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 제시형태, 대안 수의 크기, 정보처리 양식이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에 미치는 영향

        양윤,김혜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2

        본 연구는 대안제시형태(시각적 이미지/언어적 텍스트), 대안수의 크기(6개/30개), 정보처리양식(시각처리자/언어처리자)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과부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삼원 요인설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제시형태의 경우,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보다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에서 선택과부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대안 수의 경우, 6개보다 30개에서 선택과부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리고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 조건에서 언어처리자보다 시각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으며,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 조건에서 시각처리자보다 언어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또한 대안 수가 6개이고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일 때 언어처리자보다 시각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고, 대안 수가 30개일 때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에서 시각처리자보다 언어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그러나 대안 수가 6개이고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일 때는 언어처리자와 시각처리자간의 선택과부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안 수가 30개일 때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에서 시각처리자가 언어처리자보다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effect of two depiction ways of assortment(visual/verbal), the size of assortment, and the SOP(style of processing) on the consumer's choice overload level. Therefore,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depiction way of assortment: visual/verbal) X 2(size of assortment: 6/30) X 2(SOP: verbal processing/visual processing) between-subjects desig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first, in the case of assortment depiction way, verbal depiction resulted in more choice overload than visual depiction. Second, in the case of assortment size, participants in size of 6 experienced low choice overload than participants in size of 30. Third,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visual depicted assortment was presented and verbalizers also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verbal depicted assortment was presented. Fourth,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isual depicted assortment and small size of assortment. Also, verb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erbal depicted assortment and big size of assortment.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oice overloads of visualizers and verbalizers when they served verbal depicted assortment and small size of assortment. But,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isual depicted assortment and big size of assortment.

      • KCI등재

        설계프로세스 가시화 도구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김성아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8

        Design process is a dynamic process in which numerous intermediate design artifacts and information are interwoven. On the other hand, designer's design activities are major elements which drive the evolution of the design process. As the analysis of design process requires multi-faceted inspection of design activities and involved design issues and concepts, effective externalization of design thinking has been the important task in design research. The verbal protocol analysis has been the most utilized experiment method while it is not only perfect solution but requires laborous work. As the design environment is rapidly shifting to the digital counterpart,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design process as well as design process capturing are desired to be digitalized and information rich. The assumption is that the design process can be effectively captured by the presented system and it can help both designers and tutors review and analyze the design process. It should also help novice designers learn from expert designer's design process. The system represents design process pattern in a graphic interactive environment. It also provides various useful features to enhance the analysis of design process. This paper presents theoretical groundwork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sign process visualizer. The representation model is presented, and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is reviewed. Discussions on the further development directions include critical evaluation of the system.

      • KCI등재

        튜오마스 이롤라의 음향 분석을 활용한 슈만의 <트로이메라이> 연주해석

        안수환 ( Ahn¸ Soo Hwa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2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곡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연주적 표현에 의하여 어떻게 감정적 의미 연합을 진행하는지에 대하여 녹음된 음향신호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동일한 곡이라도 다른 연주 표현을 통하여 악곡에 부여된 의미와 음악 외적인 정보와의 연합에 의해 다양성을 나타낸다. 음향 신호에 대한 음향적 정보의 발췌를 위하여 이롤라(T. Eerola)의 “음악에 대한 청취자의 감정적 반응 도식화” 논문을 심층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이롤라가 지정한 총 여섯 가지의 음향적 정보 중 주파수 중심도, 템포 명료성, 그리고 음량 등을 집중하였다. 분석의 대상으로는 슈만의 ‘트로이메라이’를 선택하였는데, ‘트로이메라이’는 예술적이면서 대중취미적인 음악적 특징과 함께 표제음악으로서의 의미 및 음악 외적인 정보를 다양하게 담고 있는 성격소품(Character piece)이다. 연주자로는 프랑코 디 니토(Nitto, F.D.)와 윤디 리(Li, Y.)를 선택하였다. 그들이 연주한 ‘트로이메라이’를 소닉 비쥬얼라이져(Sonic visualizer)를 활용하여 음향 신호를 시각화 한 뒤, 이롤라의 음향적 정보와 감정반응의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트로이메라이’의 다양한 상징적 정보와 어떻게 연합을 이루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자는 두 연주자의 ‘트로이메라이’ 연주의 소리신호에 따라 감정 반응은 각각 달라지고, 이 달라진 감정 반응들은 ‘트로이메라이’가 담고 있는 다양한 정보와 연합하게 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연주자의 다른 해석은 각기 다른 청취적 반응을 일으키며, 이것은 음향적 차이에 의하여 발생 될 수 있다. Even in the same music,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eaning given to a piece of music through different performance expressions and its external information create d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is emergent performance associates with emoti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ormed by music by using recorded voice signals. To extract the acoust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voice signal, the author classified the acoustic signal by thoroughly analyzing the paper by Tuomas Eerola’s ‘Modeling the listener’s emotional response to music.’ This study intensively utilized the frequency centroid, tempo clarity, and volume, among a total of six types of acoustic information designated by Eerola, for the analysis of Robert Schumann’s ‘Traumerei’. ‘Traumerei’ is a character piece that contains a variety of information outside of music and meaning as the title music (program music) along with artistic and kitsch musical characteristics. All emotional responses of listeners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coustic signals of the ‘Traumerei’ performance, and these changed emotional responses are associated with various information contained in ‘Traumerei'. Therefore, according to the acoustic signals of the performance, various symbolic associations of the meanings of the music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visualized the audio signals of Franco Di Nitto and Yundi Li’s ‘Traumerei’ by using Sonic Visualizer. Applying it to the mechanism of emotional response, the author examined how it is associated with various symbolic information of ‘Traumerei’. As a result, the various interpretation of performers create diverse audio signals and, the diverse audio signals cause extensive audible decoding.

