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화에 따른 마을공동체 민속의 변화와 탈맥락화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17 비교민속학 Vol.0 No.62

        현대사회는 광의의 산업사회이지만, 후기 산업사회이며 정보사회이다. 장구한 세월 동안 한국사회는 농경생활을 근간으로 한 농촌사회였고, 자연히 민속은 대부분 농촌사회에 기능적이었던 생활관습이었다. 농촌 산업화는 기본적으로 농업을 분업화, 전문화, 상품화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자신들의 먹거리를 생산하던 생계농업(subsistence agriculture)은, 시장에서 판매할 상품을 생산하는 산업농(industrial agriculture)으로 바뀌었다. 생계농업에 기초하여 운영되던 노동조직, 마을사회, 농경의례, 마을신앙, 농민예술도 적지 않게 변화되었다. 하지만 이런 와중에서도 마을공동체 민속의 관성이 남아서 일정 기간 옛 방식과 유사하게 전승되는 민속도 있다. 마을공동체 민속 가운데 어떤 것은 산업농 체제가 성립된 후 그에 맞게 재편되어 적응하고 있다. 산업농 체제 등장 이후 마을공동체 민속의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해당 민속과 관련이 없었던 사람들로 전승주체가 바뀌는 것이다. 마을단위 민속의 전승주체는 마을 밖의 지역 사람, 나아가 지역 출신이 아닌 사람들까지 참여하여 재구성되고 있다. 전승주체가 마을을 초월하여 재구성되는 현상은 현대 산업사회 민속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들 새로운 전승주체는 자발적인 판단과 선택에 따라 민속을 전승하는 데 참여하고 있다. 그들은 전통문화에 관한 정책적 · 제도적 변화를 고려하고 수용하되, 마을공동체 민속을 전통문화로 규정하면서 이를 지키고 가꾸고 이어가야 할 대상으로 인식한다. 그 결과 단절되거나 쇠퇴하는 민속을 탈맥락적으로 재현 또는 이식하거나 자기 삶의 일부로 편입시키고 있다. 또한 남성주도의 마을공동체 민속에도 농촌 산업화 이후 여성들의 참여가 활발하게 이루어기도 한다. 남성 본위의 민속이 여성에게도 개방되는 현상이다. 이것이 산업사회에서 마을공동체 민속의 전승과 복원, 재활성화의 경향이다. Contemporary society is industrial society in a broad sense but is also referred to as later industrial society and information society. For such a long period, Korean society was agricultural society grounded on farming. Naturally, most of our folklore was associated with custom that was functional in farming society. Rural and agricultural industrialization is basically a process of subdividing, specializing, and commercializing farming. Accordingly, subsistence agriculture oriented to producing what they had to eat themselves was changed to industrial agriculture intended to produce farm products to be sold in the market. Also, labor organizations, village communities, farming rituals, village beliefs, or farmers’ art of which operation was grounded on subsistence agriculture changed quite a lot, too. In the meantime, due to the inertia of folklore in village communities, some of it is transmitted for a certain period in the similar way as before. Some of the village community folklore have been restructured and adapted according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ustrial agriculture system. The most noticeable change appearing in the folklore of village communities after the emergence of the industrial agriculture system is that those transmitting the folklore are becoming people who are not really associated with that. Village-unit folklore transmitting subjects are being reorganized with those outside the village or even not from the region participating in it. The phenomenon that transmission subjects are becoming reorganized beyond the village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folklore in this industrial society. These new transmission subjects are joining in transmitting folklore while following their own judgment or choice. They consider and accept political as well as institutional changes in traditional culture while they regard it is something that has to be preserved and transmitted defining village community folklore as traditional culture. As a result, they either reproduce or transplant discontinued or declining folklore in decontexturalized aspects or transfer it into their own lives. Moreover, in men-oriented community folklore, too, after the emergence of rural industrialization, women have been participating actively as well. This is a phenomenon that men-led folklore has opened to women, too. This is the tendency of the transmission, restoration and revitalization of village community folklore in industrial society.

