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turns to Women’s Education in the Marriage Market: A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 Korea, and Taiwan

        장상수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9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8 No.4

        Much research has tried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women’s schooling and their husband’s wages. This association has been referred to as returns to women’s education in the marriage market, or simply as marriage returns to education. This article compared marriage returns in Japan, Korea, and Taiwan with each other, and contrasted these returns with their wage returns in each country. Analyzing General Social Survey data from each country, which were collected in the late 2000s, it also compared the estimates from several statistical models such as OLS regression, Heckman’s selection regression, instrumental variables regression, and conditional mixed process model. The findings were these: first, marriage returns did not seem to be much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Second, marriage returns in Japan were much higher than wage returns, whereas the two returns were similar to one another in both Korea and Taiwan. This means that Japanese women might be more concerned about their marriage prospects than Korean and Taiwanese women, when deciding the level of education they will pursue.

      • KCI등재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 여성과 남성의 차이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This paper reviewed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which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Although these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some detailed topics, this paper examined only the two education-related topics: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 returns to education. Each of these two topics includes two details respectively: the former is consisted of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of educational attainment, whereas the latter comprises both the return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occupational and monetary and the returns in the marriage market such as cultural and monetary. Summarizing the various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tried to show both the present status or level of inequality in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d the temporal change of it over the recent several decades. It found the following distinct trends; first,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or of educational attainment, has deteriorated since the early 2000s. Second, all of the returns to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labor market returns or marriage market returns, have declined since the mid 1990s. 이 글에서는 지난 수 십 년 동안 한국의 사회이동을 다룬 국내외 경험 연구를 개관하였다. 사회이동 연구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로 나뉘지만 여기에서는 교육과 관련한 두 연구 주제, 즉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을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의 교육기회와 여성 교육의 수익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다시 학업성적의 불평등과 학력성취의 불평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익은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 글은 한국의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이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였거니와 시계열 변화 방향도 알아보았다. 이런 비교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학업성적이든 학력성취든 교육기회의 균등성은 1990년대 또는 2000년대 이후 점차 악화하였다. 둘째, 교육의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 그리고 여성의 혼인 수익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 KCI등재

        학력의 교육투자수익률과 학력내 불평등의 추이 분석

        박소영,Park. So-Yo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1

        교육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성격은 다양하나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소득의 원천이 될 수 있는 자격과 기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장으로 기능한다. 특히 우리 사회는 빠른 학교팽창과 경제발전을 거침으로써 교육을 통한 노동시장내 성과의 변화가 동태적으로 변화해왔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육과 경 제적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봄에 있어서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그 변화를 살 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자료」와 「경제활동인구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교육과 노동시장내 경제적 성과의 변화 추이를 교육수 준의 분포 및 학력별 교육투자수익률 추이와 소득불평등 분해를 분석해보았 다. 그 결과 우리 사회에서 교육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이고 빠르게 증가했으 며 학교팽창은 노동시장내 공급자의 학력을 상향평준화시켰다. 교육투자수익 률은 1990년대 중반까지 하락하다가 상승하고 있으며 대졸자 이상과 고졸자의 학력간 격차 역시 전반적인 수익률 추이와 비슷한 증감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고학력자에 대한 임금프리미엄이 존재하나 연령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임금을 활용한 소득불평등 지수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했다. 그리고 소득불평등을 학력을 기준으로 분해했을 때 학력간 불평등 보다 학력내 불평등이 총불평등을 견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1980년대 총불평 등은 고졸・청년층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나 2000년대 이후 총불평등은 중 년층・대졸이상 및 고졸이 소득불평등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을 고려한 학교팽창 및 교육투자를 통한 노동시장내 경제적 보 상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리 사회는 고등교육자에게 경제 적 보상을 보장했으며 학교팽창을 통해 추가적인 교육투자를 가능하게 함으로 써 학력 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 그리고 학력 인플레이션은 고졸자에 대한 하 향평준화 및 고등교육에 대한 대중화를 견인함으로써 학력별 교육투자수익률 의 격차 및 학력내 동질성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동일 학력에 대한 직종별 이 질적 임금 책정 및 시장 내 대졸자의 비중 증가가 소득불평등을 증가시킴으로 써 Bourguignon et al.(2005)의 주장처럼 학교팽창의 증가가 소득불평등을 야 기하는 ‘진보의 역설(paradox of progress)’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imate the returns to education and inequality over time. I analysed the Mincerian earning model and Theil entropy Index using 1980-2012 the occupational wage survey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returns to education in Korea declined until the late 1990s, has increased since then. The rapid expansion of education has caused an upward leveling of worker. wage premium for high education has been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ge group. Second, when the decomposition of income inequality based on education, total inequality was more explained within education than betwee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re has ensured the economic rewards of higher education educators led to inflation by allowing for additional investment through education school expansion. Education inflation was causing the wage differential by education and weakened homogeneity within education.