      • KCI등재

        즉흥적(Improvisational) 컨트롤을 위한 Sound Visualizer 연구

        오승환(Oh Seunghwan),김재명(Kim Jaem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최근 소리의 가치가 중요시되고 재해석되며 문화 트렌드가 급부상 하는 시점과 발맞추어 새로운 실험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대중매체에 활용되고 표출되어지는 상황은 음의 시각화 일치(synchronization)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단순 그래픽을 나열하는 현상과 쉽게 표현할 수 없는 퍼포먼스라는 인식과 자아(自我)의 즉흥적 행태를 표출할 수 있는 응용소프트웨어의 부 재(不在)등은 연구의 대상으로 부각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의 시각화 개발사례를 살펴보고 음의 시각 요소를 추출하며 음의 시각화에 대한 실험적 모색에서 부터 공연과 무대를 대상으로 하는 연주자와 비연주자 형으로 구분하여 연주자와 컨트롤러의 연계를 통하여 즉흥적(improvisational) 이미지 표출이 가능한 스탠드 얼론 방식의 사운드 비주얼라이저(Sound Visualizer)의 제작과정과 개발을 제안 하였다. Visualization efforts for sound has been tried and developed for a long time using various ones from the past analogue devices to the present digital computing environment. Recently new experiments are emerging as cultural trend is becoming famous suddenly which is very encouraging. However synchronization between sound and visualization is not secured in mass media. And its background includes simple arrangement of graphics the recognition of performance that cannot be easily expressed and the absence of applied software with which emotions can be improvisational expressed.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sound visualization development cases extract visual elements experiment visualization of sound suggest alternative methods through connecting a developer a player and a controller by dividing into player-type playing for a performance and nonplayer-type and propose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Sound Visualizer a stand-alone type application enabling to express improvisational image.

      • KCI등재

        해금(奚琴)의 농현(弄絃)을 위한 사운드 비주얼라이저 연구

        오승환(Oh Seunghwa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음악 공연을 위한 사운드 비주얼라이저는 연주자의 사운드와 화면의 일치(synchronization)를 통하여 관람객으로 하여금 보다 몰입을 유도함으로서 차별화된 공연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사운드 비주얼라이저가 통상적으로 소리의 강약에 집중되어 표현된 것이라면 본 연구에서는 해금(奚琴)을 통한 농현(弄絃)의 미세한 연주법에 따른 시각 표현에 집중하였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해금의 음악적 특색과 농현의 특징을 고찰하고 해금 연주를 채음 하기위한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해금 연주공연을 위한 오디오 시스템 비주얼 시스템 컨트롤 시스템 등 3가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최종 적용사례 제안으로서는 해금 아티스트 꽃별과 인터뷰를 통하여 5곡(Small Flowers Near By The Railr 도라지 Korean Bitter Dancing in Blossoms 섬집 아기)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을 연계하여 방법론을 가시화시킨 것과 시간의 흐름을 배제(排除)하여 가시화시킨 사례를 주된 기준으로 삼고 협연을 위한 5가지의 사운드 비주얼라이저를 개발 제안하였다. Sound visualizer for music performances has become a unique element that encourages deeper immersion of the audiences by synchronizing the sound of performers with visual screens. If the existing sound visualizer focuses on the timbre of sound this study focused on visual expression of the delicate technique of trembling the strings on Haegeum.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s of Haegeum and the technique of trembling the strings searched for ways to capture the sound of Haegeum and built the audio visualization and control systems at a Haegeum concert. For the final application I selected five pieces by interviewing Haegeum artist 'Ccotbyel' and developed five sound visualizers for the concert.

