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경 색상에 따른 시인성과 영향 요인 평가

        정지수,이희연,정예린,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1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visibility of golf balls of different colors in a setting with different background colors and to examine at how visibility effected according on the correction condition. Methods : Participants included 25 visually normal without ophthalmic diseases or visual impairments (13 men and 12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24.72±1.81 years). The test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ackground (grass and sand), correction (full correction, +0.50 D fogging, +1.00 D fogging), golf-only lens wearing and not wearing. Under each condition, balls of blue (B), orange (O), fluorescent (F), and white (W) were randomly placed, and the minimum distance the ball was recognized was measured by a gold distance meter. In addition, subjective visibility was evaluated. Results : As a result of measurement on grass, W: 92.72±13.07, O: 98.12±3.21, B: 65.76± 11.47, and F: 97.96±4.96 m (p<0.010), and as a result of measurement on sand, W: 66.80±7.87, O: 85.72±9.67, B: 86.84±7.86, F: 86.08±6.64 m (p<0.010). The minimal perceptual dista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fogging in both grass and sand (p<0.010). The minimum perceptual distance in all colors was further distant when the result of adding the +1.00 D fogging state and the golf-only lens was W: 68±13.37, O: 78.12±10.89, B: 38.28±7.88, and F: 81.52±10.39 m (p<0.010). Fluorescent had the most visibility in the subjective visibility evaluation on grass, while blue had the lowest visibility, while blue had the highest visibility in sand and white had the lowest (p<0.050).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inimum perceptual distanc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olo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inimum perceptual distance for each color in the same background. As the degree of myopia low correction increased, the minimum perceptual distance for both sand and grass was shortened, and green tinted lens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visibility on grass. 목적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배경색상을 가진 환경에서 다양한 색상의 골프공에 대한 시인성을 평가하고 교정상태에 따른 시인성 변화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은 안과 질환과 시각기능 장애가 없는 25명(남성 13명, 여성 12명, 평균 나이24.72±1.81세) 이었다. 검사 조건을 주변 환경(잔디와 모래), 교정 상태(완전 교정, +0.50 D 운무, +1.00 D 운무), 골프전용 렌즈 착용과 미착용 상태로 총 3가지 조건으로 설정했다. 각 조건에서 파란색(B), 주황색(O), 형광색(F), 하얀색(W) 의 공을 무작위로 배치한 뒤 공이 인식되는 최소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은 골프 거리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각 환경에서 주관적인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잔디에서 측정한 결과, 하얀색 92.72±13.07, 주황색 98.12±3.21, 파란색 65.76±11.47 및 형광색97.96±4.96 m이었으며(p<0.010), 모래에서 측정한 결과 완전교정 상태에서 하얀색 66.80±7.87, 주황색85.72±9.67, 파란색 86.84±7.86 및 형광색 86.08±6.64 m이었다(p<0.010). 잔디와 모래에서 모두 운무양이증가할수록 최소 인지 거리가 멀어졌다(p<0.010). +1.00 D 운무 상태에 골프 전용 렌즈를 장입한 결과 하얀색68±13.37, 주황색 78.12±10.89, 파란색 38.28±7.88 및 형광색 81.52±10.39 m 이었으며, 모든 색상의 공에서 최소 인지 거리가 멀어졌다(p<0.010). 잔디에서 주관적인 시인성 평가는 형광색이 가장 시인성이 높았고 파란색이 가장 낮았으며, 모래에서는 파란색이 가장 높았고 하얀색이 가장 낮았다(p<0.050). 결론 : 본 연구 결과, 배경색상에 따라서 물체의 최소인지거리 차이가 있었고 동일한 배경에서도 물체의 색상별로 최소인지거리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시의 저교정 정도와 비례하게 모레와 잔디환경에서 모두 최소인지거리가 짧아졌으며, 그린 착색 렌즈는 잔디 환경에서 모든 색상에 대한 최소인지거리가 멀어졌으며 잔디 환경에서시인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축광노면표시 시인성 및 설치규격개선 효과분석: 고속도로 사고다발구간을 중심으로