      • KCI등재

        어촌민속 전승에서의 어촌계 역할과전승 양상 -부산·경남의 어촌과 도시어항을 중심으로-

        김정하 한국민속학회 2018 韓國民俗學 Vol.67 No.-

        This treatise aims at explaining about the role of fishing village union at fishing village, and about the trends of continuance or change of fishing folklore. For the explaining, it is necessary to classify ‘fishing village’ as fishing villages and urban fishing ports, and search for the differences of fishing works, businesses, events, activities at the villages and ports. On the basis of such explaining and searching, this treatise tries to find out the particular roles to support or manage the village rite at fishing villages, urban festival and bringing about of Byulsingut(별신굿) at urban fishing ports as dialectical gradation, thesis -antithesis-synthesis. At the results, such facts are clarified that fishing village union support the village rite at fishing villages as Munhang village and Honghyun village and fishing village unions manage the urban festival at Dadaedong and bring about the Donghaean Byulsingut(동해안별신굿) at Dongsamdong which are all urban fishing ports. In the cases, the supporting of fishing village union for the village rites may keep and maintain the fishing folklore tradition which may promote unity of villagers, on the contrary, which may occur problems such as blind representation and artificial invention of ‘home-town image’ at the same time. And the management of fishing village union for the urban fishing festival may be events which make villagers unite and which promote selling of special regional products as fishes or shellfishes etc. with programs which apply traditional folklore to the urban fishing festival. However, on the contrary, the management may have problems such as using as means of economic business or political power at the same time. In comparison with them, the bringing about of Donghaean Byulsingut(별신굿) at urban fishing port as Dongsamdong may be desirable event to make villagers satisfy their wish and expectation about authenticity of fishing folklore. 이 논문은 어촌과 도시어항에서의 어촌민속 전승에서의 어촌계의 역할과 그 전승 양상을 파악하고자 시도했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논의에서 어촌으로만 통칭하던 어촌민속 전승공간을 어촌과 도시어항으로 구분하였다. 그 각각의 해당지역에서 어촌계는 어업을 비롯한 마을어장 이용, 자율관리어업공동체사업과 어촌체험마을사업, 도시형관광어촌마을사업 등 생산 활동에서 여전히 주도권을 쥐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어촌계는 어촌민속의 후원자나 주최자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어촌민속의 지속과 변모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그로써 어촌계는 지역의 소통과 단합을 도모하기도 한다. 이 연구를 위한 대상지역으로는 근대어업이 발달한 대표적 지역이면서도 전래의 어촌이 남아있는 남해군 문항마을과 홍현마을, 도시어항의 대표 격인 부산시 다대동, 동삼동을 택했다. 남해 문항마을이나 홍현마을 등은 어촌민속으로서의 동제를 꾸준히 치르는 지역이며, 부산시 다대동은 동제에는 관심을 갖지 않지만 대신 어촌계가 도시축제의 주최자로 나서는 지역이다. 이에 비해 부산시 동삼동은 전래민속인 동해안별신굿을 유치해 풍어제란 이름 아래 개최하며 마을주민 전체의 단합을 도모하는 지역이다. 먼저 어촌계가 동제를 후원하는 경우에는 전통을 고수하고 유지한다는 명분을 앞세워 마을주민을 단합시키는 순기능과더불어 전래민속을 묵수적으로 재현하며 ‘고향 이미지’를 작위적으로 창출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도시어항에서의 축제는 전래민속을 활용한 축제프로그램 운영을 지역특산물 판매 등의 목적에 연결시켜 마을주민의 지지와 협력을 받는 시민행사를 연출하지만 자칫 도시축제가 권력과 금력의 도구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 이에 비해 동해안별신굿을 유치하여 풍어제를 치르는 동삼동의 경우는 기층민중이 기대하고 소망하는 전래 어촌민속의 상징성, 신성성, 공동체성, 생산성 등을 환기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 마을의 변화와 도시 민속 연구의 방향 전환