      • KCI등재후보

        Determinants of Wage Structure and Returns to Education in a Developing Country: Evidence from Linked Employer-Employee Manufacturing Survey Data of Ethiopia

        Tilahun Temesgen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05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18 No.4

        This study estimates the returns to education for workers in the Ethiopian manufacturing sector, and investigates additional determinants of hourly wages other than education. It starts the analysis using the standard framework of a Mincerian earnings function focusing on individual level characteristics as determinants of wages. The standard framework (basic Human Capital Model) is then augmented by controlling for firm level characteristics that are believ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wage determination. In the basic model, the returns to one year of schooling for an Ethiopian manufacturing worker is around 10%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basic model - which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with estimates for other developing countries. When additional variables including firm level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for, the returns to education go further down to about 8% for men and 9% for women. Conditional on schooling, the basic model estimates show that each additional year of labor market experience increases hourly wages by 6.0% for men and by 7.8% for women.

      • RETURNS TO HUMAN CAPITAL AND WAGE INEQUALITY: THE CASE OF TAIWAN

        YIH-CHYI CHUANG,WEI-WEN LAI 중앙대학교 경제연구소 2017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42 No.3

        To compare with the literature on Taiwan study of wage inequality by the turn of Twenty-First Century, using Taiwan’s 1978-2003 Manpower Utilization Survey data, this paper estimates the trends of returns to education and experience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turns to human capital, ability, and wage inequality. Over the period, return to higher education has an increasing trend while the wage inequality reveals a declining tendency, a phenomenon also contradicted to existing literature, e.g., Castelló-Climent and Doménech (2014). Using quantile regression, we further discover the relations between human capital accumulation and unobserved ability, i.e., education and ability are substitutes while experience and ability tend to complement each other. Education enables those less able people to improve upon their disadvantages and thus improve wage inequality. Moreover, wage inequality is lower in females than in males for every educational level and more experienced groups. Contrary to the existing literature, Taiwan’s empirical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creasing employment share of more educated workers and/or females will improve instead of worsen wage inequality. Policy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based on Taiwan’s experience.

      • KCI등재

        수학능력시험 성적을 고려한 대학교육의 임금 프리미엄 분석

        임슬기,남성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1-11차 자료를 활용하여 수학능력시험을 고려한 대학교육의 임금 프리미엄을 분석하였다. 교육투자수익률의 능력편의를 제거하기 위해 언어, 수리, 외국어 평균성적을 개인의 내재된 능력의 대리변수로써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성적의 포함으로 4년제 대학의 교육투자수익률은 약 70%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또한 감소하였다. 반면에 대학원 졸업의 경우 여전히 유의한 양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대학의 질적인 측면을 통제한 경우 교육투자수익률의 감소폭은 확대되었으며, 이는 강건성 검정에서도 유지되었다. 해당 분석 결과는 대졸자의 증가와 취업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4년제 대학졸업이 가지는 신호효과가 미비해졌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wage premium of university graduation by taking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nto account using the 1st to 11th Korean Educational Employment Panel (KEEP). The study uses the average score of language, math, and English as a proxy for the individual’s unobservable ability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for ability bia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turn to education for four-year universities lost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when the CSAT scores were included and only return to education of graduate schoo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The scope of reduction in the return on education expanded when the quality of university was controlled, and the result remained the same in the robustness tes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ignal effect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ion in Korea has weakened due to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for jobs among college graduate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