        이용주,이명환,최기주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4

        Visibility of lane marking is impaired at night, or in case of rain, and thereby threatens traffic safety. Recently, various studies and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lane marking visibility, such as the extension of lane marking life expectancy (up to 1.5 times), improvement of lane marking equipment, improvement of lane marking visibility (32.7%) by applying phosphorescent material mixed paint, and expressway lane design standards alternative (length 6m, gap 12m, width 13cm: 27.8% of painted surface are reduced) adoption with ergonomic analysis. In this study, a set of cost-benefit analyses was performed for the cases where such techniques were appli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26.9% of traffic accidents would be prevented by improving lane marking visibility by 32.7%; accident reduction benefit was calculated as much as 12.5 billion KRW. Meanwhile, total increased cost when introducing phosphorescent material mixed paint and lane design standards alternative is calculated as 30.6 billion KRW. However, economic feasibility could not be secured with 0.41 of cost-benefit ratio when applied to the expressway network as a whole. Additionally, cost-benefit (B/C) analysis was applied to each of the top 20 night accident hot spots and the results of B/C ratios were between 0.67 and 4.20, showing that 11 out of 20 spot sections of expressway can have economic feasibility. This results indicate, with this kind of pavement marking applied to accident hot spots in rural expressway, better vi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can be guaranteed through traffic accident reduction.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genda have also been discussed. 야간 혹은 우천시에 노면표시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교통안전에 위협을 초래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개된 차선도색 장비 성능개량에 따른 노면표시 수명 연장(1.5배), 축광차선도료를 배합한 야광 노면표시의 시인성 개선(32.7%), 인간공학적 검토를 통한 고속도로 차선도색 설치규격 개선안(도색길이 6m, 빈길이 12m, 차선폭 13cm: 도색면적 27.8% 절감)을 도입하였을 때 종합적인 소요비용 및 사고절감 편익을고려한 경제성분석을 통해 도입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노면표시 시인성 32.7% 개선에 따라 26.9%의 사고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절감편익은 125억원으로 산정되었다. 야광차선 도입 및 설치규격 개선에 따른 총비용 증가분은 306억원으로 고속도로 일괄 도입시 경제성(비용-편익비 0.41)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 교통사고가 잦은 상위 20개 구간을 대상으로 각 구간별 경제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구간에 따라 비용-편익비가 0.67~4.20으로 전체 20개 구간 중 11개 구간에서 경제성이 확보되어, 특히 지방부 고속도로 사고다발구간에 야광 노면표시 및 설치 규격 개선을 우선적으로 적용시 사고 감소에 따른 경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주제가 함께 논문의 말미에 토의되었다.

      • KCI등재

        시선유도시설 시인성 분석에 관한 연구

        권성대,박제진,남창규,하태준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2 No.5D

        도로의 곡선부는 기하구조상 운전자의 시각변화가 현저하게 발행하고, 속도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직선부보다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1999년도 교통문화운동본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78%의 운전자가 안전표지판에 대한 불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만 요인으로는 시인성 부족이 2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야간 또는 기상악화로 인해 시선유도시설의 시인성 마비는 도로선형에 관한 정보를 부적절하게 전달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도로의 서비스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시선유도시설물의 설치와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 설치·운영 중인 재귀반사식 시선유도시설과 도로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 개발된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에 대해 운전자가 곡선부를 주행할 때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고, 시인성이 향상된 시선유도시설물에 대해 1차, 2차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한 후, 교통안전을 향상시키는 최적의 시선유도시설물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재귀반사식 보다 내부조명식 시선 유도시설에서 시인성, 속도감속 필요성, 안전성에 대하여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교통안전이 향상된 시선유도시설물을 설치할 경우, 운전자에게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함은 물론 곡선부 교통사고 위험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isual changes and changes in curved sections of highways are more dangerous than straight sections According to the enquetes conducted by Coalition for Transportation Culture in 1999, about 78% of drivers are dissatisfied with traffic guide and safety signs, with lack of visibility being the largest reason with about 27.9% of respondents indicating it as reason for dis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lack of visibility during nighttime or bad weather not only threatens driver safety due to poor delivery of information, but also affects the service level of highway. Because of this a new delineation must be installed and managed to enhance driver visibility. In this research, an optimal delineation system to enhance traffic safety is presented. In this research drivers effectively obtained information on highway alignment on the curved sections using a retro-reflection type delineation system and a newly-developed internal lighting delineation system to improve safety on the highways. A statistical comparison was conducted and analysis was done for the delineation systems that enhanced visibility through primary and secondary enquaetes. As a result, inside-lighting delineator will be s elected in terms of safety at the curve section. The inside lighting delineato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retro-reflection delineator on visibility, the necessity of reduction of speed and will reduce the hazard at curve sections. It is anticipated that when a delineation system based on this research is installed, a reduction in the number the number and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on curved sections will be reduced. In addition this system will more effectively provide drivers with information about highway alignment.

