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부르디외를 빌려도 될까요? = '월남가족'과 '월북가족'의 계급재생산에서 문화자본 읽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1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분단이라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에 주목하면서 대척점에 놓인 사회적 기호가 된 ‘월남가족’과 ‘월북가족’의 계급재생산 트랙을 논의의 지점으로 삼아 한국사회에서 계급재생...

      이 논문은 분단이라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에 주목하면서 대척점에 놓인 사회적 기호가 된 ‘월남가족’과 ‘월북가족’의 계급재생산 트랙을 논의의 지점으로 삼아 한국사회에서 계급재생산에 작동하는 문화자본의 특수성의 일단을 독해하고자 했다. 이 논문의 자료는 구술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월남자 가족(이하 월남 가족)과 월북자 가족(이하 월북 가족)의 가족사구술을 통해 미시적 수준에서 두 집단의 계급재생산의 궤적과 기제의 차이를 드러낼 의도로 수집한 월남가족 10사례, 월북가족 10사례의 가족사 자료이다. 월남가족과 월북가족의 3대에 걸친 사회이동 가계보는 냉전과 분단이라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드러낸다. 사례가족들이 보여주는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또는 경제자본이 맺고 있는 관계는 이러한 특수성을 반영하며 부르디외의 장(場)이나 아비투스의 의미를 성찰하게 한다. 이 논문의 주요 관심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구체적으로 월남 가족과 월북가족의 계급재생산의 과정과 궤적의 차이를 드러내는 문제와 다른 하나는 이를 설명하는 개념틀의 문제이다. 즉, 월남가족과 월북가족 3대에 걸친 계급이동 궤적을 분석하는데 부르디외의 문화자본과 계급재생산이라는 개념틀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이 논문의 자료가 보여준 월남가족과 월북가족의 계급 재생산 궤적은 분명 문화자본이 계급재생산과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한 새로운 독해를 요구하며 부르디외의 특정 개념 특히 문화자본과 계급재생산의 원용과 치용에 대한 한국사회의 역사성과 특수성에 주목하게 한다. 이 논문은 이점에서 문제제기의 수준에 머물렀으며 문화자본과 상징폭력(또는 상징자본)의 관계에 더욱 천착해야 할 한 지점을 드러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created a special category of families known as families separated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Among these separated families, families of defectors who crossed the dividing line to the North K...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created a special category of families known as families separated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Among these separated families, families of defectors who crossed the dividing line to the North Korea(Wolbuk families) have been unrecognized quite a long time within the South Korean society. Wolbuk families do not simply mean the families of defectors who moved to the North geographically, but represent the social symbol of the "red family," so-called families of "those who chose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families who crossed over the dividing line to the South(Wolnam families) represent the opposite social symbol. This paper aims to contextualize the concept of Bourdieu"s cultural capital within the class production of Wolnam and Wolbuk families. The paper presents 10 life stories of the Wolnam and Wolbuk families each, focusing on the social mobility trajectories of three generations of those families in different social classes. The different mode of trans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into social capital or economic capital between Wolnam and Wolbuk families highlights the champ and habitus of the specificity of Korean society. It demands to extend the meaning and usability of cultural capital to reflect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ymbolic capit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글쓰기의 정치성과 자료읽기 : "왜"와 "어떻게" 사이에서
      • II. 자료 읽기
      • III. 계급재생산의 과정과 기제
      • IV. 계급재생산의 '숨겨진' 경로 : 문화자본 또는 상징폭력
      • 참고문헌
      • I. 글쓰기의 정치성과 자료읽기 : "왜"와 "어떻게" 사이에서
      • II. 자료 읽기
      • III. 계급재생산의 과정과 기제
      • IV. 계급재생산의 '숨겨진' 경로 : 문화자본 또는 상징폭력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춘, "한국전쟁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전쟁의 정치사회학적 재구성, In 전쟁과 사람들: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 한울 196-217, 2003

      2 정진상, "한국전쟁과 전근대적 계급관계의 해체" 46 : 88-113, 2000

      3 공제욱, "한국전쟁과 재벌의 형성" 46 : 54-87, 2000

      4 정진상, "한국전쟁과 계급구조의 변동, In 계급과 한국사회" 한울아카데미 83-127, 1994

      5 최샛별, "한국적 적합성을 가진 문화자본척도 구성: 2009년 청소년 대상 자료를 중심으로" 2010

      6 장상수, "한국사회의 계급이동" 32 : 367-393, 1998

      7 조돈문, "한국사회의 계급과 문화: 문화자본론 가설들의 경험적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9 (39): 1-33, 2005

      8 장미혜, "한국 사회에서 사회계급별 소비양식의 차이" 비판사회학회 53 : 8-231, 2002

      9 최샛별,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한국문화사회학회 1 (1): 123-158, 2006

      10 설동훈, "한국 노동자들의 세대 간 사회이동. 1978-1989년: 사무직과 생산직의 남, 녀 노동자를 중심으로, In 계급과 한국사회" 한울아카데미 237-278, 1994

      1 김동춘, "한국전쟁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전쟁의 정치사회학적 재구성, In 전쟁과 사람들: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 한울 196-217, 2003

