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니메이션 뮬란 및 쿵푸 팬더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연구

        정흔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It's impossible to make Western people to understan Orientalism as actual Asian image of Orientalism can be find and learn though the anmation in Western movies. In the other hand, if we look at the Orientalism though Asian's view, it's hard to take an objective view because of nationalism sentimetal. Therefore the thesis shows that , in the time of hegemony of Western culture how it effected though Disney movies in the picture media. look at how it change though consideration, it can be a chance to rebuild a identity of Orientalism and Oriental culture show. Though the caratocr in Hollywood animation which combine Oriental view and Western knowlege Western, they release the image of Chinese expression and meaning though <Mulan> and <Kung Fu Panda> When we look at the <Mulan> like existing Diseney animations, Like the center of American society which is White, Men, Cathoric ideology bourgeois They warp with Amerian familism and Puritanism athic. They use a carater who is Chinese hero, express classic prestige and fresh motive using this carater to express innocent and healthy ending that usual Disney style fantasy, It escalated ideoloy’s penetration. They used other country’s culture or story to penetrated to their viewer about American style ideology and Disney Story. One of Hollywood hero animation specialty is using Women hero. The heroism is the women hero’s journey of self discovery and disire. The self discovery is not only effected in women hero. The process of self discovery, it is an inevitable related from catching heroism. Women hero is different than men hero in society Because the women carater itself discribed as loser or wimp there for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a self discovery for women hero. But the pictures developed without consideraton in Chinese’s culture and value show another Orientalism in Western. Next is <Kung Fu Panda> when we look at this picture, it’s similar with other existing Hollywood Chinese caraters but they try to use as mush as using Chinese logos to express their detail at study and reserch in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t doesn’t show they did with conscious but at least they’re very concern on the detail. In the case of<Kung Fu Panda> shows Oriental’s identity throuh the Oriental kung fua and basic story and believe. Using animal carater as a human being was very Orientic, however Using panda’s eye color from black other than green was express misticism in the image of Oriental in Western image. Though this research express positive hero image other than usual Chinese evil image or wired old man image they use kung fu to show that kung fu is very mysticism martial art. these movies effect the way Western people’s though of China culture of variety. Unfortunately it can’ t be change for the view of Oriental, such as mystery world and negativities from Western people to change of their fixed idea is not enough though few of these movies. It shows that the knowledge of China has been change though variety of movies.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뮬란 및 쿵푸 팬더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다각적인 시각을 해석한다. 서양 사람은 동양 사람과 같은 시각으로 오리엔탈리즘에 대해서 인식시키는 것은 가능이 없다. 서양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오리엔탈리즘의 이미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반면에 동양적인 시선으로 오리엔탈리즘을 살펴보면, 민족주의적인 정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객관성도 많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서양 문화의 헤게모니가 새로운 시기에 디즈니영화를 중심으로 한 영상 미디어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고찰함으로써 오리엔탈리즘과 동양문화의 정체성을 재구축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동양적 시선과 서양적 인식을 결합한 중국캐릭터 헐리우드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이미지를 중심으로 대표적 작품인 <뮬란>과 <쿵푸팬더>를 중심으로 중국에 대한 이미지의 표현방식과 각 의미에 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작품 <뮬란>을 살펴보면 기존의 디즈니 애니메이션처럼, 미국 사회의 주류인 백인, 부르주아, 남성, 기독교도들의 이데올로기를 미국식 가족주의와 청교도적 윤리라는 건전한 가치로 포장하였다. 철저한 미국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중국의 영웅이 된 한 소녀라는 고전적 권위와 신선한 모티브에 실어 강변하고, 순수하고 건전한 모험의 행복한 결말이라는 디즈니식 환타지로 표현함으로써 이데올로기의 침투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다른 나라 문화의 우화나 전설을 미국적 이데올로기와 디즈니식 동화라는 형태로 향유자들에게 침투시키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할리우드 영웅 애니메이션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여성영웅 애니메이션의 특징이다. 여성영웅의 자아발견 욕망과 여성영웅들의 영웅성이다. 자아를 발견하는 것은 비단 여성영웅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자아발견의 과정은 영웅성의 획득에서 빼낼 수없을 만큼 필연적인 관계이다. 여성영웅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위치가 남성과 다르기 때문에 여성이라는 존재자체가 약자나 박탈된 자아로 그려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자아발견을 위한 의미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디즈니식 이해는 중국인의 가치와 문화를 전혀 고려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작된 작품들은 결국 또 다른 서양인들에게 동양의 오리엔탈리즘 보여주게 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쿵푸팬더>를 살펴보면 기존의 헐리우드 영상물에서 중국적인 요소가 적지 않게 등장하지만 대부분은 대충 중국 로고를 붙이는 수준을 넘어 헐리우드에서 보기 드물게 중국 전통 문화에 대해 세세한 연구와 이해를 하기 위한 노력이 엿보였다. 분명 통찰력 있는 반영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디테일을 처리하는 데에 심혈 기울인 것은 찾아볼 수 있다. <쿵푸팬더>의 경우 동양의 쿵푸와 쿵푸 영화의 기본 스토리 구조와 믿음에 대한 동양적 가치관이 반영되었으며 동양적 동물을 의인화시킨 동양적 성격이 짙은 영화라 할 수 있으나, <쿵푸팬더>에서 팬더의 눈을 검은 색이 아닌 녹색으로 표현한 것은 서양에서 인식하는 동양의 신비한 이미지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영화들에 나오는 중국인에 대한 과거 악마 이미지, 이상한 노인 이미지, 쿵푸라는 신기한 무술을 하는 인물 등의 존재가 아닌 기존 영화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긍정적 이미지의 영웅 이미지를 그려주고 있다. 이는 서양인들이 생각하던 중국에 대한 인식의 다양화가 영화로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단 몇 편의 영화제작만으로 서양인들이 바라보는 동양에 대한 신비로운 세상과 부정적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점이다.