      • KCI등재

        정성적 변수를 이용한 건널목 시인거리 추정모델 개발

        조한선,이호원,박지형,오주택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지 Vol.25 No.3

        The number of accidents occurring at railway crossings is less than the accidents on other sections of roads but they cause enormous socio-economic damages. The geometric aspects of the railway crossing have to allow the drivers to recognize the crossings and take precautions against collisions. Therefore, ensuring visibility for the vehicle approaching the railway crossing is necessary for safe operation of the crossing. However, as there is little research related to railway crossing visibility in Korea, validating visibility and maintaining visibility based on the validation is badly needed. This research develops a visibility validation model to support improving visibility and to reduce accidents at railway crossings to improve safety for the crossing users. 철도건널목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도로상의 차량 사고에 비해 그 빈도수는 적지만 대형사고로 이어져 막대한 사회적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건널목의 기하구조측면에서 차량운전자는 철도건널목을 사전에 인지하여 이에 대응하여야 하나,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 사고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철도건널목에 접근하는 차량에 대해 철도건널목의 시인성 확보는 철도건널목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가 국내에서는 거의 전무한 상태로 철도건널목 시인성 평가 및 이를 토대로 한 시인성 확보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건널목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철도건널목 시인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건널목의 기하구조 및 접근도로의 제한속도 등 쉽게 구할 수 있는 변수들을 이용하였으며, 모델의 오차는 약 17.9m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민감도 분석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을 비교 평가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건설되는 철도건널목의 설계에 반영하여 건널목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철도건널목 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자동차 계기판 시인성 향상을 위한 시각적 필요요소에 관한 연구(국산승용차를 중심으로)

        김상훈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7 조형미디어학 Vol.10 No.3

        he vehicle cluster gauge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driver's safety by minimizing time consuming to get information of vehicle condition and operation status. In this thesis, readability, arrangement of colors and position of cluster gauge are studied within South Korean manufactured sedans for the visibility based on ergonomics and interface design. The study found that the cluster gauge of GM Daewoo Auto's Martiz has many factors of visibility problem. First of all, the letters used in cluster gauge of the vehicle have low ratio on length and breadth. Second, the space that wrapping letters are not enough to show letters' recognition clue. Third, cluster gauge is about 30 degree away to the right from hazard warning lights placed in front of steering wheel. Visibility of the most of other sedan models' cluster gauge were theoretically acceptable. However, I could not find any progressive attempt for enhancement of visibility amongst South Korean manufactured sedans. I believe that South Korean car manufacturers need comprehensive study on the hybrid design which can supplement traditional design process for visibility of cluster gauge. Thus, I suggest a prototype model of cluster gauge which is visibility enhanced. 자동차 계기판은 고속주행 시 운전자가 최단 시간 내에 차량의 상태와 차량 운행정보를 습득하고 다시 전방주시로 돌아가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산 승용차를 중심으로 인간공학과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자동차의 계기판 디자인의 문자 가독성과 배색, 그리고 계기판 위치에 따른 시인성을 위주로 검토, 연구 하였다. 그 결과, GM대우자동차 마티즈의 경우, 계기류에 사용된 문자의 종횡비가 낮고 문자를 에워싼 여백이 작은데다가 계기류와 표시등 부분이 두 위치로 나뉘어 있고 계기류의 위치가 운전자 전방시야와 우측으로 30도 가량 떨어져 있어서 시선 동선을 길게 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위 차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산 승용차 모델은 사용자의 편의성이나 시각적인 부분의 가독성, 시인성 부분에서 일반적이고 이론적으로 안전한 서체의 사용 및 배색을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국산 승용차의 경우, 계기판 시인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시도나 연구가 결여되어 보이는 바, 전통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에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장점을 반영하는 하이브리드 디자인의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인성이 향상된 계기판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안구 추적기를 이용하여 물체의 색상에 따른 시인성 평가와 안구 주시 시간