        홍태한(Hong Teahan) 서울민속학회 2021 서울민속학 Vol.- No.8

        이 글은 민속 기반의 변화를 살펴본 후 민속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한 글이다. 민속학개론에 수록된 여러 항목들의 설명은 실제 생활과 차이가 크다. 1인 가족이 주류가 된 현실에서, 아직도 일생의례, 가족생활 항목에서는 과거의 대가족 중심의 내용이 기술되고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마을의 위기와 함께 마을 공동체 신화에서 벗어나기, 민속의 본질 또는 원형의 폐기와 새로운 관점 도입, 전통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서 벗어나기 등을 민속학에서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한다. 먼저 마을의 위기를 살폈다. 급속한 인구 감소와 수도권으로 집중은 전통 마을의 붕괴를 가져와 마을이라는 물리적 환경 자체가 존속하지 않게 되었다. 마을이라는 범주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공동체의식이 집결될 수 있는 일상은 존속하지 않고, 마을을 명분으로 일어나고 있는 여러 민속 현상의 기저에 마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에서 마을을 민속의 주요한 전승체로 보고, 마을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찾는 것이 아주 무의미한 것은 아니겠지만, 민속학과 일상의 괴리감은 더욱 크게 할 가능성이 높다. 원형을 주장하는 무당굿의 관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재가집(신도)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굿에 대한 관점이 반영되어야 한다. 단순하게 만속학개론에 기록된, 또는 한국무속연구에 기록된 굿의 개념이 아니라 일상환된 굿의 개념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개론서에 기록된 굿과 양상이 다른 굿이 연행된다면 그것 역시 무속, 민속의 범주에 수용해야 한다. 보편적인 민속의 주체로 사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계층화된 개인, 지역 격차의 차이를 가진 개인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가 중요해진다. 전통에 대힌 인식의 차이까지 바탕으로 해야 한다. 무형문화재 제도가 가지고 있는 적극적인 민속의 인식 및 수용 태도는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민속을 바라보는 시선이 조금은 냉정해야 한다. 민속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의미에는 주목하되 그것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 어쩌면 우리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현실을 직시하면서 민속의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과거가 아닌 현재에 주목하기, 민속 담당층의 다양한 계층 분화, 민속 기반인 마을의 변화와 만속 양상의 변화를 인식하자는 것이다. This article asserts that Korean folklore needs to accept changes in folklore, have an interest in everyday life, and restore dailiness. Explanations of various items included in introductions to folklore greatly differ from everyday life. While single-member households are now mainstream, contents of lifetime rituals and family living are still described with focus placed on large families of the past. Thus, this article presents directions for folklore so that it may break away from village crises and village community myths, discard the essence or original form of folklore and introduce new perspectives, and break away from the values of tradition. First, observations were made of village crises. Rapid population decreases and focus placed on metropolitan areas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traditional villages, caus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villages to be pushed out of existence. Even in cases that are within the category of villages, everyday life in which community spirit can be assembled has been discontinued and villages no longer exist upon the foundation of diverse folklore phenomena that can occur upon the pretext of villages. In such conditions, while it is not meaningless to view villages as major agents of folklore transmission and to search for the values that villages possess,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is will simply expand the gaps that exist between folklore and everyday life. There must also b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of shaman rites that assert original form. Therefore, reflections must be made of perspectives on rituals from positions of jaegajibs (believers). This signifies that concepts of routinized rituals must be reflected and not simply concepts of rituals recorded in introductions to folklore or studies on Korean shamanism. If rituals with aspects that differ from those recorded in introduction texts are to be performed, they must be accepted into the categories of shamanism and folklore. Then, people will not be viewed as subjects of universal folklore but rather, importance will be placed on how stratified individuals with personal and regional differences should be viewed.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n tradition should also be used as foundations. It is necessary to accept active folklore perspectives and acceptance attitudes that are possessed by intangible cultural asset systems. View of folklore must become slightly objective.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folklore bu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y are not fixed and that they can become at odds with reality. Conclusively, the important thing is to face reality and find the meaning of folklore. The author of this article views this to be dailiness.

