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필라테스 운동이 성인여성의 생리통, 신체균형, 근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77782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Pilates Exercise on Dysmenorrhea, Body Balance, Muscle Strength, and Flexibility in Adult Women

      • 형태사항

        vii, 52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재희
        참고문헌 : p.40-49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6375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생리통 완화에는 약물요법과 함께 다양한 보존적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보존적 방법들 중 다양한 운동요법이 생리통 정도를 완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 중 필라테스의 생리통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2주간의 필라테스 운동이 성인 여성의 생리통 완화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필라테스의 생리통 완화 효과가 신체 불균형, 유연성 및 근력의 향상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COVID-19의 영향으로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 실시되었으며, 2021년 4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생리통을 겪는 여성 10명을 모집하여 필라테스군(n=5)과 무처치 대조군(n=5)에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피험자는 서울특별시에서 거주하는 만 20세∼40세의 가임기 여성으로 당근마켓, 인스타그램, 페이스 북 등의 SNS를 통해 모집되었으며, 의료적 치료가 필요한 자궁의 질환이 없는 자로 제한하여 모집하였다. 총 18인이 지원하였으며, 지원 탈락한 8인 중 3명은 시간 조건의 불합치로, 나머지 5명은 자궁 질환 보유로 인해 탈락하여 최종 10인이 선정되었다. 필라테스군에서는 복부와 골반 근력을 강화하는 필라테스 운동을 회당 50분씩 주 2회, 12주간 총 24회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12주 무처치 기간 동안 평소와 같이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후 2021년 8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필라테스군과 동일하게 보상하였다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사전과 12주 후 생리통 정도는 visual analogue scale (VAS)로, 또한 생리 중 겪는 월경곤란증은 Cox menstrual symptom scale의 한국어 버전으로 평가하였고, 생리전증후군은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 (PSST)의 한국어 버전으로 평가하였다. 근력검사는 고관절 굴곡, 신전과 외전 시 대퇴부 근력을 디지털 소형 근육 측정기로, 요부 유연성은 좌전굴로, 신체 좌우 불균형 정도는 어깨와 골반의 좌우 높낮이 차이를 각도계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시 자료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는지를 검정하였으며,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닐 경우에는 집단 간 차이 또는 집단 내 차이가 유의한지를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 또는 Wilcoxon signed-rank test로 검정하였다. 정규분포 시 집단 간 차이 또는 집단 내 차이가 유의한지는 독립 t-test 또는 종속 t-test으로 검정하였고, 측정 시기와 처치에 따른 변화의 유의성은 반복측정 이원분산 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일반적 특성, 생리 관련 특성과 사전 측정값의 집단 간 차이를 검정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복측정이원분산 결과에서 VAS로 측정한 생리통 강도(p<.001) 및 월경곤란증 빈도(p = .07)와 정도(p = .09)는 사전·사후 변화정도가 집단 간 다르게 나타났다. 각 집단 내 변화가 유의한지에 대해 종속 t-test를 실시한 결과에서는 필라테스군의 경우 사전과 비교하여 12주 후 VAS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경곤란증 빈도(p=.07)와 정도(p=.06)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필라테스군의 PSST 단계 분포가 중등도 또는 중증에서 정상/경증 또는 중등도로 감소하였다. 반면 대조군은 VAS 및 월경곤란증의 빈도와 정도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견봉의 좌우와 전상장골극의 좌우 대칭 정도를 나타내는 어깨 경사와 골반 경사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어깨 경사와 골반 경사 측정치는 정규분포를 따르고 있지 않아서, 각 집단 내 변화의 유의성을 Wilcoxon signed-rank test로 검정하였다. 대조군은 사전·사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 필라테스 군에서는 어깨 경사(p < .05)와 골반 경사(p < .05) 모두 12주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어깨와 골반의 좌우 균형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셋째, 유연성은 필라테스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12주 후 사전·사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고관절 등척성 근력의 경우, 필라테스군에서 굴곡 시 측정한 오른쪽 대퇴 근력(p < .05)과 외전 시 측정한 왼쪽 대퇴 근력(p < .0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생리통 정도와 월경곤란증의 완화에 효과적이고 어깨와 골반 좌우의 균형과 고관절 근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필라테스 프로그램으로 인한 신체 균형과 근력 향상이 일정 부분 생리통 완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또한 본 연구는 생리통 완화에 코어와 골반 근육의 강화가 도움이 된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에 신체의 균형과 하지근력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추가함으로써 생리통 완화에 더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생리통 완화에는 약물요법과 함께 다양한 보존적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보존적 방법들 중 다양한 운동요법이 생리통 정도를 완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 중 필라테스의 생리통 완...