        정지수,이희연,정예린,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eye observation duration and visibility in relation to object color through eye tracker and powerpoint presentations with images of actual golf courses and various color golf balls. Methods : 20 Participants (11 men and 9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24.9±1.99 year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Golf course images, video, and multicolored golf balls were used to create a powerpoint presentation that was projected via a beam projector in the lab. Participants were given the task of locating the ball in the image while wearing an Eye tracker glasses 2 (Tobii, Danderyds, Stockholms, Sweden). The number, duration, and order of recognized balls were all counted. Results : The number of balls found during the time limit is 4.70±0.68 white, 4.52±0.84 orange, 4.12±0.75 blue, and 4.90±0.37 fluorescent balls (p<0.010). All balls were perceived in 6.77±2.37 for white, 7.61±2.18 for orange, 9.50±0.96 for blue, and 5.18±2.05 s for fluorescent (p<0.010).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order of recognition in images and videos with balls of various colors, In the video, blue was recognized last (48.75%) while fluorescent color was recognized first (40.00%), In the video, blue was recognized last(50.00%) while fluorescent color was recognized first (40.00%) (p<0.010). The number of recognized balls in the image shown to fly was 1.90±0.85 white, 2.25±1.06 orange, 1.50±0.68 blue, and 3.10±0.71 fluorescent balls (p<0.010).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blue balls had the lowest visibility of all the colors against the background of blue grass, whereas fluorescent balls had the highest visibility. The gaze time for color perception was shown to be the lowest for fluorescent color and the longest for blue. There was a negative connection between visibility and gaze time for color perception 목적 : 본 연구는 실제 골프장과 여러 색상의 골프공 이미지로 만들어진 파워포인트와 안구 추적기를 이용하여물체의 색상에 따른 시인성과 안구 주시 시간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총 20명(평균연령: 24.9±1.99세, 남자: 11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골프장이미지와 동영상, 여러 색상의 골프공을 이용하여 파워포인트를 만든 후 실험실에 빔 프로젝터를 투사한 뒤 Eye tracker glasses 2(Tobii, Danderyds, Stockholms, Sweden)를 착용시키고 이미지 내의 공을 찾도록 지시하였다. 인지한 공의 개수, 시간, 순서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 제한시간 동안 찾은 공의 개수는 하얀색 공 4.70±0.68, 주황색 공 4.52±0.84, 파란색 공 4.12±0.75, 형광색 공 4.90±0.37개였다(p<0.010). 모든 공을 인지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하얀색 6.77±2.37, 주황색 7.61± 2.18, 파란색 9.50±0.96, 형광색 5.18±2.05초였다(p<0.010). 서로 다른 색상의 공이 배치된 이미지와 동영상에서인지한 순서를 측정한 결과 이미지에서는 형광색(40.00%)을 가장 먼저 인지하였고, 파란색(48.75%)을 가장 늦게인지하였다(p<0.050). 동영상에서는 형광색(40.00%)을 가장 먼저 인지하였고, 파란색(50.00%)을 가장 늦게 인지하였다(p<0.050). 공이 날아가도록 연출된 이미지에서 인지한 공의 개수는 하얀색 공 1.90±0.85, 주황색 공 2.25±1.06, 파란색 공 1.50±0.68, 형광색 공 3.10±0.71개였다(p<0.010). 결론 : 본 연구 결과, 푸른 잔디 배경에서 모든 색상의 공은 다른 시인성을 보였고 형광색의 공이 시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란색의 공이 가장 시인성이 낮다는 결과를 보였다. 색 인지를 위한 주시 시간은 형광색이가장 짧고, 파란색이 가장 길게 측정되었다. 시인성이 낮을수록 색을 인지하기 위한 주시 시간은 높아지는 음의상관관계를 보였다.