      • 민속의 토대 변화와 민속 연구의 방향성 모색 -서울 민속을 중심으로-

        홍태한(Hong Teahan) 서울민속학회 2022 서울민속학 Vol.- No.9

        이 글은 민속 기반의 변화를 살펴본 후 민속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한 글이다. 민속학개론에 수록된 여러 항목들의 설명은 실제 생활과 차이가 크다. 1인 가족이 주류가 된 현실에서, 아직도 일생의례, 가족생활 항목에서는 과거의 대가족 중심의 내용이 기술되고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마을의 위기와 함께 마을 공동체 신화에서 벗어나기, 민속의 본질 또는 원형의 폐기와 새로운 관점 도입, 전통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서 벗어나기 등을 민속학에서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한다. 먼저 마을의 위기를 살폈다. 급속한 인구 감소와 수도권으로 집중은 전통 마을의 붕괴를 가져와 마을이라는 물리적 환경 자체가 존속하지 않게 되었다. 마을이라는 범주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공동체의식이 집결될 수 있는 일상은 존속하지 않고, 마을을 명분으로 일어나고 있는 여러 민속 현상의 기저에 마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에서 마을을 민속의 주요한 전승체로 보고, 마을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찾는 것이 아주 무의미한 것은 아니겠지만, 민속학과 일상의 괴리감은 더욱 크게 할 기능성이 높다. 원형을 주장하는 무당굿의 관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재가집(신도)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굿에 대한 관점이 반영되어야 한다. 단순하게 민속학개론에 기록된. 또는 한국무속연구에 기록된 굿의 개념이 아니라 일상화된 굿의 개념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개론서에 기록된 굿과 양상이 다른 굿이 연행된다면 그것 역시 무속, 민속의 범주에 수용해야 한다. 보편적인 민속의 주체로 사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계층화된 개인, 지역 격차의 차이를 가진 개인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가 중요해진다. 전통에 대한 인식의 차이까지 바탕으로 해야 한다. 무형문화재 제도가 가지고 있는 적극적인 민속의 인식 및 수용 태도는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민속을 바라보는 시선이 조금은 냉정해야 한다. 민속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의미에는 주목하되 그것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 어쩌면 우리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현실을 직시하면서 민속의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과거가 아닌 현재에 주목하기. 민속 담당층의 다양한 계층 분화, 민속 기반인 마을의 변화와 민속 양상의 변화를 인식하자는 것이다. This article asserts that Korean folklore needs to accept changes in folklore, have an interest in everyday life, and restore dailiness. Explanations of various items included in introductions to folklore greatly differ from everyday life. While single-member households are now mainstream, contents of lifetime rituals and family living are still described with focus placed on large families of the past. Thus, this article presents directions for folklore so that it may break away from village crises and village community myths, discard the essence or original form of folklore and introduce new perspectives, and break away from the values of tradition. First, observations were made of village crises. Rapid population decreases and focus placed on metropolitan areas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traditional villages, caus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villages to be pushed out of existence. Even in cases that are within the category of villages, everyday life in which community spirit can be assembled has been discontinued and villages no longer exist upon the foundation of diverse folklore phenomena that can occur upon the pretext of villages. In such conditions, while it is not meaningless to view villages as major agents of folklore transmission and to search for the values that villages possess,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is will simply expand the gaps that exist between folklore and everyday life. There must also b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of shaman rites that assert original form. Therefore, reflections must be made of perspectives on rituals from positions of jaegajibs (believers). This signifies that concepts of routinized rituals must be reflected and not simply concepts of rituals recorded in introductions to folklore or studies on Korean shamanism. If rituals with aspects that differ from those recorded in introduction texts are to be performed, they must be accepted into the categories of shamanism and folklore. Then, people will not be viewed as subjects of universal folklore but rather, importance will be placed on how stratified individuals with personal and regional differences should be viewed.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n tradition should also be used as foundations. It is necessary to accept active folklore perspectives and acceptance attitudes that are possessed by intangible cultural asset systems. Views of folklore must become slightly objective.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folklore bu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y are not fixed and that they can become at odds with reality. Conclusively, the important thing is to face reality and find the meaning of folklore. The author of this article views this to be dailiness.

      • KCI등재

        사회민속 분야의 검토와 전망

        박환영(Park Hwan-Young) 한국민속학회 2008 韓國民俗學 Vol.47 No.-

        본 논문은 민속학에서 다루어지는 ‘사회’의 개념이 무엇이며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를 가늠하면서 한국민속학 연구사를 중심으로 사회민속을 고찰하는 내용과 이러한 연구사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민속과 관련된 이제까지의 논의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는 어떠한 민속현상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마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좀 더 작은 집단인 마을의 여러 조직, 친족집단, 가족 등이 이러한 민속현상을 지속해 주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므로 사회민속은 한국민속학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마을공동체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분야이다. 다시 말해서 어떠한 민속현상이라도 그것을 전승하는 전승주체가 있기 마련인데 그것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없이 밖으로 드러난 민속현상만을 보는 것은 속이 비어있는 껍데기를 살펴보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즉 모든 민속현상의 이면에는 민속의 주체인 어떠한 집단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의 사회민속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민속학의 여러 영역 중에서 사회민속 분야는 여전히 민속학에서 가장 핵심적이며 기초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학에서 현지조사는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현지조사를 하게 되면 민속학의 다른 영역을 조사하기 전에 현지조사지의 구성조직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민속 조사를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현지조사가 존재하는 한 사회민속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하게 된다. 다만 어디서 현지조사를 하는가에 따라서 사회민속에 대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결국 마을의 민속을 다루든지 도시 공간 속의 민속을 다루든지 사회공동체가 형성되었다면 그 속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속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This article largely focuses on two main contents. Firstly, the definition and sphere of “society” in the academic field of folklore are broadly described. Secondly, some possible future issues and prospects of ongoing arguments concerning social folklore are discussed. In Korean folklore, society generally includes all sorts of villages across the country where any forms of folkloric phenomena are still transmitted. Also these villages normally consist of much smaller scaled social units, such as various village organizations, kinship groups, families, etc. Hence, social folklore can be regarded as the most elementary and essential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village communities in Korean folklore. In other words, any kind of folkloric phenomena is maintained and handed down by so called transmitting main groups in the village. For this reason,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se social organizations precedes the analysis of diverse folk culture in the village. In Korean folklore, the field of social folklore is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other fields. However, new emerging issues of folklore today like urban folklore and folklore of oversea Koreans will possibly boost interest in social folklore and make it more popular. Furthermore fieldwor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lm in folklore. In the course of fieldwork social folklore is researched prior to other spheres of folklore in order to grasp the basic and precise structure of the place. Therefore, the field of social folklore is enormously valuable and strongly connected to folkloric fieldwork. Regardless of either villages or any kind of urban places, in established social communities the growing interest in transmitted folklore will surely arise.

