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금산 성곡서원의 창건과 운영 = The Foundation and Operation of Seonggok-seowon in Late J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6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operating seowon in Chungcheong-do and Jeolla-do through the foundation and operation of Seonggok-seowon located in Geumsan, Jeolla-do in late Joseon. Seonggok-seowon was founded in 1617 under the leadership of Geumsan-gun County Governor Lee Ahn-nul and local intellects. Along with the foundation, six figures, Lee An-nul (李安訥), Kim Sun (⾦侁), Yoon Taek (尹 澤), Gil Jae (吉再), ⾦淨 (Kim Jung), Go Gyong-myong (高敬命), and Cho-hun (趙 憲), were selected and enshrined. All of the figures enshrined wer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Geumsan. The official approval at the national level was promoted in 1663 (the 4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Seonggok-seowon was operated by academy managers, and they consisted of three positions: Dongju (洞主), Jangeui (掌議), and Yusa (有司). They led the operation and education of the seowon, and it was similar to seowon located in the area near Geumsan. The students of the seowon can be checked through the books containing the list of enrolled students, and it was operated flexibly with students from a minimum of 12 to a maximum of 195 annually.
      The seowon’s regular ritual rites were held twice, in the second and eighth lunar months, and as the majority of people related to the seowon attended the rites, various issues within the seowon were decided then. The regulations related to education present learning procedures and punishment rules for students in detail.
      Seonggok-seowon was also visited from various areas outside. The existing guest books of the seowon contain total 711 people who visited the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y are identified to have been the descendants of the enshrined figures, influential families in the region, and bureaucrats. They visited Seonggok-seowon while passing through the Geumsan area or for the purpose of attending the two regular ritual rites.
      As described above, Seonggok-seowon as one of the private seowon representing the Geumsan area not only performed the functions of ritual rites and education but acquired a social status through the visits of outside people as wel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operating seowon in Chungcheong-do and Jeolla-do through the foundation and operation of Seonggok-seowon located in Geumsan, Jeolla-do in late Joseon. Seonggok-seowon was foun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operating seowon in Chungcheong-do and Jeolla-do through the foundation and operation of Seonggok-seowon located in Geumsan, Jeolla-do in late Joseon. Seonggok-seowon was founded in 1617 under the leadership of Geumsan-gun County Governor Lee Ahn-nul and local intellects. Along with the foundation, six figures, Lee An-nul (李安訥), Kim Sun (⾦侁), Yoon Taek (尹 澤), Gil Jae (吉再), ⾦淨 (Kim Jung), Go Gyong-myong (高敬命), and Cho-hun (趙 憲), were selected and enshrined. All of the figures enshrined wer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Geumsan. The official approval at the national level was promoted in 1663 (the 4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Seonggok-seowon was operated by academy managers, and they consisted of three positions: Dongju (洞主), Jangeui (掌議), and Yusa (有司). They led the operation and education of the seowon, and it was similar to seowon located in the area near Geumsan. The students of the seowon can be checked through the books containing the list of enrolled students, and it was operated flexibly with students from a minimum of 12 to a maximum of 195 annually.
      The seowon’s regular ritual rites were held twice, in the second and eighth lunar months, and as the majority of people related to the seowon attended the rites, various issues within the seowon were decided then. The regulations related to education present learning procedures and punishment rules for students in detail.
      Seonggok-seowon was also visited from various areas outside. The existing guest books of the seowon contain total 711 people who visited the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y are identified to have been the descendants of the enshrined figures, influential families in the region, and bureaucrats. They visited Seonggok-seowon while passing through the Geumsan area or for the purpose of attending the two regular ritual rites.
