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자 』 ‘守中’ 개념에 관한 주석사적 고찰 (3) - 唐代 주석을 중심으로 - = An Exegetical Reflections on Concepts of ‘Zhong中’ in Laozi (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23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통행본) 『노자 』 제5장에 등장하는 ‘중을 지킴[守中]’이라는 개념에 관하여 주석사적 관점에서 그 이해의 전개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당대(唐代)의 『노자 』주석서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성현영(成玄英)과 이영(李榮)의 중현학적 이해, 당현종(唐玄宗)의 경세론적 이해, 기타 당대주석-이약(李約), 왕진(王眞), 육희성(陸希聲), 두광정(杜光庭)-들의 이해로 범주를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노자 』의 ‘중’의 이해라는 범위에 국한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현영의 주석과 당현종의 주석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삼교간 소통의 노력이 활발했다는 점, 둘째 이 두 주석에서 제시한 사유와 관념들, 특히 중현학적 사유와 대공무사(大公無私) 개념 등은 이후 주석들에게 깊은 주석사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통행본) 『노자 』 제5장에 등장하는 ‘중을 지킴[守中]’이라는 개념에 관하여 주석사적 관점에서 그 이해의 전개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당대(唐代)의 『노자 』...

      본고에서는 (통행본) 『노자 』 제5장에 등장하는 ‘중을 지킴[守中]’이라는 개념에 관하여 주석사적 관점에서 그 이해의 전개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당대(唐代)의 『노자 』주석서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성현영(成玄英)과 이영(李榮)의 중현학적 이해, 당현종(唐玄宗)의 경세론적 이해, 기타 당대주석-이약(李約), 왕진(王眞), 육희성(陸希聲), 두광정(杜光庭)-들의 이해로 범주를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노자 』의 ‘중’의 이해라는 범위에 국한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현영의 주석과 당현종의 주석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삼교간 소통의 노력이 활발했다는 점, 둘째 이 두 주석에서 제시한 사유와 관념들, 특히 중현학적 사유와 대공무사(大公無私) 개념 등은 이후 주석들에게 깊은 주석사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develop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houzhong(守中, Keep the Zhong)’ in Chapter 5 of the Laoz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entary history. The scope of the study was based on the commentaries of the Laozi of the Tang(唐) age.
      Specifically, the study was divided into categories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Chongxuan School of Taoists[重玄學] of Cheng Xuanying(成玄英) and Li rong(李榮), the understanding of political and social philosophy of Emperor Xuanzong of Tang Dynasty(唐玄宗), and the understanding of other commentaries of Tang Dynasty: for example, those of Li yue(李約), Wang zhen(王眞), Lu Xisheng(陸希聲), Du Guangting(杜光庭).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limiting the analysis to the scope of the understanding of “Zhong(中)” in the Laozi.
      First, the efforts to communicate between the three religions were active, centering on the two pillars of Cheng Xuanying(成玄英) and Emperor Xuanzong of Tang Dynasty(唐玄宗). Second, the thoughts and ideas presented in these two commentaries, especially the ideas fo Chongxuan School of Taoists[重玄學] and the concept of Dagongwusi(大公無私, selfless and impartial),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later presidents.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develop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houzhong(守中, Keep the Zhong)’ in Chapter 5 of the Laoz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entary history. The scope of the study was based on the commentaries of...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develop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houzhong(守中, Keep the Zhong)’ in Chapter 5 of the Laoz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entary history. The scope of the study was based on the commentaries of the Laozi of the Tang(唐) age.
      Specifically, the study was divided into categories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Chongxuan School of Taoists[重玄學] of Cheng Xuanying(成玄英) and Li rong(李榮), the understanding of political and social philosophy of Emperor Xuanzong of Tang Dynasty(唐玄宗), and the understanding of other commentaries of Tang Dynasty: for example, those of Li yue(李約), Wang zhen(王眞), Lu Xisheng(陸希聲), Du Guangting(杜光庭).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limiting the analysis to the scope of the understanding of “Zhong(中)” in the Laozi.
      First, the efforts to communicate between the three religions were active, centering on the two pillars of Cheng Xuanying(成玄英) and Emperor Xuanzong of Tang Dynasty(唐玄宗). Second, the thoughts and ideas presented in these two commentaries, especially the ideas fo Chongxuan School of Taoists[重玄學] and the concept of Dagongwusi(大公無私, selfless and impartial),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later presiden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