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을 조사와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창민(Kim Chang-Min) 한국민속학회 2008 韓國民俗學 Vol.47 No.-

        이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의 마을 조사ㆍ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마을 연구를 두 가지 축에 의해 유형화 하였다. 하나는 마을의 조사ㆍ연구의 목적을 자료 수집인가 아니면 연구인가에 의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마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할 것인가 아니면 관점으로 인식할 것인가이다. 이 분류체계에 의하면 지금까지 민속학 분야에서 행한 대부분의 마을 조사ㆍ연구는 마을을 조사의 대상으로 인식함으로써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마을 조사 연구는 마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문화 또는 민속의 항목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고, 단기 방문을 통한 인터뷰를 가장 중요한 자료 수집방법으로 사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마을 연구가 마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고 동시에 자료 수집을 가장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고 있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방식의 조사 연구로는 학문적 논의의 장을 열기 어렵다. 단순 자료 수집으로는 마을의 정체성 논의나 마을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시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을을 연구의 지점으로 인식함으로써 마을에서 수집된 자료를 보다 일반적인 주제의 논의로 확장시킬 것과 마을 연구의 내용을 체계론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구성할 것, 그리고 장기적 참여관찰과 심층적 문헌 분석을 통한 자료수집 방법의 보완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이 마을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하는 방안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Korean village studies. For this purpose, I devide Korean village studies into four types. These types are 1) village regarded as object of study-key purpose as data collecting, 2) village regarded as object of study-key purpose as research, 3) village regarded as locus of study-key purpose as data collecting, 4) village regarded as locus of study-key purpose as research. As a result, from now most Korean village studies are village regarded as object of study and key purpose as data collecting types. These type of studies are consist of many cultural items and the contents of these cultural items are very similar between villages. And these studies get methodology of short term visiting and interview. So, the data get lost contextual meaning. I would like to propose an alternative ideas to village studies. I propose that Korean village studies regard village as locus of studies and systematically analyse cultural items in there context. And I propose a methodology of long term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is case, Korean village will be more systematically studied.

      • KCI등재후보

        국립민속박물관의 마을민속지 작업에 관한 검토

        한양명(Han, Yang-myeo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2

        국립민속박물관은 2006년부터 매년 두 마을을 선정해서 민속지 작업을 수행해왔다. 이 글에서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 전북, 경북, 충남 등지의 마을을 조사해서 작성한 마을민속지를 대상으로 그 성과와 문제를 검토해보았다. 검토 결과,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지 작업은 여러 명의 조사자가 장기간 현지에 체류하며 다양한 분야의 민속을 조사함으로써 비교적 구체적이고 생생한 내용을 민속지에 담아 내는 한편, 부분적이나마 동시대의 민속현상에 주목하여 참여관찰의 결과를 반영한 점 등에서 종래의 민속지 작업과 구별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한국민속학에서 진행해온 기존 민속지 작업의 문제, 즉 ‘대상 중심적 접근’ 및 ‘단순한 시선과 분석의 결여’라는 관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민(民)’보다 속(俗)을 중시하는 관점, 문화요소별 접근으로 인한 탈맥락적이고 나열적인 기술, 민속지적 현재의 혼선, 조사자의 퇴위와 분석적 접근의 결여 등의 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록 단상에 불과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속지가 마을의 모든 민속현상을 포괄해야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해당 마을문화의 성격과 특징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적인 민속지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민속 개념의 중심에 전통문화가 놓여 있다는 동의를 전제로, 민속의 지속과 변화, 변용과 전유, 재구성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룸으로써 마을문화의 통공시적 존재양상과 의미를 해명해야 할 것이다. 셋째, ‘속(俗)’에서 ‘민(民)’으로 민속지의 중심을 이동함으로써, 유사한 ‘속’의 이면에 놓인 마을문화의 특수성을 포착해야 할 것이다. 넷째, 마을의 문화를 제대로 드러내기 위해 필요하다면, 기존 민속지의 틀을 넘어서 생애사와 자전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민속지 등 다양한 형식의 민속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nnuall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as been conducting ethnographic research about two village which was chosen for research in local governments since 2006.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result of ethnography of a village, which had been written through the village research on Jeju-do, Jeollabuk-do, Gyeongsangbuk-do, Chungcheongnam-do from 2006 until 2009. As a result of careful consideration, a work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bore fruitful results. To make this result, several investigators had to stay in the village and research folklore in various fields.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graphical and detailed folklore had been recorded on the ethnography. And, these distinguished accomplishments were achieved persevere by their efforts to make record of contemporary folklore, and these record were made by participant observation. But, these achievement could not conquer some ethnography problem, ‘access of focused on subject’ and ‘simple sight line and lack of analysis’, which had been progressing in the Korean Folkloristics. So, these ethnography could not overcome the perspective which is focused on customs than people, the description which was arrayed and decontextualized, the confusion of a age on ethnography, the absence of analytic access and evanishment of a researcher. Even despite a narrow view, I present some comment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 work of ethnography access focus on subject which is contain characteristics, get out of an imperative idea ethnography have to include all thing. Second,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concept of traditional culture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olklore,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village culture will be explicate deal with maintenance and change of folklore, a change in appearance and appropriation, recomposition. Third, it will need capture the specificity of the village culture which is situated on the backside of the ‘custom’ by moving the center of ethnography to ‘people’ from ‘custom’. Fourth, I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need for reveal village culture properly beyond the framework of existing ethnography, they have to try various ways based on life history and autobiographical approach.

