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analyzing research trends by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2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27739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전공 , 2023.2
2023
한국어
서울
Trend analysis research on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xi, 182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한상미
I804:11046-00000054613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nalyzing research trends by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20...
As analyzing research trends by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2016 World Economic Forum (WE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defined as ‘the age of convergence of technologies that break boundaries among digital, physical, and biological fields’, and then due to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humans and objects can be interconnect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fter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the convergence between virtual and real worlds and the Internet of Everything that becomes intellectual, it has been activated to have discourses on EduTech, which incorporat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to education.
After COVID-19, which is the first reported new infectious disease at the end of 2019, was spread,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was accelerated in earnest an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utilizing ICT was introduced into the education sites even into the public school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s started having discussions on online education as an alternative measure for face-to-face education in earnest after 2020. Based on the discourses, research on online Korean education has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ccording to the fact, trend analysis studies on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eared not only including specific areas but also covering overall topics in the field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depending on a viewpoint of trend analysis by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but they could not compose criteria, which are able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fically and they could not research these criteria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rend analysi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by selecting 149 academic papers, related to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were published in major domes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journals from 1998 to October in 2022.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on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omposing criteria with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eriod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embryonic period(1998-2001), the stagnant period (2002-2011), the leaping period (2012-2015), the diversification period (2016-2019), and the expansion period (after 2020). Increasing and decreasing patterns have been repeated since 1998, but as a result of categorizing and examining them by the research period, they are gradually increasing.
Second,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the research subject, studies on contents, media, and learners were major. In the research on content and media, it is most conducted research that develops education materials by analyzing various contents and media such as Korean textbooks, web-based textbooks, multimedia materials, online Korean language courses, mobile video content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or develop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using the developed education materials.
Third,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the research topic, it is most conducted research that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its proportion was about 4.95 times higher than studies which covered teaching and learning tools. In specific topics of teaching and learning,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focusing on teaching methods related to online class operation such as Blended Learning, Flipped Learning, and Hybrid Learning, and on teaching methods by utilizing smartphone applications or smart devices.
Four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the research method, single method studies took 5.48 times higher proportion than mixed method studies. By research method of single method studies, there were case studies and survey studies in order of frequency. In the mixed method studies, survey and case studies, which are a sort of mixed method studies with the case study utilized in the single method studi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educed conclusions as follows. Studies on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unequally distributed towards specific area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Therefore, research has to be conducted for various aspects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First,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eachers, research materials of online education, and learners more actively.
Second, in terms of research topic, it is necessary to have discussions on specific topics more actively, such as ‘research on policies or systems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on detailed subjects (grammar, vocabulary, discourse, cultu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research on correlation in online education’, ‘ research on administrative services that operate and manage online education system or that support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nd ‘research on assessment that can be utilized in online education courses’.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 it is necessary for one research topic to adopt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experimental research, investigation research, case study, action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narrative inquir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duct practical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and can improve education fields by concentrating on topics that have not been covered comparatively and by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in research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ub-categ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duct a related study on tutors as direct support for learners in order to operate an online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education field by examining aspect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online education system, by focusing on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quasi-expert quality in content knowledge by utilizing social resources or on AI tutors that utilize AI.
Second,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review the direction of online-based assessment, which is different from face-to-face education,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and models, assessment methodology, and assessment realization method. In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his study found that discussions on assessment tools and methods, optimized for non-face-to-face Korean language education did not make any progress compared to the other research topics. It is necessary to have enough discussions on realization methods for new types of question and assessment methods that can evaluate Korean ability of learners by utilizing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based assessment rather than applying current offline assessment method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that utilize a single research method and various mixed research methods, which could not be highlighted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possible to present research topics,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in the past, from a new perspective by attempting to adopt various types of research methods by utilizing ‘action research’, ‘narrative inquiry’, ‘experimental research’, and ‘various mixed research methods’.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연구 시기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방법별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현황과 나아가야 할 ...