      • 왜상적 시선을 통한 중국 6세대 영화 연구 : 부산 국제영화제에 출품된 영화를 중심으로

        황효흔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6세대’ 영화인은 중국 영화계에서 아카데미즘 감독세대와 구분되어 새롭게 등장한 집단을 일컫는다. 대다수가 1980년대 북경영화학원 연출전공 졸업생인 6세대 감독들은 영화예술과 관련된 교육을 받고 1990년대 중국영화 무대에 등장한 젊은 감독들이다. 그들의 초기 작품들은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사고의 차이를 드러내거나 포용하면서 심리 상태의 실제 상황들을 기록하는 것을 추구하였다. 6세대 영화감독은 독특한 방식으로 객관적인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면서 사회의 하류층의 침묵을 기록한다. 그들은 ‘5세대’ 감독의 영화에 나타나는 민족주의적인 서사구조에서 벗어나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생활, 개인의 사랑과 증오, 반역사적인 인물들의 행위 등에 주목하고 있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왜상적 시선이론을 통하여 6세대 감독의 작품에 대해 설명을 하려고 한다. 우선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에 정리 분석을 한다. 라캉의 왜상적 시선이론을 포함하여 지젝은 라캉 이론을 계승 발전하였다. 구조주의에 나타난 탈중심화와 관련된 이론을 다뤄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는 연구대상인 중국 6세대 영화의 흐름을 간략히 서술하고 백년의 역사를 지닌 중국영화를 세대로 구분하여 5세대, 6세대의 영화의 차이를 언급할 것이다. 또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6편의 영화들과 선정 이유에 대해 6세대 영화가 국내 국외영화제에서 상을 받은 상황과 관련하여 정리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전통 이데올로기가 강조된 주선율 영화와 오늘날까지 여전히 활약하고 있는 5세대 감독에 대해 연대기적으로 정리하고 분석을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탈중심적 6세대 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등장을 하였는지 구체적인 영화의 인물을 다루면서 분석을 할 것이다. 마지만 부분에서는 부산국제영화제에 출품된 6편의 중국 영화를 두 편씩 묶어서 라캉의 이론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비교해서 분석하고 논술할 것이다.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서로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더욱 잘 찾을 수 있고 도움이 되는 결론을 찾을 것이다. 최근 몇 년간 6세대 감독의 영화 연구는 보다 더 많아지고 있지만 라캉이론을 연구에 적용시킨 예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왜상적 시선’이라는 새로운 시점을 적용하여 6세대 감독과 그들의 작품에 대하여 더욱 잘 알 수 있고 깊게 이해하게 할 것이다.