      • 시인성 및 의미전달성 향상을 위한 철도 안전표지 디자인 개선방안 검토

        정형일(Hteong il Jeong),김신영(Sin yeong Kim),전정근(Jeong geun Jeon),김용한(Yong han Kim),정중규 한국철도학회 2015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5 No.10

        철도 안전표지는 철도 신호의 일종으로 표지가 설치된 구간을 운전하는 기관사에게 문자, 형상, 색, 기호 등을 이용하여 사물의 위치, 방향, 조건 등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국내 일반선 표지는 운행선구의 주변의 여러 색상에 대비해 색상차가 크지 않아 시인성이나 명시성이 낮은 실정이고, 표지에 사용된 문자나 그림은 그 자체만으로는 기관사에게 의미를 쉽게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철도 안전표지의 시인성 및 의미전달성 향상을 목적으로 디자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서, 국내 일반선에 설치되어 있는 표지 51종을 대상으로 현 표지의 문제점 분석 및 디자인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The railway safety sign, which is a kind of railway signal methods, is installed to inform a train driver the position, direction or condition of things by its shapes, colors or symbols. It is assumed that the sign in existed line of South Korea is lack of visibility, and the drivers aren’t being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ign enough by only seeing its letters or pictograms. This paper is aimed at review of design improvement plan for the sign in existed line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legibility as a part of developing sign design study.

      • KCI등재

        차량용 HUD의 인지적 감성 평가 -주행정보의 색채 시인성을 중심으로-

        최원정 ( Won Jung Choi ),이혜미 ( Won Jung Lee ),이설희 ( Seol Hee Lee ),박영경 ( Yung Kyung Park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2

        The main causes of traffic accidents while driving a car is of the driver`s visual distraction. In this study, the color sensitivity of the information projected on the windshield were evaluated for HUD (Head Up Display) system which helps the driver`s eyes on the road while dr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were projected 9˚ downward from front sight 0˚ under lab`s fluorescent lights, LED floorlights and the TV had having 25 [lux] illumination when driving at night environment and 100,000 [lux] of daylight environment. Munsell color hue of the basic five colors (R, Y, G, B, P) and the color of traffic lights YR, W were the color of the seven characters, each character were outlined by White, Gray except for W. Total of 19 experimental stimuli was shown in the environment of day and night driving for asking visibility information of color, fatigue, preferences, and evaluate the degree of interference. The results came out that the bright Y and G color is visibility significantly for daylight. Second, with the outline of the text, the color of the outline works as a background for luminance contrast effects and affects visibility. Third, without the outline, the glass in front of the vehicle acts as the background and the luminance contrast of characters achieve greater brightness and visibility. The luminance contrast between the stimuli and background should be considered for increasing color visibility for driving information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HUD commercialization.

