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통약자 이동권 관리를 위한 특별교통수단 분산배치 효과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박지원,김진태,김상민,김준용 한국도로학회 2020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2 No.1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distributed arrangement of a vehicle base, which is a policy on maximizing the cost efficiency and timely/spatial effectiveness of special transportation system (STS) operation for improving the mobility of the elderly and disabled. METHODS: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distributed arrangement of an STS vehicle base in an urban area was analyzed. (2) The quantitative improvement effect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actual measurement of operation during STS distributed arrangement test operation in Namyangju city. RESULTS : (1) Cities with large area and populations, which have a distributed living zone in an urban area, have a higher distributed arrangement ratio than urbanized smaller cities. (2) Based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STS distributed arrangement test operation, the total travel time and distance decreased. CONCLUSIONS : (1) For the STS distributed arrangement, parking spots, driver standby, and restrooms must be prepared. Facilitating STS as a public institution consignment makes it easier to secure a vehicle base and management by utilizing public facilities. (2) Implementing the STS distributed arrangement of vehicle base allows for efficient response to demand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of vehicles, which eventually decreases travel time and distance. This decrease not only reduces management costs but also increases supply expansion withou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자율주행차량 기반 특별교통수단의 미래 이동지원서비스 니즈 분석

        도유미,홍현근,오창석,장정아,김석현 대한경영정보학회 2022 경영과 정보연구 Vol.41 No.4

        인간에게 있어서 이동의 자유 및 이동권은 자신의 기본권 실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 이동에 불편을 가지는 교통약자들에게 있어 이동권 보장에 대한 과제는 중요하게 인정되고 있다. 교통약자에게 이동권 확보는 삶을 영위하는 사회적 일부로서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적인 요소이다. 한편, 자율주행차량은 미래형 자동차로써 ‘이동’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교통약자들에게 이동으로부터의 자유를 기대할 수는 있으나 자율주행차량의 광범위하고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실현하기 위한 시설 등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이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지상황이나 제도 및 정책은 이렇다 할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량기반 미래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교통약자의 요구사항을 선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과 퍼실리테이션, 디자인 씽킹 등 인간중심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특별교통수단 이용행태에 따른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여정맵을 도식화하고 미래의 자율주행차량 기반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핵심 요구사항 62건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