      • 배트맨 영화 시리즈에 나타난 가면의 유형과 이중자아 연구 : 팀 버튼, 조엘 슈마허,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작품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오가기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보와 지식이 풍요로운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정신적 정체성의 문제에 대면하게 된다. 자기 상실과 소외를 느끼는 현대 인간은 사회 집단의 일원으로 사화, 타자의 요구에 맞추어 가면을 쓰게 된다. 페르소나라고 하는 인간의 사회적 가면은 외적 인격을 대변하며 가면을 쓴 인간은 점점 자기 내면의 자아와 멀어진다. 소외와 불안을 느끼며 인간은 진정한 자아로 되돌아가고 싶어한다. 가면은 인류문화의 유상으로 인간의 삶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등장한다. 가면을 씀으로써 인간은 이중적인 모습을 나타내며 분열된 자아의 갈등도 심화해진다. 본 논문은 인간 가면의 특성, 인간 자아의 이중성 이론을 연구, 분석하고 배트맨 영화 시리즈의 비교 분석을 통해 가면의 다양성과 이중자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면은 오랜 세월동안 인간의 정신활동 안에서 다양한 역할을 해왔으며 인간의 정신세계를 상징하는 하나의 장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예술 장르에서 가면은 이중성을 지닌 자아를 표현해온 것도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면을 통해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존재하는 이중적인 자아의 갈등, 대립, 자기실현의 과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배트맨 영화 시리즈에 등장한 다양한 가면을 통해 각 감독의 영화를 비교함으로써 이중자아의 양상과 차별적 특징을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주제어 : 가면, 이중자아 , 배트맨 , 분열된 자아, 무의식 In modern society, which has a wealth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human is facing the problem of spiritual identity. The modern people feels loss and alienation of self and as a member of the society must wear masks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society and others. Social mask called persona, is human's external personality. And with the mask we are increasingly moving away with our inner self. Under the alienation and anxiety we want to go back to the true self. Mask is the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and with a variety of types. By wearing masks we show a double face and the contradiction of divided self become more prominent. This paper aims to the diversity of mask and Doppelganger through the study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asks, duality theory of human self and Batman film series. Mask is a symbol of the human spirit world. In particular, masks express the duality of human self in various art genres. In this paper, through the mask we analysis the contradiction between conscious and unconscious. Through variety of masks appeared in the Batman film series we compare the films of each director and analysis the disparateness of Doppelganger. KEYWORD: Mask, Doppelganger, Batman, Division of the ego, Unconscious

      • 도시전설을 기반으로 제작된 모큐멘터리 연구 : <V.H.S>에서 나타난 언캐니한 공포를 중심으로

        진호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언캐니(Uncanny) 이론을 적용해서 도시전설을 기반으로 제작된 모큐멘터리 <V.H.S>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모큐멘터리 <V.H.S>에 대해 전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를 모두 포함하였다. 모큐멘터리 <VHS>에서는 다큐멘터리의 전형적인 ‘사실적인 촬영 기법’과 도시전설이라는 소재의 조합을 통해 원시적인 두려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모큐멘터리 <V.H.S>를 보고 사람들이 왜 두려운 감정을 느낄 수 있을 가에 대해 분석하려고 프로이트의 언캐니 이론을 연구도구로 도입해보았다. 옴니버스 형식을 취한 모큐멘터리 <V.H.S>에서는 여섯 편의 에피소드 <56번째 테이프>, <아마추어들의 밤>, <두 번째의 허니문>, <17일의 화요일>, <에밀리에게 일어난 이상한 일>, <98년 10월31일>이 있다. 각 에피소드에서 감독은 다양한 도시전설과 다큐멘터리 촬영 스타일의 창조적인 활용을 통해서 이야기의 내용에 충실하면서 물입극대화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중적인 전략의 조합은 관객들에게 더 현실적이고 매혹적인 효과를 더했다. 논문에서 살펴본 모큐멘터리 <V.H.S>에서 여섯 편의 에피소드는 모두다 불안감과 이상한 두려운 감정을 유발 할 수 있는 ‘억압된 것의 회귀’, ‘거세 공포’, ‘반복강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이유 때문에 이상한 두려움에 대해 분석함에 있어서 프로이트의 언캐니 이론은 도구로써 매우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 영화 <성스러운 피>에 나타난 라캉의 주이상스 연구 : 주인공 피닉스의 충동적인 행동분석을 중심으로