      • KCI등재

        장승제의 변화과정에 나타난 역사적 경험의 민속화와 민속의 탈공간화

        이기태(Lee, Ki-Tae) 비교민속학회 2017 비교민속학 Vol.0 No.62

        이글은 주민들이 자신의 역사적 경험을 민속화하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민속을 문화자본화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시도하였으며, 마을민속을 현대사회에서 유용한 문화자산으로 재해석하고 지속하기 위해서 마을민속의 탈공간화 과정을 시도하는 모습을 살폈다. 주민들은 마을이 경험했었을 병자호란과 관련한 역사적 담론을 장승으로 형상화하고 의례화하면서 민속화 하였으며, 장승의 공간은 교통로 이정표로서의 기능으로 승화되었다. 또한 주민들은 장승과 장승제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산제사의 한 부분으로 매년 행제하면서 변화하는 마을 환경에 문화자본으로 활용하였다. 종국에는 주민이 감소하는 등의 마을환경의 변화 속에서 산제사와 장승제는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주민들은 1990년대 중반부터 토박이 자녀들의 귀향 및 증가하는 외지인의 유입속에서 주민의 통합 및 심리적 안정감을 되찾기 위한 내부적 욕구와 함께 장승제에 대한 마을 외부의 많은 관심들에 부응하기 위해서 장승제를 복원하였다. 마을민속의 복원 및 유지는 마을의 내외부적 환경이 공조한 결과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외부적 환경이 오히려 더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민속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는 마을민속을 탈공간적 민속현상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이제 엄미리 장승제는 마을내부의 민속이라기보다는 외부의 영향과 함께 존재하는 문화자산으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at villagers’ strategies of Jangseung and Jangseung ritual attract to do folklorization adjacent Space in their lives and effort to keep the folklore through the despatialization from village to separate folklore. The villagers shaped to Jangseung historical discourse of Byungja-horan(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occurred in 1636) and ritualized, and attempted to do folklorization historical space of Jangseung. And the space of Jangseung had used by road to passangers toward Hanyang capital of Chosen Daynasty and the villagers attemped to do folklorizaton function of Jangseung as milestone. The villagers matain the Jangseung and have the Jangseung ritual. But the villagers tried to adopt Jangseung and Jangseung ritual in changing of village environment : the unites of village, the shape of Jangseung, ritual date, priests, taboos. Eventually San-jesa(ritual for mountain god) was suspended according to reduce the villagers. But the villagers attempted to reconstruct Jangseung ritual when young villagers had increased in the village since the mid of 1990s. In the reconstruction of Jangseung ritual, both factors worked together. Internal factors were the desire to pursue the integr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residents according to the return of young villagers and the influx of foreigners increased. The external factors called for the reconstruction of Jangseung ritual with the attention of the folk scholars and the interest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In practice, the reconstruction is more a function of the environment outside the village. In other words, the maintenance of the village folklore means that it has more influence on the outside space separated from the village. Thus,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folklore changed the folklore of the village into the phenomenon of despatialization village folklore. Now,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 of Jangseung ritual in Eummi-ri is changed into a cultural capitalism that exists with the influence of outside rather than the folklore inside the village.

