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과제는 뇌 정보처리에 기반한 능동시각모델 및 시스템 개발을 위해 인간 안구의 3차원적 제어 원리의 이해와 시각계로 유입되는 안구 운동 신호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1차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과제는 뇌 정보처리에 기반한 능동시각모델 및 시스템 개발을 위해 인간 안구의 3차원적 제어 원리의 이해와 시각계로 유입되는 안구 운동 신호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1차년...
본 과제는 뇌 정보처리에 기반한 능동시각모델 및 시스템 개발을 위해 인간 안구의 3차원적 제어 원리의 이해와 시각계로 유입되는 안구 운동 신호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1차년도에는 안구운동이 운동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밝힌데 이어서, 2차년도에는 두 가지 측면에서 능동시각시스템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첫째, 인간 참가자를 대상으로 안구와 머리가 협조하여 시선을 이동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둘째, 시각운동의 지각을 위한 안구 운동 신호의 통합 과정에서 주의의 역할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e current project is to understand the cognitive and neural mechanisms by which thee extraretinal signal modulates the visual processing. In the first year, we investigated the way that execution of a saccadic (rapid) eye movement system...
The goal of the current project is to understand the cognitive and neural mechanisms by which thee extraretinal signal modulates the visual processing. In the first year, we investigated the way that execution of a saccadic (rapid) eye movement systematically modulates visual motion perception. In the second year, we studied three aspects of active visual system. First, we determined and compared the parameters of the eye and head coordination during horizontal and vertical gaze control tasks such as reading or tracking. Second, we examined the roles of attentive processes on visual motion perception.
한국인의 표준 뇌를 개발하기 위한 영상 및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발
사건 관련 fMRI 방법을 이용한 작업기억 관련 감각 양상 특정적 두뇌 활성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