        김성민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은 1970년대 후기의 연구에서 실재계(The Real)는 외상(Trauma)을 겪은 이후의 상징계(The Symbolic)에 저항하는 형식으로서 결코 써질 수 없는 어떤 것이라 정의 내리며 충동과 주이상스(Jouissance)의 주체(Subject)에 대해 주목하였다. 충동개념은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리비도 개념과도 같다. 인간 삶의 근원적인 주이상스는 죽음충동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라캉은 상징계를 겪고 난 후의 잉여 주이상스(Surplus-Jouissance)야 말로 인간의 욕망을 지속시키고 삶이 지속되는 길이라고 했다. 즉 욕망을 지속시키는 환상이 없으면 인간은 살아갈 수 없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자크 라캉의 실재계와 주이상스와 관련한 연구로부터 기인되었으며 주이상스를 분석하기 위해서 실재계의 범주를 둘로 나누어 상징계 이전의 실재계는 근원적 주이상스의 성격으로, 상징계 이후의 실재계는 잉여 주이상스의 성격으로 분석 할 것이다. 덧붙여 전자는 근원적 실재계, 즉 상징계를 겪기 전 원초적 실재계로 보려는 것이고 후자는 잉여 주이상스와 환상의 주체인 오브제 쁘띠 아(Object petit a)의 성격을 가지는 언어와 법이 존재하는 상징계를 겪은 이후의 실재계의 성격으로 보고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영화 <성스러운 피 Holy Blood, 1989>의 주인공 피닉스(phoenix)가 반복적으로 이유 없는 살인을 하는 것이 이 둘의 경로 중 어떠한 양상 때문인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에 대한 방식은 자크 알렝 밀레(Jacques Alain Miller)와 브루스 핑크(Bruce Fink)가 라캉의 후기 연구에 주목한 방식을 수용하면서 임상의적 관점으로 분석 주체를 분석하기로 한다. 영화 <성스러운 피 Holy Blood, 1989>의 감독인 알레한드로 조도로프스키(Alexandro jodowsky, 1929)는 주제 및 형식면에 있어 다양한 시도를 통해 작품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으며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창작한 컬트영화 감독이다.

      • 팀 버튼 애니메이션에서 기묘한 표현의 의미

        왕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1958년에 태어난 팀 버튼은 영화감독이면서 시나리오 작가이며, 영화 제작자이다. 팀 버튼은 1984년 첫 번째 단편 애니메이션 <빈센트>를 제작한 이후 2016년까지 27개의 영화 및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팀 버튼이 기묘한 캐릭터를 이용해 독특한 영상을 연출해 왔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의 기묘한 낯설음은 사람들로 하여금 작품 속에 빠져들게 만드는 표현의 특징이다. 화려하면서도 암담하며, 의기소침한 분위기는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표현 특징들이다. 그의 영화의 특징에 대해 사람들은 고딕, 어둠, 기묘함이라 말하곤 한다. 과장적인 색채에 의지한 요정 같은 인물, 판이한 스타일의 복장, 환상적이며 열정이 가득한 상상력과 독특한 시각적 분위기는 많은 영화 팬들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팀 버튼의 작품 하나하나는 관중들의 마음을 움직이면서 그들의 눈물샘을 자극했다. 표현주의 스타일의 화면과 캐릭터들을 통해 그의 애니메이션은 현대사회가 야기하는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 비판을 진행한다. 그의 영화 속에 등장하는 전통적인 주체로부터 억압되고 배제되어 온 타자성을 지닌 캐릭터들은 사회 가장자리에 위치한 주변인물들이다. 팀 버튼의 영상 속에서 이러한 인물들의 내면세계는 독일 표현주의 양식으로 표현되었다. 영화라는 매개체를 통해 현실을 비판함으로써 관중들의 반성을 이끌어냈다. 본 논문에서는 팀 버튼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기묘한 표현은 현실비판을 위한 표현이라고 판단하고 그것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개념들을 활용하고자 한다.

