서 본 전후 일본의 가족관련복지정책의 변용, In 일본형시스템:위기와 변화" 일조각 2005

      7 김영작, "일본형 시스템:위기와 변화" 일조각 2005

      8 오노 고지, "일본의 정치문화, In 현대일본의 정치와 사회" 매봉 2005

      9 임경택, "일본대중문화속의‘한류’, In 일본한류, 한국과 일본에서 보다" 한국학중앙연구회 2007

      10 한상일, "일본,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조선병탄과 시선의 정치의 에필로그" 일조각 2006

      11 주영하, "일본 한류를 바라보는 시각, In 일본 한류, 한국과 일본에서 보다" 한국학중앙연구회 15-16, 2007

      12 주영하, "일본 한류, 한국과 일본에서 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13 채지영, "일본 한류 소비자연구:한류마니아와 일반 소비자의 소비행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14 조규철, "복지국가의 쇠퇴와 비영리단체의 대두, In 일본형시스템:위기와 변화" 일조각 2005

      15 이기완, "고이즈미식 포퓰리즘과 2005년 중의원 선거" 아세아문제연구소 49 (49): 173-194, 2006

      16 石田佐惠子, "韓流ブ一ムのさまざまな語り手たち:他者表象と越境する文化, In ポスト韓流のメデイア社會學" ミネルブァ書房 44-, 2007

      17 小倉紀藏, "韓流インパクト:ルックコリアと日本の主體化" 講談社 2005

      18 中央公論編輯部, "論爭中流崩壞" 中公新書 2001

      19 波佐場淸, "朝日新聞と韓流:ブ一ム越える‘國つくり’のパウ一, In ポスト韓流のメデイア社會學" ミネルブァ書房 2007

      20 大嶽秀夫, "日本型ポピュリズム:政治への期待と幻滅" 中央新書 2003

      21 藤原正彦, "國家の品格" 新潮社 2005

      22 瀨川成子, "作り手たち" 7/1 (7/1): 24-, 2004

      23 山野車輪, "まんが嫌韓流2" 普遊舍 255-, 2006

      24 "『まんが嫌韓流』讀者の聲, In まんが嫌韓流公式ガイドブック" 普遊舍 15-38, 2006

      25 鵜野光博, "“嫌韓流現象”を讀み解く, In 別冊 正論" 233-, 2004

      26 中澤明子, "“冬ソナ”に胸キュン" (36) : 2003

      27 Tessa Morris-Suzuk, "Virtual Memories:Japanese History Debates, in Manga and Cyberspace" 26 (26): 2002

      28 Norimitsu Onishi, "Ugly Images of Asian Rivals Become Best Sellers in Japan"

      29 Kristin Kyoko Altman, "Television and Political Turmoil:Japan’s Summer of 1993, In Media and Politics in Japan" Hawaii Press 1993

      30 David Thorburn, "Television Melodrama, In Television: The Critical View"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1 William W. Kelly, "Students, Slackers, Singles, Seniors, and Strangers Transforming a Family Nation, In Beyond Japan:The Dynamics of East Asian Region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2006

      32 Richard Campbell, "Securing the Middle Ground:Reporter Formulas in 60 Minutes, In Television:The Critical View"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3 Robert Pekkanen, "Molding Japanese Civil Society:State-Structured Incentives and the Patterning of Civil Society, In The State of Civil Society in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4 Laurie Freeman, "Mobilizing and Demobilizing the Japanese Public Sphere:Mass Media and the Internet in Japan, In The State of Civil Society in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5 Susan J. Pharr, "Media and Politics in Japan: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In Media and Politics in Japan" Hawaii Press 4-, 1996

      36 Andrew Gordon, "Managing the Japanese Household:The New Life Movement in Postwar Japan" (Summer) : 1997

      37 Maggie Farley, "Japan’s Press and the Politics of Scandal, In Media and Politics in Japan" Hawaii Press 1996

      38 Robert Pekkanen, "Japan’s New Politics:The Case of the NPO Law" 26 (26): 2000

      39 Ezra F. Vogel, "Japan’s New Middle Class:The Salary Man and His Family in a Tokyo Suburb"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1

      40 Thomas P. Rohlen, "Japan’s High School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41 Jim Frederick, "Gross National Cool"

      42 Robert J. Smith, "Gender Inequality in Contemporary Japan" 13 (13): 1997

      43 Laurie Anne Freeman, "Closing the Shop: Information Cartels and Japan’s Mass Me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