      As described above, Seonggok-seowon as one of the private seowon representing the Geumsan area not only performed the functions of ritual rites and education but acquired a social status through the visits of outside people as we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금산 성곡서원의 창건과 운영을 통해 兩湖 지역 서원 운영의 추이와성격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곡서원은 금산군수였던 이안눌과 지역 사족들의 주도로 1617년(광해군 9) 건립되었다. 건립 당시 金侁, 尹澤, 吉再, 金淨, 高敬命, 趙憲의 6명을 선정하여 배향하였다. 서원의 사액은 1663년(현종 4) 韓秀 臣의 주도로 청액소를 제출하여 추진되었으며, 그 결과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선열 21인을 배향한 從容祠와 함께 사액되었다.
      성곡서원의 院任은 洞主(堂中)-掌議-有司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금산 인근 지역에 위치한 서인계 서원의 원임 구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 원생은 입원생의명단을 수록한 星谷書院 菁莪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최대 195명에서 최소 12명으로 유동적으로 운영되었다. 향사는 仲春, 仲秋의 上丁日에 연 2차례 시행했는데, 院中의 대소사를 향사와 함께 결정하는 사례들도 확인된다는 점에서 서원의 주요한 모임의 하나였음이 확인된다. 이와 함께 學規를 별도로 제정하여 서원의 교육 기능을 강화하였다. 이유태의 「星谷書院儒生勸學規」와 같이 講會 및 責 罰 등을 상세하게 규정하여 원생들의 학업과 생활 전반에 대한 일정한 원칙이 마련되기도 하였다.
      외부 인사가 성곡서원을 방문한 사례는 尋院錄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심원록은 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방문한 총 711명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배향인물 6인의 후손이나 양호 지역에 위치한 주요 가문들의 방문 빈도가 높다. 이들은 금산을 경유하는 과정이나, 향사에 참여하기 위한 목적에서 성곡서원을방문하였다.
      이상과 같이 성곡서원은 금산 지역을 대표하는 사액서원으로서 尊賢과 養士의양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 인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그 위상을 획득해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금산 성곡서원의 창건과 운영을 통해 兩湖 지역 서원 운영의 추이와성격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곡서원은 금산군수였던 이안눌과 지역 사족들의 주도로 1617년(광해군 9) ...

      본 연구는 금산 성곡서원의 창건과 운영을 통해 兩湖 지역 서원 운영의 추이와성격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곡서원은 금산군수였던 이안눌과 지역 사족들의 주도로 1617년(광해군 9) 건립되었다. 건립 당시 金侁, 尹澤, 吉再, 金淨, 高敬命, 趙憲의 6명을 선정하여 배향하였다. 서원의 사액은 1663년(현종 4) 韓秀 臣의 주도로 청액소를 제출하여 추진되었으며, 그 결과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선열 21인을 배향한 從容祠와 함께 사액되었다.
      성곡서원의 院任은 洞主(堂中)-掌議-有司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금산 인근 지역에 위치한 서인계 서원의 원임 구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 원생은 입원생의명단을 수록한 星谷書院 菁莪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최대 195명에서 최소 12명으로 유동적으로 운영되었다. 향사는 仲春, 仲秋의 上丁日에 연 2차례 시행했는데, 院中의 대소사를 향사와 함께 결정하는 사례들도 확인된다는 점에서 서원의 주요한 모임의 하나였음이 확인된다. 이와 함께 學規를 별도로 제정하여 서원의 교육 기능을 강화하였다. 이유태의 「星谷書院儒生勸學規」와 같이 講會 및 責 罰 등을 상세하게 규정하여 원생들의 학업과 생활 전반에 대한 일정한 원칙이 마련되기도 하였다.
      외부 인사가 성곡서원을 방문한 사례는 尋院錄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심원록은 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방문한 총 711명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배향인물 6인의 후손이나 양호 지역에 위치한 주요 가문들의 방문 빈도가 높다. 이들은 금산을 경유하는 과정이나, 향사에 참여하기 위한 목적에서 성곡서원을방문하였다.
      이상과 같이 성곡서원은 금산 지역을 대표하는 사액서원으로서 尊賢과 養士의양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 인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그 위상을 획득해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