      • 애니메이션으로 변주된 <신데렐라> 연구

        왕소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신데렐라>는 세계 동화 중에서 고전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고 동시에 영화와도 인연이 아주 깊다. 영화가 탄생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조르주 멜리에스는 <신데렐라>의 이야기를 스크린에 옮겼다. 이때를 시작으로 신데렐라에 대한 영상화 개작은 중단되지 않았고 다른 동화 캐릭터에 비해 훨씬 오래된 생명력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동화와 달리 스크린에서 신데렐라는 원작을 유지하고 재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대에 맞게 발전 하였으며 신데렐라 캐릭터가 더욱 다양한 특징을 가지게 되었고 당시의 시대에 특별한 흔적을 남겼다. 뒤에서 캐릭터 변화의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시대별 환경에서 타자의 욕망 변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참고적 의미를 갖는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Cinderella> <Cinderella II Dreams Come True> <Cinderella III A Twist in Time> 이 세 가지를 동화를 대표적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고전영화 이론은 이런 방향의 연구에 적합하지 않고 정신분석의 도입으로 현재영화 이론이 영화 텍스트의 상징적인 의미를 더 넓은 차원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은 영화 분석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라캉의 ‘상상적 타자’와 ‘상징적 타자’ 등 타자이론을 근거하여 신데렐라라는 캐릭터를 주체와 타자의 상상적 공감과 상징적 공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렇게 타자의 욕망과 주체의 공감 사이의 복잡한 변화를 탐구하기 위한 연구 목적을 지닌다.

      • 방탄소년단 영상에 나타난 순수욕망 찾기 : ‘Love yourself’ 시리즈를 중심으로

        장한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신분석학자 라캉에게 욕망은 위반이다. 힙합 아이돌로서 ‘방탄소년단’의 음악도 기본적으로 위반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위반의 속성은 인간 주체가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정신분석학에서 인간은 ‘텅 빈’ 존재이기 때문이다. 라캉에게 욕망은 ‘텅 빈’ 자신의 존재의 자리를 채우려는 과제를 지닌다. 방탄소년단의 음악은 이러한 라캉의 욕망을 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캉의 욕망이론을 통해 음악을 형상화한 방탄소년단의 영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치 영상 <起 ‘Wonder’>와 앨범 3부작 <承 ‘Her’>, <轉 ‘Tear’>, <結 ‘Answer’>로 구성된 방탄소년단의 ‘LOVE YOURSELF’ 시리즈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한다. <起 ‘Wonder’>에서 순수욕망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한다. 상상계를 재현한 <承 ‘Her’>와 상징계를 재현한 <轉 ‘Tear’>를 통해 타자의 욕망으로 지배된 것이 자신의 순수욕망이 아닌 것을 다룬다. 마지막 앨범 <結 ‘Answer’>에서는 타인에게 완벽한 자신이 되는 것보다 영원히 완벽할 수 없는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욕망을 포기하지 말라는 내용을 전했다. 이것은 거울상과 환각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타자의 욕망을 거부하면서 자신의 순수욕망으로서 ‘Be yourself’, 즉 인간 자신의 존재와 의미를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인간 자신의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제시해 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에서 의미하는 타자의 욕망을 기반으로 ‘LOVE YOURSELF’ 시리즈 중 상상계, 상징계, 실재의 장면을 분류하는 과정을 통해 타자의 욕망과 순수욕망의 재현과 의미를 연구하였다. For psychoanalyst Lacan, desire is a violation. As hip-hop idol, BTS’s music basically has a meaning of violation. The nature of these violations is the question that human subjects ask themselves. Because in psychoanalysis, humans are ‘empty’. For Lacan, desire has the task of filling the position of ‘empty’ himself. BTS’s music pursues this desire of Lacan. Therefore, in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s of BTS that represent music through Lacan’s desire theory. For this purpose, BTS’s ‘LOVE YOURSELF’ series, which consists of installation video <起 ‘Wonder’> and album trilogy <承 ‘Her’>, <轉 ‘Tear’>, <結 ‘Answer’> will be studied. Ask what pure desire is in <起 ‘Wonder’>. Through <承 ‘Her’>, a reproduction of the Imaginary Stage, and <轉 ‘Tear’>, a reproduction of the Symbolic Order, it deals with what is controlled by Other’s desire is not pure desire. In the last album, <結 ‘Answer’> them told others to accept yourself that can’t be perfect forever and not give up on your desire rather than being a perfect self. This is to reject the Other’s desire by the interaction of mirror images and hallucinations and seek out ‘BE yourself’ as one’s pure desire, that is, the human being’s own existence and meaning. In addition, it presents new meanings to human beings’ own existenc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Based on Other’s desire in Lacan’s psycho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reproduction and meaning of the Other’s desire and pure desire through the process of categorizing Imaginary Stage, Symbolic Order, and Real Order in the ‘LOVE YOURSELF’ series.