      • KCI등재

        어촌민속 전승에서의 어촌계 역할과 전승 양상

        김정하(Kim, Jung Ha) 한국민속학회 2018 韓國民俗學 Vol.67 No.-

        이 논문은 어촌과 도시어항에서의 어촌민속 전승에서의 어촌계의 역할과 그 전승 양상을 파악하고자 시도했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논의에서 어촌으로만 통칭하던 어촌민속 전승공간을 어촌과 도시어항으로 구분하였다. 그 각각의 해당지역에서 어촌계는 어업을 비롯한 마을 어장 이용, 자율관리 어업공동체사업과 어촌체험마을사업, 도시형 관광어촌마을사업 등 생산 활동에서 여전히 주도권을 쥐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어촌계는 어촌민속의 후원자나 주최자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어촌민속의 지속과 변모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그로써 어촌계는 지역의 소통과 단합을 도모하기도 한다. 이 연구를 위한 대상지역으로는 근대어업이 발달한 대표적 지역이면서도 전래의 어촌이 남아있는 남해군 문항마을과 홍현마을, 도시어항의 대표 격인 부산시 다대동, 동삼동을 택했다. 남해 문항마을이나 홍현마을 등은 어촌민속으로서의 동제를 꾸준히 치르는 지역이며, 부산시 다대동은 동제에는 관심을 갖지 않지만 대신 어촌계가 도시축제의 주최자로 나서는 지역이다. 이에 비해 부산시 동삼동은 전래민속인 동해안별신굿을 유치해 풍어제란 이름 아래 개최하며 마을주민 전체의 단합을 도모하는 지역이다. 먼저 어촌계가 동제를 후원하는 경우에는 전통을 고수하고 유지한다는 명분을 앞세워 마을주민을 단합시키는 순기능과 더불어 전래민속을 묵수적으로 재현하며 ‘고향 이미지’를 작위 적으로 창출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도시어항에서의 축제는 전래민속을 활용한 축제프로그램 운영을 지역특산물 판매 등의 목적에 연결시켜 마을주민의 지지와 협력을 받는 시민행사를 연출하지만 자칫 도시축제가 권력과 금력의 도구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 이에 비해 동해안별신굿을 유치하여 풍어제를 치르는 동삼동의 경우는 기층민중이 기대하고 소망하는 전래 어촌민속의 상징성, 신성성, 공동체성, 생산성 등을 환기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This treatise aims at explaining about the role of fishing village union at fishing village, and about the trends of continuance or change of fishing folklore. For the explaining, it is necessary to classify ‘fishing village’ as fishing villages and urban fishing ports, and search for the differences of fishing works, businesses, events, activities at the villages and ports. On the basis of such explaining and searching, this treatise tries to find out the particular roles to support or manage the village rite at fishing villages, urban festival and bringing about of Byulsingut(별신굿) at urban fishing ports as dialectical gradation, thesis –antithesis-synthesis. At the results, such facts are clarified that fishing village union support the village rite at fishing villages as Munhang village and Honghyun village and fishing village unions manage the urban festival at Dadaedong and bring about the Donghaean Byulsingut(동해안별신굿) at Dongsamdong which are all urban fishing ports. In the cases, the supporting of fishing village union for the village rites may keep and maintain the fishing folklore tradition which may promote unity of villagers, on the contrary, which may occur problems such as blind representation and artificial invention of ‘home-town image’ at the same time. And the management of fishing village union for the urban fishing festival may be events which make villagers unite and which promote selling of special regional products as fishes or shellfishes etc. with programs which apply traditional folklore to the urban fishing festival. However, on the contrary, the management may have problems such as using as means of economic business or political power at the same time. In comparison with them, the bringing about of Donghaean Byulsingut(별신굿) at urban fishing port as Dongsamdong may be desirable event to make villagers satisfy their wish and expectation about authenticity of fishing folklore.

