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및 고령화의 가속화에 따른 급격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한국 지방행정체제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 시행 이후 추진됐었던 지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73409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7-405(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저출산 및 고령화의 가속화에 따른 급격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한국 지방행정체제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 시행 이후 추진됐었던 지방...
저출산 및 고령화의 가속화에 따른 급격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한국 지방행정체제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 시행 이후 추진됐었던 지방행정체제 개편과정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토대로, 앞으로의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이 연구는 1995년 지방자치 시행을 기점으로 진행된 지방행정체제 개편과정을 상향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지방행정체제 개편과정은 해당 지역을 살아가는 지역공동체의 실질적인 참여와 권한 행사를 통한 아래로부터의 개편이기보다는 지역의 이해와 동떨어진 일부 소수 행위자들이 정해준 기준을 통해 수직적으로 진행된 위로부터의 개편이었다. 이 연구는 지방행정체제 개편과정이 상향적으로 추진되기 어려운 이유를 세 가지 측면에서 찾았다. 첫째는 지방행정체제 개편을 도구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 둘째는 지방 권력의 다원성 부족과 지역사회의 응집력 있는 대항의 부재, 셋째는 자율성과 다양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제한된 지방자치 제도의 운용 등이다. 지방행정체제가 변화하는 행정환경에 적합성을 갖기 위해서는 단순히 법률 제정 등을 통한 기술적 개선보다 그것을 둘러싼 조건을 개선해야 한다. 정치와 행정 논리에 휩쓸리지 않는 전문기구의 설립을 통해 장기적인 개편 로드맵을 마련하고, 지역공동체 간의 교류와 소통을 늘려 지역사회의 역량을 제고하며, 귀납의 원칙에 충실한 개편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방에 충분한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pid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as a result of the low birth rat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aging population are calling for a fundamental change in the Korean local administration system.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apid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as a result of the low birth rat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aging population are calling for a fundamental change in the Korean local administration system.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alternative to the reform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in the future. For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reforming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from 1995 to the present in terms of bottom-up perspecti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was conducted based on the standards set by some minority actors that are far from the interests of the region, rather than a reform from below through the actual participation and exercise of authority of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for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to be suitable for the changing administrativ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ditions surrounding it. First, A long-term roadmap for reforming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should be prepar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organizations. Second, The capacity of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 enhanced by increasing exchanges and communication between local commun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sufficient autonomy for local governments to proceed with the reform of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that adheres to the principle of induc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형, "협력적 거버넌스에서의 대안적 대항력 형성 동학 : 서울시 관악공동조직준비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51 (51): 55-81, 2017
2 강용기, "현대 지방자치론" 대영문화사 2011
3 권향원, "행정이론의 한국화를 위한 연구방법 및 이론화 전략: 보편성과 특수성의 이분법적 흑백논리의 극복" 한국행정학회 51 (51): 1-31, 2017
4 안형기, "행정구역의 적정규모를 지향하는 행정구역개편논의, 어떻게 볼 것인가?" 206 : 33-37, 2005
5 김이수, "행정구역 통합과정에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여수시와 전주권(전주·완주)의 통합과정 비교분석" 서울행정학회 22 (22): 69-94, 2011
6 김영평,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3
7 최봉기, "한국지방자치발전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과제" 한국정부학회 22 (22): 427-454, 2010
8 안성호, "한국의 지방자치체제 개편과 방향: 정치권 지방자치체제 개편안의 문제점과 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7-35, 2010
9 유재원, "한국사회에서 지방분권의 이해와 분권전략의 탐색" 한국행정학회 52 (52): 3-28, 2018
10 박종민, "한국 지방정치의 특징" 33 (33): 123-139, 1999
