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 강릉 김씨 부인의 여행기 <경성유록> 연구

        김경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5

        Seo-Yu-Rok西遊錄 is a travelogue of lady Kim who traveled from Gangneung to Seoul with her husband and daughter in 1913. This local lady’s record of her travel appeared in a book entitled Kyungseong-Yurok京城遊錄 where the translation of some articles of a newspaper, Capital Gazette皇城新聞 were also included. This essay tried to analyse the route of this lady’s travel, the organization of her travelogue, her thoughts on Western and Japanese civilization and her self-representation. While traveling in Seoul, she saw with her own eyes Japanese military forces and commerce, and Japanese style houses, which led her to get feeling of resentment toward these Japanese power on one hand, and needs to advance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of Korean people on the other hand. When she visited schools, she came to think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could be realized through education. It is notable that she recorded her ideas and thoughts in a logical and confident way. It seems that her journey to Seoul gave her not just a chance to realize the necessity of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in Korea, but also the motivation to enlarge her sense of self. Through this journey, she came to realize her female identity and nation identity beyond her familial identity. These thoughts of hers seem to reflect the currents of thoughts at that times. Her thoughts and attitudes shown in her travelogue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new image of traditional women, which had been represented as the old-fashioned whose consciousness was limited to conventional thoughts. 이 글은 <서유록>에 나타난 노정과 글의 구성, 당시 새롭게 접하는 서구나 일본의 문물에 대한 태도, 자기재현 양상을 분석하여 강릉 김씨 부인의 문명의식과 여성의식을 살펴본 것이다. <서유록>은 강릉 김씨 부인이 1913년 강릉에서 서울로 여행한 기록으로, <경성유록>이라는 책에 <황성신문> 기사를 번역한 것과 함께 묶여 전한다. 강릉 김씨 부인은 서울 여행을 통해 일본 군대, 일본 사람들의 장사, 일본 사람들의 주택 등을 보고 분개하는 한편, 놀라워하며 문명개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강릉 김씨 부인은 문명개화를 위해 여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 그 논리와 어조는 당당하고 적극적이다. <서유록>은 향촌 출신의 여성이 서울 여행에서의 문명 체험을 통해 문명개화의 필요성을 깨닫고, 가족의 일원에서 여자계의 한 여성, 국민의 한 사람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강릉 김씨 부인의 이러한 적극적인 태도와 인식은 전통적인 의식에 갇혀 있는 것으로 재현되던 구여성의 타자화된 이미지를 벗어난 새로운 구여성상을 재현한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18세기 安東 閭巷文學 試探

        Lee Jong ho(李鍾虎)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This paper reviewed Yeohang Literature of the 18th Century in Andong Province.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Andong Yeohang Literature is as followings. First, the main members of Yeohang Literature are Hyang-ri(local official) and Yeok-ri(road official). They make a commitment to restore original status through educational activity. Yeohang intelligentsia who showed an eminent ability are called Choesa by Sadeabu class. Second, Yeohang intelligentsia discussed an issue with the partisanship aside, so they can present a variety of views and make friends more widely. Accordingly, they adapted to diverse thoughts, but never denounced Toegye's theory of Sungri-hak. Third, Gang-juho who has showed a distinctive writings, embraced change of central cultural form made by achievement of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He made a long journey and did a review of Sansumi. A activities of climbing famous mountains and seeking beauties of nature are a result of the positive accept cultural new flows formed by Seoul's intelligentsia. In short, such a literal products open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Andong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s. 조선후기 안동의 여항문학을 대표하는 인물을 찾아내어 그들의 삶과 생각을 검토했다. 문집을 남긴 여항 지식인 가운데, 權載運과 姜鳳文은 각기鄕吏 가문과 驛吏 가문의 士族化 실현을 위해 교육에 헌신한 인물이다. 그들은 家塾인 麗澤齋와 四益齋를 통해 백여 명에 달하는 후진을 육성했다. 그 후진 가운데 姜周祜, 姜周祐 형제는 도학과 문예 양방면에서 기존 사족출신에 못지않은 성취를 보여주었다. 이들 4인의 문집을 통하여 드러난 조선후기 안동 여항문학의 특징과 의의를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전하는 개인 문집을 중심으로 논한다면, 안동 여항문학은 17세기 후반에 시작하여 18∼19세기에 이르러 한층 성숙된 모습을 보였다. 둘째, 안동 여항문학의 주 담당층인 향리 및 역리의 후예들은 사족 신분의 회복을 위해, 일정 기간 武藝를 익혀 武科를 통해 1차 상승을 꾀한 뒤, 다시 儒業을 일삼아 科擧를 통해 2차 상승을 꾀하였다. 이를 위해 명망있는 향촌 유학자의 문하에 들어가 기본 경전과 성리서를 受業함으로써 儒者의 기본소양을 함양하였다. 향촌 사대부들은 생원 혹은 진사에 올랐거나 뛰어난 학행을 보여준 여항인에 대하여 '閭巷處士'라 칭하면서 친밀감을 표시했다. 당대의 저명한 학자나 문인들은 이러한 여항처사에 대해서 서신이나 면담을 통해 자유롭게 講論과 酬唱을 이어갔다. 셋째, 서인 노론계의 학풍이 안동사대부에게 수용되지 않았던 현실에서, 대체로 여항 지식인들은 특정한 당파나 학설을 적대시하지 않았다. 그에 따라 교유의 폭이 매우 넓어졌고 사상의 수용도 다양해졌지만, 그들의 근거지인 안동의 퇴계학풍을 외면하지는 않았다. 넷째, 18세기 중앙에서 유행하던 문화형태가 안동 여항문인에게 전이되어 실현되어가고 있었다. 특히 전국에 걸쳐 이루어진 산수유람과 산수평론은 그러한 흐름의 일단을 확인시켜준다. 요컨대, 여항 지식인의 문예활동은 향후 안동한문학 연구에 있어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환기시켜 주고 있다. 종래의 연구가 退溪學의 전반적 확산으로 요약되는 향촌 사대부 중심의 문예활동에 주목해 왔다면, 미래에는 지평을 넓혀서 여항 지식인의 그것까지도 함께 논의해야만, 보다 역동적이고 다채로우며 총체성을 담보해낼 수 있는 문학사 서술이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