      • 감정의 복원으로 해석하는 공주 캐릭터의 변주 :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차주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고에서는 2000년대 이전의 변주된 디즈니 공주 캐릭터를 주목한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공주 캐릭터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왕자에게 구원받고 그와 결혼해 행복한 삶을 살게 되는 전통적인 공주 캐릭터에서 1980년부터 1990년대까지 자신의 지적 욕구와 모험심을 세상에 펼치며 사는 새로운 공주 캐릭터로 변주되었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 맞춰 변주되는 공주 캐릭터를 철학적 관점을 통해 분석한다. 이를 위해 바뤼흐 스피노자(baruch de spinoza)가 주장하는 감성론을 빌려와 공주 캐릭터의 정서 변화 양상을 고찰한다. 그가 정의한 인간의 3가지 원시적 정서인 욕망, 기쁨, 슬픔을 포함한 48가지 감정은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핵심적인 요소이다. 정서적으로 억압되어있던 공주를 그린 애니메이션 <백설 공주와 일곱 난장이>, <신데렐라>,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선정해 분석하고 <인어공주>, <미녀와 야수>, <알라딘>을 앞의 애니메이션과 비교, 대조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관점에서 연구되었던 공주 캐릭터의 감정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초창기의 공주 캐릭터는 결핍된 감정으로 일그러진 여성상을 보여줬음으로 이를 비판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주적이고 야망을 가진 공주 캐릭터가 등장하여 다양한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정서의 범위가 넓어지고 캐릭터 스스로가 자신의 감정에 깊이 들어갈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 연구는 디즈니 공주 캐릭터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주되어 왔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This paper notes the variations of Disney princess characters prior to the 2000s. Disney princesses underwent variations from traditional characters in the 1930-50s of being saved by a prince and attaining a happily ever afterlife to their more progressive forms in the 1980-90s who fulfilled their intellectual needs and adventurous spirit. This study analyzed princess characters who adapted to modern society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We employed Spinoza’s (1677) affect theory to examine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princess characters. Forty-eight human emotions defined by Spinoza, including the three primitive ones – desire, joy, and sadness – were key factors in the analyses. The analyses involved comparing the earlier Disney princesses from animations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Cinderella”, and “Sleeping Beauty” with the later characters from “The Little Mermaid”, “Beauty and the Beast”, and “Aladdin”. These attempts will help examine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princess characters that have been studied from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thesis criticizes that the early princess characters had shown distorted images of women with a lack of emotion. This study analyses how Disney princess characters have been transformed through history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The princess character with independence and ambition appears and sincerely expresses her own various emotions. Then, the range of character’s sentiments has expanded, and the character could go deep into her own e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