1 김도형, "협력적 거버넌스에서의 대안적 대항력 형성 동학 : 서울시 관악공동조직준비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51 (51): 55-81, 2017
2 강용기, "현대 지방자치론" 대영문화사 2011
3 권향원, "행정이론의 한국화를 위한 연구방법 및 이론화 전략: 보편성과 특수성의 이분법적 흑백논리의 극복" 한국행정학회 51 (51): 1-31, 2017
4 안형기, "행정구역의 적정규모를 지향하는 행정구역개편논의, 어떻게 볼 것인가?" 206 : 33-37, 2005
5 김이수, "행정구역 통합과정에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여수시와 전주권(전주·완주)의 통합과정 비교분석" 서울행정학회 22 (22): 69-94, 2011
6 김영평,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3
7 최봉기, "한국지방자치발전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과제" 한국정부학회 22 (22): 427-454, 2010
8 안성호, "한국의 지방자치체제 개편과 방향: 정치권 지방자치체제 개편안의 문제점과 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7-35, 2010
9 유재원, "한국사회에서 지방분권의 이해와 분권전략의 탐색" 한국행정학회 52 (52): 3-28, 2018
10 박종민, "한국 지방정치의 특징" 33 (33): 123-139, 1999
11 곽진영, "한국 정당의 이합집산과 정당체계의 불안정성" 한국정당학회 8 (8): 115-146, 2009
12 윤종빈, "한국 정당운영의 현황과 당내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과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 (1): 207-228, 2017
13 박진우, "통합 창원시와 통합 청주시 출범 준비과정의 비교분석 -통합추진공동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30 (30): 113-147, 2018
14 강윤호, "집합적 행동 이론의 관점에서 본 지방분권운동의 문제점과 전략적 방안"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29-50, 2011
15 최철호, "지방행정체제개편특별법 조명"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1 (11): 53-79, 2011
16 이기우, "지방행정체제개편의 논의의 방향과 과제" 3 (3): 113-147, 2009
17 김찬동, "지방행정체제개편의 논리와 평가" 2009
18 김석태,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이론적 검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28, 2010
19 이승종, "지방행정체제개편론" 법문사 [서울] 2009
20 최우용, "지방행정체제개편과 자치권보장에 관한 공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371-392, 2009
21 김성호,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법적 쟁점" 한국공법학회 38 (38): 437-464, 2009
22 조성규,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규범적 한계 -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안)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0 (10): 147-184, 2010
23 방승주,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안의 헌법적 문제점" 한국비교공법학회 11 (11): 63-96, 2010
24 최길수,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연구: 도와 시?군 개편기준과 대안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17 (17): 249-278, 2007
25 하혜수,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경로의존성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303-324, 2011
26 김석태, "지방행정체제 개편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적정구역과 구역문제 해결단계의 관점에서-" 한국정부학회 21 (21): 331-353, 2009
27 이승철, "지방행정체제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 시·군·구 를 중심으로 -" 대한지방자치학회 13 (13): 47-69, 2011
28 조성호, "지방행정체제 개편논의의 평가와 대안제시 연구" 서울연구원 7 (7): 149-170, 2006
29 안성호, "지방행정체제 개편과 규모정치" 2009
30 참여연대, "지방행정체제 개편, 충분한 검토와 준비 없는 졸속추진 곤란"
31 강용기, "지방행정체제 개편 특별법(2010.10)을 통해 본 지방자치체제 개편 정책의 평가와 대안"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65-76, 2011
32 소순창, "지방행정체제 개편 : 미미한 성과 그리고 기나긴 여정"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29-58, 2010
33 하혜수, "지방행정구역과 자치계층구조 개혁의 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18 (18): 1-28, 2006
34 김대욱, "지방행정구역 규모와 지방 민주주의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학회 47 (47): 261-284, 2013
35 임도빈, "지방조직론 : 한국지방자치의 새로운 이해" 박영사 1998
36 최창수, "지방정치의 후견주의 구조와 지방정부 통합: 창원시 통합 결정과정의 분석" 한국행정학회 47 (47): 167-187, 2013
37 김석태, "지방정부 통합의 효율성, 민주성, 그리고 정치성" 한국행정연구소 49 (49): 171-193, 2011
38 김병준, "지방자치론" 법문사 2009
39 조혜승, "지방자치단체 통합으로 인한 갈등이 공공서비스동기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통합 창원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7 (47): 145-166, 2013
40 이기우, "지방자치단체 수행사무 구분체계의 개편 방향" 18 (18): 53-79, 2004
41 고경훈,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연구" 한국정부학회 24 (24): 323-342, 2012
42 유재원, "지방자치 계층구조 및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소고: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6 (6): 119-138, 2002
43 송광태, "지방의회의 위상정립과 발전과제" 7 : 33-46, 2005
44 고인석, "지방의회 입법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19 (19): 35-56, 2019
45 윤견수, "지방의 사회조직화와 지방정치" 4 (4): 189-206, 1998
46 이승종, "지방역량강화를 위한 광역자치구역의 개편방안" 한국행정연구소 46 (46): 361-390, 2008
47 하혜수, "지방분권형 지방행정체제 개편대안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33-52, 2009
48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개마고원 2017
49 조성규, "제주행정체제개편에 있어 자치권의 확대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 행정시장 직선제와 관련하여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3 (13): 33-64, 2013