        18세기 安東 閭巷文學 試探 -열악한 신분극복의 사다리: 道學, 文藝, 敎育-

        이종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조선후기 안동의 여항문학을 대표하는 인물을 찾아내어 그들의 삶과 생각을 검토했다. 문집을 남긴 여항 지식인 가운데, 權載運과 姜鳳文은 각기 鄕吏 가문과 驛吏 가문의 士族化 실현을 위해 교육에 헌신한 인물이다. 그들은 家塾인 麗澤齋와 四益齋를 통해 백여 명에 달하는 후진을 육성했다. 그 후진 가운데 姜周祜, 姜周祐 형제는 도학과 문예 양방면에서 기존 사족출신에 못지않은 성취를 보여주었다. 이들 4인의 문집을 통하여 드러난 조선후기 안동 여항문학의 특징과 의의를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전하는 개인 문집을 중심으로 논한다면, 안동 여항문학은 17세기 후반에 시작하여 18∼19세기에 이르러 한층 성숙된 모습을 보였다. 둘째, 안동 여항문학의 주 담당층인 향리 및 역리의 후예들은 사족 신분의 회복을 위해, 일정 기간 武藝를 익혀 武科를 통해 1차 상승을 꾀한 뒤, 다시 儒業을 일삼아 科擧를 통해 2차 상승을 꾀하였다. 이를 위해 명망있는 향촌 유학자의 문하에 들어가 기본 경전과 성리서를 受業함으로써 儒者의 기본소양을 함양하였다. 향촌 사대부들은 생원 혹은 진사에 올랐거나 뛰어난 학행을 보여준 여항인에 대하여 ‘閭巷處士’라 칭하면서 친밀감을 표시했다. 당대의 저명한 학자나 문인들은 이러한 여항처사에 대해서 서신이나 면담을 통해 자유롭게 講論과 酬唱을 이어갔다. 셋째, 서인 노론계의 학풍이 안동사대부에게 수용되지 않았던 현실에서, 대체로 여항 지식인들은 특정한 당파나 학설을 적대시하지 않았다. 그에 따라 교유의 폭이 매우 넓어졌고 사상의 수용도 다양해졌지만, 그들의 근거지인 안동의 퇴계학풍을 외면하지는 않았다. 넷째, 18세기 중앙에서 유행하던 문화형태가 안동 여항문인에게 전이되어 실현되어가고 있었다. 특히 전국에 걸쳐 이루어진 산수유람과 산수평론은 그러한 흐름의 일단을 확인시켜준다. 요컨대, 여항 지식인의 문예활동은 향후 안동한문학 연구에 있어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환기시켜 주고 있다. 종래의 연구가 退溪學의 전반적 확산으로 요약되는 향촌 사대부 중심의 문예활동에 주목해 왔다면, 미래에는 지평을 넓혀서 여항 지식인의 그것까지도 함께 논의해야만, 보다 역동적이고 다채로우며 총체성을 담보해낼 수 있는 문학사 서술이 가능해질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Yeohang Literature of the 18th Century in Andong Province.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Andong Yeohang Literature is as followings. First, the main members of Yeohang Literature are Hyang-ri(local official) and Yeok-ri(road official). They make a commitment to restore original status through educational activity. Yeohang intelligentsia who showed an eminent ability are called Choesa by Sadeabu class. Second, Yeohang intelligentsia discussed an issue with the partisanship aside, so they can present a variety of views and make friends more widely. Accordingly, they adapted to diverse thoughts, but never denounced Toegye's theory of Sungri-hak. Third, Gang-juho who has showed a distinctive writings, embraced change of central cultural form made by achievement of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He made a long journey and did a review of Sansumi. A activities of climbing famous mountains and seeking beauties of nature are a result of the positive accept cultural new flows formed by Seoul's intelligentsia. In short, such a literal products open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Andong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