      생리통 완화에는 약물요법과 함께 다양한 보존적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보존적 방법들 중 다양한 운동요법이 생리통 정도를 완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 중 필라테스의 생리통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2주간의 필라테스 운동이 성인 여성의 생리통 완화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필라테스의 생리통 완화 효과가 신체 불균형, 유연성 및 근력의 향상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COVID-19의 영향으로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 실시되었으며, 2021년 4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생리통을 겪는 여성 10명을 모집하여 필라테스군(n=5)과 무처치 대조군(n=5)에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피험자는 서울특별시에서 거주하는 만 20세∼40세의 가임기 여성으로 당근마켓, 인스타그램, 페이스 북 등의 SNS를 통해 모집되었으며, 의료적 치료가 필요한 자궁의 질환이 없는 자로 제한하여 모집하였다. 총 18인이 지원하였으며, 지원 탈락한 8인 중 3명은 시간 조건의 불합치로, 나머지 5명은 자궁 질환 보유로 인해 탈락하여 최종 10인이 선정되었다. 필라테스군에서는 복부와 골반 근력을 강화하는 필라테스 운동을 회당 50분씩 주 2회, 12주간 총 24회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12주 무처치 기간 동안 평소와 같이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후 2021년 8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필라테스군과 동일하게 보상하였다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사전과 12주 후 생리통 정도는 visual analogue scale (VAS)로, 또한 생리 중 겪는 월경곤란증은 Cox menstrual symptom scale의 한국어 버전으로 평가하였고, 생리전증후군은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 (PSST)의 한국어 버전으로 평가하였다. 근력검사는 고관절 굴곡, 신전과 외전 시 대퇴부 근력을 디지털 소형 근육 측정기로, 요부 유연성은 좌전굴로, 신체 좌우 불균형 정도는 어깨와 골반의 좌우 높낮이 차이를 각도계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시 자료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는지를 검정하였으며,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닐 경우에는 집단 간 차이 또는 집단 내 차이가 유의한지를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 또는 Wilcoxon signed-rank test로 검정하였다. 정규분포 시 집단 간 차이 또는 집단 내 차이가 유의한지는 독립 t-test 또는 종속 t-test으로 검정하였고, 측정 시기와 처치에 따른 변화의 유의성은 반복측정 이원분산 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일반적 특성, 생리 관련 특성과 사전 측정값의 집단 간 차이를 검정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복측정이원분산 결과에서 VAS로 측정한 생리통 강도(p<.001) 및 월경곤란증 빈도(p = .07)와 정도(p = .09)는 사전·사후 변화정도가 집단 간 다르게 나타났다. 각 집단 내 변화가 유의한지에 대해 종속 t-test를 실시한 결과에서는 필라테스군의 경우 사전과 비교하여 12주 후 VAS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경곤란증 빈도(p=.07)와 정도(p=.06)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필라테스군의 PSST 단계 분포가 중등도 또는 중증에서 정상/경증 또는 중등도로 감소하였다. 반면 대조군은 VAS 및 월경곤란증의 빈도와 정도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견봉의 좌우와 전상장골극의 좌우 대칭 정도를 나타내는 어깨 경사와 골반 경사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어깨 경사와 골반 경사 측정치는 정규분포를 따르고 있지 않아서, 각 집단 내 변화의 유의성을 Wilcoxon signed-rank test로 검정하였다. 대조군은 사전·사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 필라테스 군에서는 어깨 경사(p < .05)와 골반 경사(p < .05) 모두 12주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어깨와 골반의 좌우 균형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셋째, 유연성은 필라테스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12주 후 사전·사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고관절 등척성 근력의 경우, 필라테스군에서 굴곡 시 측정한 오른쪽 대퇴 근력(p < .05)과 외전 시 측정한 왼쪽 대퇴 근력(p < .0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생리통 정도와 월경곤란증의 완화에 효과적이고 어깨와 골반 좌우의 균형과 고관절 근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필라테스 프로그램으로 인한 신체 균형과 근력 향상이 일정 부분 생리통 완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또한 본 연구는 생리통 완화에 코어와 골반 근육의 강화가 도움이 된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에 신체의 균형과 하지근력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추가함으로써 생리통 완화에 더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ilates is effective in alleviating menstrual pain and menstrual difficulties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secondary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ief of dysmenorrhea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postural alignment, pelvic muscle strength, and back flexi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with small sample size because the recruitment process of study subject was expected to have difficult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en women with menstrual pain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Pilates experimental group (n=5) and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5). The Pilates group had a total of 24 Pilates sessions for 12 weeks. The Pilates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50 minutes per session and consisted of a series of mat exercises designed to strengthen abdominal and pelvic muscles.