50 하승수, "제주특별자치도의 경험으로 본 지방행정체제 개편논의의 문제점" 한국지방자치법학회 9 (9): 123-143, 2009
51 박진우, "정치행위로서 지방정부 통합과 지역사회의 역할 -청주・청원 통합과정에 대한 로컬 거버넌스적 접근-" 한국지방자치학회 31 (31): 1-30, 2019
52 윤견수, "정치적 중립의 경험적 범주에 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 중하위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0 (50): 237-261, 2012
53 정주용, "정책오차 수정의 조건 - 수도권기업 지방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8 (18): 91-120, 2009
54 정주용, "정책수용성 급변의 카타스트로프적 설명: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입지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7 (17): 181-205, 2008
55 권향원, "정책네트워크와 정부 간 갈등: KTX 오송역 입지정책을 둘러싼 공공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5 (25): 391-428, 2016
56 유재원, "정부인가 거버넌스인가? 계층제인가 네트워크인가?" 한국행정학회 39 (39): 41-63, 2005
57 하혜수, "정부간 정책결정에 있어서 지방정부의 정책주도권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행정학회 36 (36): 207-227, 2002
58 한국행정연구원, "정부간 관계의 효과적 운영방안 연구" 2017
59 박순종, "정부간 관계론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중앙과 지방의 관계: 서울시 청년수당과 성남시 청년배당을 사례로" 한국행정학회 53 (53): 61-90, 2019
60 이단비,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 결정과정의 비교 분석: 민・관 정책중개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8 (48): 413-436, 2014
61 조정래, "재정적 정부관계와 규제적 정부관계에 대한 인식의 차별: 미국 주정부 공무원의 인식 속에 존재하는 두 차원의 정부관계" 정부학연구소 17 (17): 259-288, 2011
62 허훈, "자치행정체제의 본질과 바람직한 개편방향"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9-42, 2009
63 전영평, "자치의 오류와 지방정부혁신: 성찰과 과제" 한국행정연구소 41 (41): 79-104, 2003
64 유재원, "자치단체 통합의 이해: 정치모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9 (49): 249-272, 2015
65 김석태, "자치구역 개편에서의 분리주의 대 통합주의" 8 (8): 405-422, 1996
66 하혜수, "자치계층구조개혁의 성공적 추진요인: 영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47-68, 2007
67 최우용, "일본의 기초지방자치단체(시·정·촌) 통합에 관한 법률 및 사례에 관한 연구 - 우리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의 향후 운용과 관련하여 -" 한국비교공법학회 11 (11): 423-452, 2010
68 구동회, "우리나라 지방행정체제 개편방안에 관한 비교연구" 국토지리학회 44 (44): 327-338, 2010
69 한국경제, "예산·조례 개정 거수기 된 서울 구의회... ‘무용론’ 솔솔"
70 홍준현, "시・군통합이 지역내 및 지역간 균형성장에 미친 효과" 서울행정학회 16 (16): 299-324, 2005
71 유재원, "시민참여의 확대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 7 (7): 105-125, 2003
72 김동노, "시민운동의 정치 참여를 통해 본 시민운동의 성장과 한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7 (37): 59-88, 2013
73 전영평, "시민단체와 지방정부간 관계: 상호 인식의 실증적 분석" 13 (13): 149-177, 2001
74 최영출, "시군통합이 자치단체 공무원 승진에 미치는 영향분석: 시스템다이내믹스의 적용"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8 (8): 117-149, 2007
75 유재원, "시군통합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분석: 단절적 시계열모형(ARIMA)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3 (43): 285-306, 2009
76 박형준, "시군통합 모형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시군통합의 한계 탐색: 2단계 C3 모형과 제도적 집단행동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5 (25): 27-52, 2013
77 이기우, "시군통합 과연 바람직한가? : 진실과 오해" 새세상연구소 2009
78 김연고, "시·군통합과 통합과 지역 내 균형발전 -구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4 (24): 957-982, 2012
79 조일홍, "수도권 자치구역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분할의 유형과 한계" 25 (25): 353-375, 1992
80 안영훈, "선진국 대도시 지방정부의 지방행정체제 특성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19 (19): 3-36, 2009
81 홍준현, "생활권에 기초한 지방자치단체구역 개편방안" 10 (10): 669-689, 1998
82 김재홍, "생활권·경제권 불일치 지역의 시·도 간 행정구역개편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 경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3 (23): 1305-1327, 2011
83 김영평, "불확실성과 정책의 정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1
84 Oakerson, Ronald J., "분권화시대의 대도시거버넌스" 지샘 2002
85 백완기, "민주주의 문화론" 나남출판 1994
86 신희영, "민주적 로컬 거버넌스 구성과 지방정부" 서울행정학회 16 (16): 1-28, 2005
87 Tocqueville, Alexis de., "미국의 민주주의" 한길사 1997
88 최흥석, "도농통합의 재정적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19): 145-172, 2005
89 김순은, "대도시 행정체제의 개편논의와 방향 : 도시정부의 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55-77, 2013
90 윤견수, "기초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지역축제: 함평 나비축제에 대한 스토리 텔링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0 (40): 77-100, 2006
91 박진우, "국가 관료제의 정책집행과 관료적 거버넌스: 청주・청원 통합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1 (51): 255-290, 2017
92 김남욱,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기초지방자치단체간의 관계 - 특히 지방행정체제 및 행정체제개편의 문제점, 통합 창원시의 갈등해소방안 등 -"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55-82, 2015
