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대문학이론연구회 역" 문학과지성사 1987
2 "한국시의 전통 연구" 1981
3 "창작교육을 돌아보고 내다보는 가상 정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제28집 : 2000
4 "창작 교육의 이념과 지향" 한국문학교육학회 (2) : 1998
5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 국어, 도덕, 사회" 교육부 1999
6 "인간교육과 문학교육"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제32집 : 2004
7 "시조의 자연, 그 ‘말없음’의 의미론" 한국시조학회 제20집 : 2004
8 "시조에 나타난 병렬법의 시학" 한국시가학회 제13집 : 2003
9 "시조문학산고" 국학자료원 1997
10 "시조문학 교육의 통시적 연구" 박이정 1998
1 "현대문학이론연구회 역" 문학과지성사 1987
2 "한국시의 전통 연구" 1981
3 "창작교육을 돌아보고 내다보는 가상 정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제28집 : 2000
4 "창작 교육의 이념과 지향" 한국문학교육학회 (2) : 1998
5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 국어, 도덕, 사회" 교육부 1999
6 "인간교육과 문학교육"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제32집 : 2004
7 "시조의 자연, 그 ‘말없음’의 의미론" 한국시조학회 제20집 : 2004
8 "시조에 나타난 병렬법의 시학" 한국시가학회 제13집 : 2003
9 "시조문학산고" 국학자료원 1997
10 "시조문학 교육의 통시적 연구" 박이정 1998
11 "시조 텍스트의 수용과 창작 지도 방법" 한국문학교육학회 (14) : 2004
12 "시조 교육의 위계화를 위한 방향 탐색"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제8집 : 2004
13 "비평적 에세이 쓰기" 문학과교육연구회 (7) : 1999
14 "비평의 논리로 본 문학 수행 평가의 철학" 문학교육학회 (3) : 1999
15 "반응 일지 쓰기의 문학교육적 함의"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2) : 2000
16 "문학교육원론" 서울대출판부 2000
17 "문학교육 틀짜기" 역락 2000
18 "문학 수업에서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 유형" 한국문학교육학회 (15) : 2004
19 "구비적 측면에서 본 시조의 시적 구성 방식 서울대 국문학연구 64집" 1983
20 "고전시가교육의 이해" 보고사 2004
2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국어" 교육인적자원부 2001
22 "개인적 지식: 후기비판적 철학을 향하여=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아카넷 2001
23 "鄭石歌式 表現과 時間意識" 1984
24 "<동짓달 기나긴 밤…>의 시공 인식" 문당 : 1992
25 "<丹心歌>와 <何如歌>의 遡源的 硏究" 연세대국학연구원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