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등학생의 체육 수업 스트레스 요인 = Stress Factor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07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체육수업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수업지도 방법을 강구하고, 학생들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체육수업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수업지도 방법을 강구하고, 학생들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중ㆍ고등학생들이 체육수업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인천광역시 중ㆍ고등학교 각각 3개교, 중학교(남:301명, 여:320명), 고등학교 (남:440명, 여:87명) 총 1148명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이정우(2001)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 요인 분석’ 질문지를 통해 6개요인(학습내용, 친구들과의 마찰, 자신감 부족, 시험에 대한 부담, 시설 및 환경조건, 교사에 대한 불만)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체육수업 스트레스 요인 설문지의 신뢰도 검사는 Cronbach’a 계수로 분석하였고, 모두 0.9 이상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특성에 따른 체육수업 스트레스 차이 검정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주요인 검증을 위해 ‘성별, 학교급간’ 스트레스 요인별 t-검정 실시, ‘학년별, 체육 점수별, 학우간, 여가시간 활동’ 스트레스 요인별 F 검정과 Duncan 차이검정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 스트레스 요인 차이는 여학생이 전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에 대한 부담감’ 스트레스는 다른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간 스트레스 요인 차이는 중학생의 경우 ‘자신감 부족, 시험에 대한 부담’ 스트레스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경우 ‘학습내용, 친구들과의 마찰, 시설 및 환경조건, 교사에 대한 불만’ 스트레스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스트레스 요인 차이는 중ㆍ고등학생들의 경우 2,3학년이 1학년 보다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학년 학생들이 다른 학년에 비해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점수별 등급 스트레스 요인 차이는 중ㆍ고등학생 모두 체육 점수별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 점수별 등급 '우'(81~90점) 학생의 경우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등급 '수'(91~100점) 학생의 경우 적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학교급간에 따른 학우 간 스트레스 차이는 성별의 경우 남학생은 체육을 '아주못함>보통이하>보통>아주잘함>보통이상'의 순으로 스트레스를 보였으며, 여학생도 남학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아주잘함>보통이상' 순서만 다르게 나타났다. 학교급간의 경우 중ㆍ고등학생 모두 체육을 '아주못함' 이라고 대답한 학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여가시간 활용에 따른 성별, 학교급간 스트레스 차이는 성별, 학교급간에서 중ㆍ고등학생 모두 '거의/전혀안한다'로 대답한 학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가끔한다, 자주한다'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ㆍ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에서의 스트레스는 ‘시험에 대한 부담’ 요인과 체육 점수별 등급에 따른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보아 입시 위주의 학교 풍토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tress factors which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uggests effective methods to deal with them. This current study presents necessary data so that the students can partici...

      This study examines the stress factors which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uggests effective methods to deal with them. This current study presents necessary data so that the students can participate in the classes with more desirable dir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ess factors which might be felt by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ree middle schools (males=301; females=320) and three high schools (males=440' females=87), 1,148 participants in total. An investigation tool was made by Lee,J,W (2001) using six factors (the contents of the classes, conflicts between friends, lack of self-confidence, the burden of examination, facil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omplaints about teachers) 30 questionnaires titled, 'Analysis of Stress 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reliability of the constructs in interest was analyzed by Cronbach'a in the questionnaire, and all of them came out to more than 0.9. Physical education classes stress different verifications produced b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In addition, T-tests were conducted by sex and differenc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main stressors. Differences by the stressors, 'Class, Physical Education points, Physical Education class own estimate of accomplishment, practical use of leisure time' were examined by ANOVA and Dunca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ing: In the case of sex, difference by Physical Education class stressors appeared that female student suffered from stress more than on the whole.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dicated higher stress because of 'the burden of examinations' than other factors. In the case of classes, differences by Physical Education class stressors showed that high school students received more stress on the whole (the contents of the class, conflicts between friends, facil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omplaints about teachers). In the case of a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an values of the 'lack of self-confidence' and 'burden of examination' stressors appeared higher. In the case of classes, differences by Physical Education class stressors indicated that a secondary school second-year student had the most stress, and first-year students had less stress. In the case of Physical Education points, differences by Physical Education class stressors were found in all secondary school students that indicated that they suffered from stress. In the case of physical education points, it was found that a 'B ranked' (81~90 points) students suffered from a lot of stress, and an 'A ranked' (91~100 points) students suffered from less stress. In the cas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mplishments, and male students were asked to rate their physical ability as very poor>below average>average>above average>very good. Female students indicated similar tendencies as male students. In the case of most classes, the response 'very poor' for physical ability was the most common among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In the case of practical use of leisure time of by sex, inter-school grade stressors responded by secondary school indicated that the response to 'hardly ever' and 'never' was the most common among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