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흥석, "충현서원 『심원록(尋院錄)』 분석" 13 : 2010
2 이전오, "충암(冲庵)을 배향(配享)한 서원(書院)" 19 : 2017
3 이종문, "초창기初創期임고서원臨皐書院연구" 한국학연구원 (63) : 191-228, 2016
4 김정신, "조선전기 향교의 정치・사회적 성격과 쇠퇴 원인" 13 : 2010
5 이동인, "조선시대 충청지역의 예학과 교육" 백산서당 2001
6 이경동, "조선시대 논산지역 서원의 운영과 특징 -遯巖書院, 魯岡書院, 竹林書院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81) : 163-196, 2022
7 임근실, "조선시대 길재 제향 서원의 건립 추이와 성격" 한국서원학회 (15) : 317-348, 2022
8 이경동, "조선시대 근기지역 서원의 강규와 강학" 민족문화연구소 (79) : 525-560, 2021
9 신동훈, "조선 초기 향교 연구" 가톨릭대학교 2021
10 김태완, "율곡학파의 예학" (사)율곡학회 20 : 123-157, 2010
1 서흥석, "충현서원 『심원록(尋院錄)』 분석" 13 : 2010
2 이전오, "충암(冲庵)을 배향(配享)한 서원(書院)" 19 : 2017
3 이종문, "초창기初創期임고서원臨皐書院연구" 한국학연구원 (63) : 191-228, 2016
4 김정신, "조선전기 향교의 정치・사회적 성격과 쇠퇴 원인" 13 : 2010
5 이동인, "조선시대 충청지역의 예학과 교육" 백산서당 2001
6 이경동, "조선시대 논산지역 서원의 운영과 특징 -遯巖書院, 魯岡書院, 竹林書院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81) : 163-196, 2022
7 임근실, "조선시대 길재 제향 서원의 건립 추이와 성격" 한국서원학회 (15) : 317-348, 2022
8 이경동, "조선시대 근기지역 서원의 강규와 강학" 민족문화연구소 (79) : 525-560, 2021
9 신동훈, "조선 초기 향교 연구" 가톨릭대학교 2021
10 김태완, "율곡학파의 예학" (사)율곡학회 20 : 123-157, 2010
11 김태완, "사계 김장생의 예학과 사회정치사상" (사)율곡학회 21 : 218-250, 2010
12 김문준, "김장생의 예학정신과 한국가정의 문화전통" 한국사상문화학회 (90) : 317-344, 2017
13 홍제연, "금산향교 소장 고문서를 통해 본 19세기 錦山의 재지세력" 호서사학회 (88) : 119-160, 2018
14 금산문화원, "금산지역의 고문서" 금산문화원 1997
15 한국서원연합회, "韓國書院總覽" 한국서원연합회 2011
16 "錦山郡邑誌"
17 "重峯先生文集"
18 "輿圖備誌"
19 "草廬先生文集"
20 "石湖先生遺稿"
21 "燃藜室記述"
22 "東岳先生集"
23 "東國輿地志"
24 정만조, "朝鮮時代 書院硏究" 集文堂 1997
25 이경동, "朝鮮時代 冶隱 吉再에 대한 인식과 위상" 영남문화연구원 (84) : 169-206, 2023
26 이수환, "朝鮮後期書院硏究" 一潮閣 2001
27 이해준, "朝鮮後期 門中書院 硏究" 경인문화사 2008
28 이범직, "朝鮮 前期 儒學敎育과 鄕校의 機能" 20 : 1976
29 "書院謄錄"
30 "書院可攷"
31 "春官志"
32 "星谷書院 菁莪錄"
33 "星谷書院 尋院錄"
34 "日省錄"
35 "承政院日記"
36 충청남도 문화관광과, "忠南의 書院・祠宅" 충청남도 1999
37 "市南先生文集"
38 "宋⼦大全"
39 "大東地志"
40 "增補文獻備考"
41 "古文書集成 4-坡平尹氏篇"
42 "列邑院宇事蹟"
43 "冶隱先生續集"
44 "俎⾖錄"
45 김명자, "『尋院錄』을 통해 본 18세기 전반 陶山書院의방문과 그 의미" 퇴계연구소 (53) : 51-84, 2013
46 이병훈, "19세기 韓中서원 자료를 통해 본서원의 출입과 그 목적-慶州 玉山書院과 廣州 廣雅書院을 중심으로-" 한국서원학회 (14) : 107-152, 2022
47 이경구, "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 푸른역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