      At baseline and after 12 weeks, menstrual pain intensity and difficulties during menstruation (dysmenorrhea) were assess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Cox menstrual symptom scale (Cox), respectively. Premenstrual symptoms was measured by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 (PSST). In addition, shoulder and pelvic balance and back flexibility were assessed. The maximal isometric muscle strength during hip flexion, extension, and external rotation was evaluated using hand dynamomet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 between and within the groups was tested using 2-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nd paired t-test. When data was not normally distributed,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within-group difference and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between-group differenc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pilates group, pain intensity measured by VAS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frequency and degree of dysmenorrhea tended to decrease. In addition, the severity of premenstrual symptoms in the Pilates group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VAS, Cox frequency and degree, and PSST score.
      Shoulder and pelvic height differenc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12 weeks of intervention in the Pilates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suggesting improvement in shoulder and pelvic balance. Additionally, after 12 weeks back flexibil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both Pilates and control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the hip joi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right hip flexors and the left hip external rotators in the Pilates group after 12 weeks. In the control group, all measures of muscle strength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he 12-week pilates exercise seems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menstrual pain and menstrual difficulties improving misalignment of the body and muscle strength of hip joint.
      번역하기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ilates is effective in alleviating menstrual pain and menstrual difficulties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secondary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ief of dysmenorrhea...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ilates is effective in alleviating menstrual pain and menstrual difficulties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secondary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ief of dysmenorrhea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postural alignment, pelvic muscle strength, and back flexi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with small sample size because the recruitment process of study subject was expected to have difficult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en women with menstrual pain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Pilates experimental group (n=5) and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5). The Pilates group had a total of 24 Pilates sessions for 12 weeks. The Pilates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50 minutes per session and consisted of a series of mat exercises designed to strengthen abdominal and pelvic muscles.
      At baseline and after 12 weeks, menstrual pain intensity and difficulties during menstruation (dysmenorrhea) were assess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Cox menstrual symptom scale (Cox), respectively. Premenstrual symptoms was measured by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 (PSST). In addition, shoulder and pelvic balance and back flexibility were assessed. The maximal isometric muscle strength during hip flexion, extension, and external rotation was evaluated using hand dynamomet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 between and within the groups was tested using 2-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nd paired t-test. When data was not normally distributed,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within-group difference and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between-group differenc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pilates group, pain intensity measured by VAS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frequency and degree of dysmenorrhea tended to decrease. In addition, the severity of premenstrual symptoms in the Pilates group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VAS, Cox frequency and degree, and PSST score.
      Shoulder and pelvic height differenc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12 weeks of intervention in the Pilates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suggesting improvement in shoulder and pelvic balance. Additionally, after 12 weeks back flexibil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both Pilates and control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the hip joi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right hip flexors and the left hip external rotators in the Pilates group after 12 weeks. In the control group, all measures of muscle strength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he 12-week pilates exercise seems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menstrual pain and menstrual difficulties improving misalignment of the body and muscle strength of hip joi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연구의 필요성 1
      • 2.연구의 목적 3
      • 3.연구 가설 4
      • I. 서론 1
      • 1.연구의 필요성 1
      • 2.연구의 목적 3
      • 3.연구 가설 4
      • Ⅱ. 이론적 배경 5
      • 1.생리통의 기전 및 처치방법 5
      • 2.필라테스의 원리 7
      • 3.필라테스의 효과 10
      • 4.필라테스의 생리통에 대한 효과 12
      • Ⅲ. 연구방법 13
      • 1.연구절차 13
      • 2.연구대상 15
      • 3.필라테스 프로그램 15
      • 1)Foam roller stretches 16
      • 2)Pilates program 17
      • 4.측정방법 25
      • 1)일반적 특성, 생리관련 특성 및 체지방률 25
      • 2)생리통 강도 25
      • 3)월경곤란증 25
      • 4)생리전증후군 26
      • 5)근력 평가 27
      • 6)유연성 평가 27
      • 7)골반 불균형 평가 27
      • 5.자료분석 28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9
      • 1.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리 관련 특성 29
      • 2.종속 변인들의 사전 값에 대한 집단 동질성 검정 31
      • 3.생리 변인의 변화 31
      • 4.어깨와 골반경사의 변화 34
      • 5.유연성과 근력의 변화 35
      • Ⅴ. 결론 및 제언 38
      • 참고문헌 40
      • Abstract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