      • 主觀量測定のための槪念モデル可視化ツ一ルramiの開發

        최홍석 ( Choi Hong-seok ),岡崎章 ( Okazaki Akira ),山下利之 ( Yamashita Toshiyuki ) 동의대학교 경제경영전략연구소 2012 經濟經營硏究 Vol.7 No.2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which becomes the preference criterion of products is depended on each evaluator. However, depending on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o be changed the ranking of factors, because the factors are based on sensibility. The study developed “rami” which is possible to express human vague sensibility in a freehand drawn figure, unlike several existing evaluation methods. By visualizing the importance of preference criterion factors of products by using “rami”, it was found that peopl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has an obvious evaluation criterion and the other group does not have it when they evaluated a product. Moreover, it is possible for evaluators to be aware of the change of the evaluation method rankings themselves.

      • KCI등재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소리 시각화 어플리케이션

        양민하(Yang, Minha)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2

        최근 우리 주변에 있는 스마트 단말장치들 대부분은 서로 많은 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다. 많은 단말장치들이 은닉된 데이터 전송을 기본 기능으로 탑재하고 있으며, NAS와 유사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지니고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종 단말 장치간의 통신은 앞으로 더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이를 기반한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이핑에 대한 연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TV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소리 시각화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실험한다.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이핑의 형식을 띠고 있기에, 원활한 연구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타블렛)로 한정하였고 스마트 TV는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으로 대체하여 개발하였다. 이종 디바이스 간의 연동을 실험하기 위해 TCP/IP 소켓 통신을 이용했고 음원 데이터 교환을 위해 FTP를 이용했다. 소리 시각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해 FFT와 확산 그리고 모션벡터 알고리즘을 응용했다. 본 연구를 통해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이 단말기 중심의 인터랙션만큼이나 직접적이고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된 어플리케이션들은 모두 실제 구동이 되도록 개발되었으며 인터넷을 통해 작동 동영상을 배포하고 있다. Almost the whole recently manufactured smart devices like smart phones and tablets support various data transfer functions between different devices. Many smart devices have hidden data transfer functions, and some of them have cloud storage functions similar to NAS. In the years to come, even more devices will support the communications between different devices. Even though, studies on this phenomenon are not made widely now, and the software prototyping studies are not made properly either.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udio-visualizing application that suppor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nication with mobile devices. For the smooth research, mobile devices are limited in smart phone and smart pad (android tablet). And smart TV application is replaced by desktop application. TCP/IP socket communication was used for short term signal exchange, and FTP was selected for music files transfer. To create audio-visualizing application, FFT and physical spread algorithm and motion vector field were applied. Through this research, I found the interaction between local devices in short range network connection is important as much as the device dependent interaction. Applications made for this study are prototypes but all functional, and operation movies are distributed through Vimeo service.

      • KCI등재후보

        실측 데이터 기반 모션센서 에뮬레이터의 개발

        이민석,Lee, MinSuk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1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6 No.2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n open source motion sensor emulator. It helps developers to understand the motion sensor and its data better. Through this emulator, the realtime or stored motion sensor data can be applied to the applications that utilize motion sensors. The data of motion sensors which include accelerometer sensor, magnetic field sensor, gyro sensor, GPS, and so on, can be collected by using smart phones or motion sensors. We also describe a visualizer which shows various graphs, video and 3D animations based on the data sent by the emulator. It helps developers to understand motion sensors and how to use the sensors. The developed emulator is compatible with Android sensor simulator.

      • KCI등재

        ISO 15926 기반 공정 플랜트 생애주기 데이터 가시화 플랫폼의 개발

        김봉철,이인혁,김병철,문두환 한국CDE학회 2019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4 No.1

        In the process plant industry, the concept and basic designs of a plant are performed by front end engineering design(FEED) companies, and the detailed design and construction are handled by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procurement(EPC) companies. Equipment manufacturers supply EPC companies with various materials and equipment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EPC companies commission the plant to owners aft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In this process, design and construction data are handed over as well. Plant operators manage the plant utilizing design,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data. Various data generated in the entire plant lifecycle are interrela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trieve individual data and track other data associated with it, because they are produced by different stakeholders using different engineering systems. In this paper, we define an integration model for plant design, manufactur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data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resources provided by the ISO 15926 standard. Based on the model, we design a platform that visualizes interconnected plant lifecycle data. After the design of the platform, a prototype system is implemented and an experiment of retrieving the plant lifecycle data is carried out on the sample data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integratio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