본 연구는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연구 시기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방법별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4차 산업 혁명을‘디지털, 물리적,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를 허무는 기술의 융합 시대’로 정의한 이후 ICT 기술의 발달로 시간과 장소와 관계없이 인간과 사물이 상호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 가상과 현실 세계의 융합과 지능화된 만물 인터넷을 경험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교육에 접목한 에듀테크(EduTech)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었다.
본격적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가 앞당겨지고 ICT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학교 교육을 비롯한 교육현장에 도입된 시기는 2019년 말에 최초로 보고된 코로나바이러스 신종감염병(COVID-19, 이하 코로나19)이 확산된 이후이다.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202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대면 교육을 대체하는 방식으로서 온라인 교육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가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에 특정 영역에만 초점을 둔 것이 아닌 온라인 한국어 교육 분야의 전반적인 주제를 연구 대상의 범위에 포함하여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방법별 동향 분석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한국어 교육 분야 안에서 온라인 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기준을 상세하게 구성하고 연구하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하였다.
이러한 기존 동향 분석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22년 10월까지 국내 주요 한국어 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 관련 학술 논문 총 149편을 대상으로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 분류 기준을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방법 유형으로 선정하여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는 연구 시기별로 나타나는 특징을 중심으로 태동기(1998~2001년), 정체기(2002~2011년), 도약기(2012~2015년), 다양화기(2016~2019년), 확대기(2020년 이후)로 구분되었다. 1998년 이후부터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연구 시기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연구 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콘텐츠 및 매체 대상 연구, 학습자 대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콘텐츠 및 매체 대상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 웹 기반 교재, 멀티미디어 자료, 온라인 한국어 강좌,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와 매체를 분석하여 교육자료를 개발하거나 이를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 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교수학습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수학습 도구보다 약 4.95배 더 높은 연구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교수학습 영역의 세부 주제에서는 블렌디드 러닝, 플립 러닝, 하이브리드러닝 등 온라인 수업 운영 방식과 관련된 수업 방안 연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또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 방안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 분석 결과 혼합 연구보다 단일 연구의 비중이 5.48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단일 연구의 연구방법 유형별로는 사례연구, 조사연구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혼합 연구에서는 단일 연구에서 많이 사용된 사례연구와 혼합연구방법인 [조사, 사례]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는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다. 그렇기에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연구 대상 중에서 교사, 온라인 교육 연구용 자료, 교사와 학습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주제에서는 ‘온라인 한국어 교육 관련 정책이나 제도를 다룬 연구’, ‘교육 내용 관련 세부 주제(문법, 어휘, 화용(담화), 문화, 통·번역)를 다룬 연구’, ‘온라인 교육에서의 상호작용 관련 연구’,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하거나 온라인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행정 서비스 관련 연구’, ‘온라인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평가 관련 연구’ 등 세부 주제에서 다양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하나의 연구 주제에 대하여 연구방법론적으로 실험연구, 조사연구, 사례연구, 실행연구, 문헌연구, 내러티브탐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의 유형을 적용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주제에 주목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고 교육현장을 개선할 수 있는 실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하위 분야로서 온라인 한국어 교육 분야의 후속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온라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하여 학습자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으로서 튜터(tutor)를 대상으로 하는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양한 인적, 사회적 자원을 활용하여 내용 지식의 준전문가로서 자질을 갖춘 예비 한국어 교원이나 인공지능을 활용한 AI 튜터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시스템 운영과 관리 측면에서 탐색하여 온라인 교육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대면 교육과 차별화되는 온라인 기반 평가의 방향성, 평가 도구 및 모형 개발, 평가 방법론, 평가 구현 방안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 비대면 한국어 교육현장에 최적화된 평가 도구 및 방안과 관련한 논의는 다른 연구 주제보다 특별한 진전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오프라인 평가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기반 평가의 장점과 특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문항 유형과 평가 방식의 구현 방안에 대해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 연구방법론으로 많이 주목하지 않은 단일 연구방법과 다양한 혼합연구방법 유형을 사용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실행연구’, ‘내러티브탐구’, ‘실험연구’유형과 여러 혼합 연구방법 유형을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의 유형을 적용하는 시도를 통해 기존에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연구 주제를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