93 김석태, "광역시·도 통합론 비판과 그 대안" 한국정부학회 14 (14): 1043-1062, 2002
94 배봉준, "공공사업의 로컬거버넌스특성연구: 서산 가로림만조력발전소사례" 한국행정학회 52 (52): 203-238, 2018
95 윤견수, "개발연대 국가관료제의 정책집행에 관한 연구: 관료적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0 (50): 211-242, 2016
96 세계일보, "[사설] 지방행정체제개편, 용두사미로 끝나는가"
97 Keating, Michael., "Theories of Urban Politics" Sage 1995
98 Habermas, J., "Theorie des Kommumukativen Handelns, Bd.2" Suhrkamp 1981
99 Dearlove, John., "The Reorganization of British Local Government: Old Orthodoxies and a Politic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100 Bickers, Kenneth N., "The Microfoundations of the Tiebout Model" 34 (34): 76-93, 1998
101 ACIR., "The Challenge of Local Governmental Reorganization: Substate Regionalism and the Federal System" 1974
102 Lipsky, M., "Street-Level Bureaucracy: Dilemma of the Individual in Public Service" Russel Sage Foundation 1980
103 Fisher, Ronald C., "State and Local Public Finance" Scott, Foresman and Co. 1996
104 Dahl, Robert A., "Size and Democracy"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73
105 Seamon, 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ity/county Consolidation:Jacksonville-Duval County" 18 (18): 1741-1752, 1995
106 Lassen, D., "Political Accountability and the Size of Government: Theory and Cross-County Evidence, Economic" Policy Research Unit 2001
107 Ostrom, E., "Metropolitan Reform: Propositions Derived from Two Traditions" 53 (53): 474-493, 1972
108 Parks, R., "Metropolitan Organization and Governance: A Local Public Economy Approach" 25 (25): 18-29, 1989
109 Barlow, I. M., "Metropolitan Government" Routledge 1991
110 Savitch, H. V., "Metropolitan Consolidation Versus Metropolitan Governance in Louisville" 32 (32): 198-212, 2000
111 Ostrom, V., "Local Government in the United States" Institute of Contemporary States 1988
112 Hill, M., "Implementing Public Policy" Sage 2009
113 Pressman J. L., "Implemen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114 Vogel, Ronald, "Handbook of Research on Urban Politics and Policy in the United States" Greenwood Press 1997
115 Ostrom, E.,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16 Waker, D., "Forms of Local Government: A Handbook on City, County, and Regional Options" McFarland & Company 151-158, 1999
117 Hughes H., "Forms of Local Government: A Handbook on City, County, and Regional Options" McFarland & Company 151-158, 1999
118 Teske, Paul, "Establishing the Foundations of a Macro Theory: Information, Movers, and the Competitive Local for Public Goods" 87 : 702-713, 1993
119 Oliver, J. E., "Democracy in Suburb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120 Rhodes, R. A. W., "Debating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21 Swianiewicz, P., "Consolidation or Fragmentation?: The Size of Local Government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Open Society Institute 2002
122 Brierly, A. B., "City-County Consolidation and Its Alternatives:Reshaping the Local Government Landscape" 55-86, 2004
123 Carr, J. B., "City-County Consolidation and Its Alternatives:Reshaping the Local Government Landscape" 2004
124 Thurmaier, K., "City-County Consolidation and Its Alternatives:Reshaping the Local Government Landscape" 113-130, 2004
125 Johnson, L. S., "City-County Consolidation and Its Alternatives: Reshaping the Local Government Landscape" 55-182, 2004
126 McCabe, B. C., "City-County Consolidation and Its Alternatives: Reshaping the Local Government Landscape" 131-152, 2004
127 Leland, S., "Case Studies of City-County Consolidation" M.E. Sharpe 2004
128 Elmore, R. F., "Backward Mapping: Implementation Research and Policy Decision" 94 (94): 601-616, 1980
129 Rosenbaum, W. A., "Against Long Odds: The Theory and Practice of Successful Governmental Consolidation" Sage 1974
130 Hood, C.,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s?" 69 (69): 3-19, 1991
131 Dahl, Robert A., "A Preface to Democratic Theor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6
132 Osborne, D., ". Reinventing Government" 1992
읍·면·동장 시민추천제 정책진단 및 제언: 세종특별자치시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공무원 수당 부당수령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광역시 사례
조직시민행동의 다면적 동기: 성격과 평가수용성, 경력지향성의 심리적 경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3 | 1.11 | 1.249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