      • KCI우수등재

        축광노면표시 시인성 개선에 따른 경제성 분석 및 적용방안

        이용주,이규진,김상태,최기주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5

        Visibility of lane marking is impaired at night or in the rain, which thereby threatens traffic safety. Recently, various studies and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lane marking visibility, such as the extension of lane marking life expectancy (up to 1.5times), improvement of lane marking equipment productivity, improvement of lane marking visibility by applying phosphorescentmaterial mixed paint. Cost-benefit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onsidering various benefit items that can be expected. About 45% of traffic accidents would be prevented by improving lane marking visibility. Additionally, accident reduction benefit and traffic congestion reduction benefit were calculated as much as 246 billion KRW per year and 12 billion KRW per year, respectively, by reducing repaint cycle due to enhanced durability. 45 billion KRW per year is expected to reduced with improved lane detection performance of autonomous vehicle. Meanwhile, total increased cost when introducing phosphorescent material mixed paint to 91,195km of nationwide road is identified as 1922 billion KRW per year. However, economic feasibility could not be secured with 0.16 of cost-benefit ratio when applied to the road network as a whole. In case of “Accident Hot Spot” analyzing section window (400m), one or more fatality or two or more injured (one or more injured in case of less than 2 lanes per direction) per year were caused by pavement marking related accident, economic feasibility was secured. In detail, 3.91 of cost-benefit ratio is estimated with comparison of the installation cost for 5,697 of accident hot spot and accident reduction benefit.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genda have also been discussed. 야간 혹은 우천시에 노면표시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교통안전에 위협을 초래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개된 차선도색 장비 성능개량에 따른 노면표시 수명 연장(1.5배), 생산성 향상(56.3%), 축광차선도료를 배합한 야광 노면표시의 시인성 개선(97.0%) 등 다양한 기대 편익과 종합적인 소요비용을 고려한 경제적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면표시 시인성 개선에 따라 45.4%의 사고가 감소, 연간 2,463억원의 교통사고 절감편익이 발생하며, 재도색주기 증가에 따른 공사중 교통혼잡비용 절감 연간 123억원, 자율주행자동차 차선인식 성능 개선에 따른 장비 가격 절감으로 연간 453억원의 편익이 발생하여, 축광노면표시 도입에 따른 연간 총 편익은 3,039억원으로 산정되었다. 전국 도로 91,195km의 차로구분선, 중앙선 및 가장자리차선에 야광차선 도입시 총비용 증가분은 연간 1조 9,222억원으로 경제성(비용-편익비 0.16)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잦은 곳의 지방부 분석 구간길이(400m)에 대한 도로유형별·차로수별 차선도색비용과 교통사고비용 원단위를 적용하여 축광 노면표시의 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되는 사고 규모를 산정한 결과, 노면표시가 직·간접적 원인인 사고로 유발된 사망자가 연간 1명 이상이거나, 부상자가 연간 2명 이상(단, 왕복 4차로 미만인 경우는 연간 1명 이상)인 경우 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관련 사고구간(5,697개)에 대한 야광 노면표시 설치비용을 사고감소편익과 비교한 결과, 충분한 경제성(비용-편익비 3.91)이 확보되었다.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주제가 논문의 말미에 토의되었다.

      • KCI등재

        VMS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시인성 성능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설정과 물리적 평가시스템 구축

        이상협(Lee Sang Hyup),백남철(Baik Nam Cheol)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2D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교통정보제공 장치인 VMS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항목, 항목별 기준값 및 평가방법을 설정하고 이러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VMS 평가에 관한 기존의 우리나라, 유럽 및 미국의 지침 분석을 토대로 휘도, 휘도비, 빔폭, 색상, 균일성을 설정하였으며, 평가시스템은 고니오미터, 태양광 시뮬레이터, 휘도계, 감지기, 랙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본 평가시스템 구축으로 향후 설치될 VMS의 시인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평가가 가능해질 것이다. Variable Message Sign(VMS) is one of the most popular travel inform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categories, each category's datum value and evaluation procedure for enhancing the visibility of VMS are studied and the physical evaluation system is developed. The evaluation categorie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guidelines used in Korea,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e evaluation categories include luminance, luminance ratio, beam width, color, and uniformity. The physical evaluation system consists of goniometer, solar simulator, luminance meter, sensor and rack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quantitative and effective evaluation of VMS visibility would become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