      • 서울 백사마을 여성 공동체의 형성과 변화

        최성희(Choi, Seonghui) 서울민속학회 2014 서울민속학 Vol.- No.1

        백사마을은 1967년 이후 청계천, 중랑천 등지의 도심지역 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철거된 판잣집 거주자들이 강제로 이주되어 형성된 지역으로 재개발 대상 구역이다. 백사마을의 일부지역은 보존적 재개발의 방식으로 기존의 경관이 보존되는데 필자는 전면 재개발이 진행될 예정인 1통과 2통 일대 35년 이상 거주한 여성 세 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및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서울의 도시마을 사례들과 비교해 볼 때 각기 상이한 출신지를 지닌 서울 백사마을의 구성원들은 비자발적인 강제이주로 백사마을로 이주하게 되었고 여성 공동체 구성원들의 마을 내 사회적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특징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 백사마을의 여성 공동체의 특징과 변화에 대해 통시적으로 고찰하기위해 자료제공자 A, B, C를 통해 각각 백사마을 여성 공동체 구성원들이 여성 공동체를 구성하게 된 동기와 재개발이라는 마을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을 알 수 있었다. 도시마을(Urban Village)의 사례인 서울 백사마을의 여성 공동체 구성원들은 골목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비공식적 소규모 모임으로서 여가 및 친목 그리고 생활 전반에 있어 품앗이적인 요소의 생활 공동체를 지속한다. 구체적으로 화장실, 빨래터, 우물, 골목 등 생활공간의 공유는 여성 공동체를 형성과 유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백사마을에의 공통된 기억과 경험은 여성 공동체로의 참여에 대한 조건이며 여성 공동체의 구성과 지속은 재개발이라는 삶의 공간의 변화에 대한 생존 대응방식으로서 작용한다.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 women’s community in 104-Village. The 104-Village is cultivated by settlers migrated from the demolished illegal shacks in downtown near Cheonggye-stream and Jungnang-stream of Seoul. That village is located in Joonggyebon-dong, Nowon-Gu, Seoul. The Range of 104-village is from 1-tong to 8-tong. The 104-Village were designated by Seoul City for redevelopment. In this research, the writer has interviewed and observed residents of 104-Village, living in the full redevelopment area. Three women designated A, B, and C who have lived in 104-Village for over thirty five years were interviewed. In comparison Urban Village like 104-Village in Seoul has the some similar characteristics. All the residents of 104-Village have different birthplaces. In 104-village women’s social particip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village. As a result, the 104-Village is a case of ‘Urban Village’. The members of women’s community are cooperating with each other while living in the same area. Because the number of members in women’s community is so small, it is formed and maintained by a informal methods. It consists of trust and exchange of services without compulsion. The cooperations on public ownership of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public spring waters, public lavatories, and alleys. Also, preserving and remembering the history of 104-Vill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ormation of women’s community in 104-Village.

      • KCI등재

        개발지역 마을 소멸 상황에 대한 민속학적 대응

        배영동(Bae Young-Dong) 한국민속학회 2011 韓國民俗學 Vol.53 No.-

        전국적으로 개발지역에 포함되어 사라지는 마을이 늘어나고 있다. 소멸 예정 마을 주민들의 생활에 대하여 문자기록, 사진, 영상, 녹음 등의 매체로 보존하면, 그들의 생활사가 될 뿐만 아니라 실향에 처한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위로도 될 것이다. 따라서 개발지역에 편입되어 사라지는 마을에 대한 조사는 이 시대 민속학의 중요한 임무이다. 개발지역 마을민속 조사는 적어도 전통성을 일정하게 간직한 근대, 산업화에 따라서 급속히 변한 현대로 나누어서 진행해야 바람직하다. 조사과정에서는 기본적으로 마을 주민들의 생활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그리고 마을의 사회ㆍ문화적 개성이 드러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개발지역으로 예고되었을 때, 주민들이 그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수용하며, 향후 생활에 대한 설계를 어떻게 하는지에 대하여 ‘주민들의 관점’에서 조사ㆍ기록해야 개발지역 마을 민속지(ethnography)로서 당위성이 인정된다. 하지만 개발 예정 지역 마을조사는 문화재 보호나 조사에 관한 법령에서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전면 개정되어 2011년 2월 5일부터 시행된 문화재보호법에서 규정한 문화재 기초조사 조항을 정비하고, 이에 관한 시행령, 시행규칙을 정밀하게 마련하여 개발지역 마을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마을민속 조사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일, 마을조사 품셈을 마련하는 일, 마을조사 전문기관을 발족시키는 작업을 병행할 때 개발 예정지역 마을조사가 실효성 있게 추진될 것이다. All across the country, more and more villages are included into developing areas and cease to exist. If the lives of the residents in such villages on the brink of extinction are preserved through media such as literary writings, photographs, movies, and recordings, they will not only become the living history but gain sympathy for losing their hometowns.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f villages that are included into developing areas and on the verge of extinction is an important task of folklore in this age. When examining the folklore of the villages in developing areas, it is advisable to divide the time span into two : the premodern age that remained invariably traditional, and the modern age that bas rapidly been changed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1he examination must help to understand the villagers’ lives completely, and reveal their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lso, when villages are announced to be developed, researchers in folklore should investigate and record how the residents respond to and accept the announcement, and how they plan on continuing their lives after leaving their original hometowns. Only then is the journal to be accepted as an ethnography of villages in developing areas. However, as an investigation of villages proposed to be developed is not identified in the acts of the protection and investigation of cultural assets, essentially such an investigation is not legally recognized. Accordingly, the completely revised art of the protection of cultural assets that is enforced as of February 5th, 2011 should have its clause of basic investigation modified, and prepare a precise enforcing order and regulation of the clause. At the same time, professional human powers fur the investigation of village folklore should he trained, the cost of the investigation of village folklore should he estimated, and an organization fully in charge of the investigation of village folklore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these recommendations, the folklore investigation of villages to be developed will he effectively promoted.