      2 정진상, "한국전쟁과 전근대적 계급관계의 해체" 46 : 88-113, 2000

      3 공제욱, "한국전쟁과 재벌의 형성" 46 : 54-87, 2000

      4 정진상, "한국전쟁과 계급구조의 변동, In 계급과 한국사회" 한울아카데미 83-127, 1994

      5 최샛별, "한국적 적합성을 가진 문화자본척도 구성: 2009년 청소년 대상 자료를 중심으로" 2010

      6 장상수, "한국사회의 계급이동" 32 : 367-393, 1998

      7 조돈문, "한국사회의 계급과 문화: 문화자본론 가설들의 경험적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9 (39): 1-33, 2005

      8 장미혜, "한국 사회에서 사회계급별 소비양식의 차이" 비판사회학회 53 : 8-231, 2002

      9 최샛별,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한국문화사회학회 1 (1): 123-158, 2006

      10 설동훈, "한국 노동자들의 세대 간 사회이동. 1978-1989년: 사무직과 생산직의 남, 녀 노동자를 중심으로, In 계급과 한국사회" 한울아카데미 237-278, 1994

      11 박명림,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나남출판 2002

      12 현택수,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 32 : 85-105, 1996

      13 현택수, "피에르 부르디외: 아비튀스와 문화자본의 사회학, In 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 한울 268-292, 2001

      14 송도영, "주민 생애사를 통해 본 20세기 서울 현대사"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0

      15 염미경, "전쟁연구와 구술사, In 전쟁과 사람들: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 한울 15-46, 2003

      16 김동춘, "전쟁과 사회: 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돌배게 2005

      17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 한울아카데미 2003

      18 강득희, "임씨 가족 3대의 삶, In 여성․가족․사회" 열음사 1991

      19 조은, "일제하 향촌 반가의 가족생활의 변화: 구례 유씨가의 생활일기를 중심으로, In 여성․가족․사회" 열음사 61-83, 1991

      20 김귀옥,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역사비평사 2004

      21 이상길, "외국이론 읽기/쓰기의 탈식민적 전략은 어떻게 가능한가?: 부르디외로부터의 성찰" 한국언론학회 6 (6): 118-155, 2010

      22 신광영, "세대간 계급이동" 23 : 82-115, 1994

      23 정선기, "생활양식과 계급적 취향: 사회적 불평등의 상징적 재생산에 대하여, In 문화와 권력: 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49-76, 1998

      24 부르디외, 피에르,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새물결 1995

      25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회 39 (39): 120-148, 2005

      26 이상호, "사회질서의 재생산과 상징권력: 부르디외의 계급이론, In 문화와 권력: 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나남 163-184, 1998

      27 장미혜, "사회계급의 문화적 재생산: 대학간 위계서열에 따른 부모의 계급구성의 차이" 한국사회학회 36 (36): 8-27, 2002

      28 박영균, "분단의 아비투스에 관한 철학적 성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369-412, 2010

      29 박명선, "북한출신 월남인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사회이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3

      30 박명선, "북한출신 월남인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사회이동에 과한 연구" 열음사 1991

      31 최순종, "부르디외의 취향이론과 슐체의 사회환경이론 사이에서 - 이론의 추상성 극복에 관한 일련의 고민" 한국문화사회학회 3 (3): 163-193, 2007

      32 보네위츠, 파트리스, "부르디외 사회학입문" 동문선 2000

      33 양종회, "문화적 취향의 분화와 계급 - 음악장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3 (43): 170-209, 2009

      34 최샛별, "문화자본론의 관점에서 본 영어의 한국적 의미와 구조" 한국문화사회학회 10 (10): 207-252, 2011

      35 조은, "문화자본과 계급재생산: 계급별 일상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60) : 166-205, 2001

      36 홍성민, "문화와 아비투스" 나남 2000

      37 홍성민, "문화와 계급" 동문선 2002

      38 부르디외, 피에르,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下" 새물결 1995

      39 부르디외, 피에르,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새물결 1995

      40 조성숙, "가족사 사례연구: 한 양반가족의 해체와 변형, In 여성․가족․사회" 열음사 181-206, 1991

      41 한신갑, "『구별짓기』의 한국적 문법:여가활동을 통해 본 2005년 한국사회의 문화지형" 한국사회학회 41 (41): 211-239, 2007

      42 Bourdieu, Pierre, "The State Nobil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6

      43 Bourdieu, Pierre, "Preface to the English Edition of Homo Academicus, In Pierre Bourdieu: Volume Ⅲ" Sage 305-318, 2000

      44 Calhoun, Craig, "Habitus, Field, and Capital: The Question of Historical Specificity, In Bourdieu: Critical Perspective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1-88, 1993

      45 Swartz, David, "Culture & Powe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7

      46 Robbins, Derek, "Bourdieu in England, In Pierre Bourdieu: Volume Ⅲ" Sage 345-364, 2000

      47 Wacquant, Loic J.D, "Bourdieu in America: Notes on the Transatlantic Importation of Social Theory, In Pierre Bourdieu: Volume Ⅲ" Sage 319-344, 2000

      48 Nicodemus, Everlyn, "Bourdieu Out of Europe?, In Pierre Bourdieu: Volume Ⅲ" Sage 389-201, 2000

      49 홍덕률, "4대 재벌의 자본 축척사, In 현대 한국의 자본 축척과 민중 생활" 문학과 지성사 113-168,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5 1.7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