      • KCI등재

        근대 신분제 유습 해체와 마을공동체 민속의 단절 또는 변화에 대한 시론 -경북지역 반촌의 경우에 대한 문제 제기-

        배영동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2 No.-

        The correlation between old customs of the status system in historic villages called banchon in the modern times of Korea and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se villages seems to be a key issue in the study of folklore. This would need to be approached from other comprehensive perspectives: history, economic history, rural sociology and anthropology. The traditional villages called banchon in Gyeongbuk had a caste system as a hereditary custom until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old custom in banchon, many lower class people left the villages while those from other regions moved in. This social mobility in the lower class is one of the reasons why banchon’s community culture/folklore changed, which had prevailed in the lower classes. The lower class culture/folklore of the village community is likely to have completely been discontinued or changed, since most of the upper classes ignore these cultures; a few of them embraced these cultures. Examples of these changed community cultures/folklores include dongje, byeolsingut, putgut (also known as homissisi), and sangyeogye. Dongje was known to be discontinued due to the Samaul Undong and dam construction by which some villages were submerged.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dissolution of dongje suddenly occurred when the servant groups left the villages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old custom of the status system. In the village where the lower classes did not exist any longer, a few upper-class people embraced the community folklore of the lower class. Th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community folklore could also be changed. The investigation of how community folklore changed in the banchon in Gyeongbuk in modern times as the caste system as an old custom disappeared in these traditional villages, is only at the stage of problem posing.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lower classes left banchon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old custom of the status system would help to understand the discontinued or changed village community folklore that the lower class transmitted to the society of banchon. 근대시기 반촌에서 신분제 유습과 마을사회와 문화의 상관관계를 해명하는 것은 민속학뿐만 아니라, 역사학, 경제사, 농촌사회학, 인류학 등의 접근을 함께 요구하는 중대한 과제이다. 경북지역의 유서 깊은 반촌에서는 20세기 중반까지 신분제 유습이 지속되었다. 신분제 유습의 해체 이후 마을의 하층민들은 대거 마을을 떠났고 다른 사람들이 전입하기도 하였다. 마을에서 하층민들이 바뀌면 하층민들이 본래 담당하는 문화 또는 민속은 변할 수밖에 없다. 원래 하층민들이 담당하던 마을공동체 민속의 경우, 하층민들이 마을을 떠나간 이후 단절되거나 상층민들이 그것을 수용하면서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동제, 별신굿, 풋굿(호미씻이), 상여계 등이 신분제 유습의 해체와 관련하여 변화된 대표적인 민속이다. 흔히 새마을운동을 계기로 중단되었다는 동제, 그리고 마을이 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혹은 수몰 이후 흐지부지 되었다는 동제는, 신분제 유습이 해체되면서 하층민들이 마을을 떠나는 시기와 맞물려 급변한 것일 수 있다. 하층민들이 담당하던 마을공동체 민속을 그들이 떠난 후 상층민들이 수용하여 전승하는 경우에는 마을공동체 민속의 성격도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근대시기 신분제 유습의 해체와 더불어서 경북지역 반촌의 마을공동체 민속이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문제 제기적 차원에서 파악하는 단계에 있다. 그럼에도 경북지역 반촌에서 하층민들이 담당하는 마을공동체 민속의 단절이나 변화에 대한 이해는, 신분제 유습이 해체되면서 하층민들이 대거 마을을 떠났다는 사실을 중요하게 고려할 때 가능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