      • KCI등재

        양동마을 전통의 구성적 진정성에 대한 에스노그래피

        윤현호,이훈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7

        This study is the ethnography on the authenticity of experience of tourists and residents from constructive perspective through fieldwork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authenticity of the tradition of Yangdong village under the social conditions called 'tourism in Yangdong village' by thick description, by focusing on interaction of tourists and residents. The outcome of this study shows that tourists who visit Yangdong village want to see and experience things the way they are there, likewise they expect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Yangdong village to be in objective authenticity. The reasons why they do is that Yangdong village is living heritage listed as a UNESCO; to tell the truth, however, we found the authenticity of Yangdong village the constructive authenticity formed and given symbolic meaning in the social process. It was also revealed by the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of the residents trying to reaffirm the value of tradition from the current viewpoint. Nevertheless the staged authenticity and the constructive authenticity in Yangdong village are priority objective for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 of tourists. 본 연구는 양동마을에서의 현지조사와 참여관찰을 통해 관광객과 주민의 경험과 관련한 진정성에 대하여 구성적인 관점에서 기술한 에스노그래피이다. 본 연구는 양동마을의 관광이라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전통에 내재된 진정성의 경험과 의미를 중층적으로 기술하여 관광객과 주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양동마을 전통의 진정성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양동마을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정주형 유산이기 때문에 관광객들은 양동마을에서 진정한 것을 보거나 경험하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양동마을의 전통과 역사를 대상으로 객관적인 진정성을 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실, 양동마을 전통에 대한 진정성은 사회적 과정 속에서 구성되고 상징적인 의미를 갖게 된 구성적 진정성이었다. 그리고 양동마을 전통의 구성적 진정성은 현재의 관점에서 전통의 가치를 재확인하고자 하는 양동마을 주민의 참여와 개입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양동마을의 무대화된 진정성이나 구성적 진정성은 양동마을 전통에 대한 관광객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목적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 KCI등재

        이발소를 통해 본 도시민속지 : 부산시 매축지마을 이발사의 생애와 소장물건을 중심으로

        정재영(Chung, Jaeyoung)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6 No.-

        이 연구는 이발소라는 생활공간을 통해 미시생활사적으로 도시공간을 조망함으로써 도시민속지의 작성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특히, 부산이 거대도시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제조공장, 부두, 미군부대 등에서 일하기 위하여 모여든 노동자들이 집중 거주하며 형성된 ‘매축지마을’은 재개발의 논의 속에서 민속지 작성을 화급하게 서둘러야 할 필요가 있는 곳이다. 부산의 도시화와 함께 성장하였음에도 결국 그 과정에서 쇠락하여 소위 빈민지역으로 주변화 되어버린 매축지마을에서 그 부침을 함께하며 마을의 역사를 품고 있는 이발소와 이발사에 대한 민속지적 자료의 수집과 정리는 도시공간을 생활사적으로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도시공간을 이해하기 위한 민속지적 자료의 수집은 ‘가까운 옛날’의 이야기에 주목해야 하며, 생애사는 물론 사진, 기록물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머리카락을 잘라주는 본래의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 한 이발소의 민속지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이발사와 이발소를 이용한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수집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일 것이며,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부분이 그들이 기록하고 간직해온 다양한 물건들에 대한 조사일 것이다. 기억을 통해 개인과 마을의 역사를 재구성 하는 데 있어서 물건들은 그 자체로 핵심 자료가 될 수도 있고, 기억을 소환해 줄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개인과 마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사진자료와 결혼식 축의금 장부나 장례식 조의금 장부와 같은 개인의 중요 사건에 대한 기록은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 이를 통해 매축지마을의 시대적・공간적 특성이 반영된 사회관계의 변화양상, 제 의례 및 생활방식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장소를 통한 민속지는 지속, 변화, 창출된 생활문화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상보적 접근을 통해 작성되어야 보다 의미기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는 도시생활사적 함의를 규명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 to explore the way to write urban ethnography by viewing urban space in micro-life history through barbershop. Especially, the Maechukji Village, which was formed when laborers were integrated in the process of Busan’s growth into a large city, is a place that needs to be rushed to write ethnography at a time of discussions on redevelopment. The Maechukji Village grew with the urbanization of Busan, but it eventually collapsed and became provincialize into slum area. The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Ethnological materials on barbershops and barbers, which contain the history of village, will be one way to understand urban space in life history. In order to make ethnography of barbershop,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pace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the place for hair cut,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stories of barbers and various people using barbershops, and also investigate various items they have recorded and kept. The materials can be a key resource in the reconstruction of individual and village history through memory, and they can provide clues to bring the memories back. In particular, both photographic materials that retain the history of individuals and villages and records of important events such as congratulatory money and condolence money are materials that help understanding in the society of the time. Through the life photographs of barbers, the marriage gift book and the funeral condolence book, it was able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social relations, rites, and lifestyles that reflect the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echukji Village. It is considered that these urban ethnography will be more meaningful only when they are written through a complementary approach of past and present regarding the continuation, transition, and created life culture. This is because it will be the foundation for identifying the implications of urban life history.

      • 전라남도 마을굿 현지조사보고서

        이용식 ( Yong Shik Lee ),강다현 ( Da Hyeon Kang ),조미연 ( Mi Yeon Cho ),제샛별 ( Saet Byeol Je ),서지혜 ( Ji Hye Seo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5 藝術論集 Vol.16 No.-

        전라남도는 마을굿을 비롯한 민속문화가 매우 온전하게 보존 전승되고 있다. 마을굿은 보통 정월 초하루 및 대보름 등의 민속명절에 마을의 평안과 풍농을 가원하는 의식이다 전라남도의 마을굿은 농약패의 음악과 놀이가 종합적으로 연행되는 문화연행이다. 급격한 산엽화·도시화로 전통적인 마을공동체가 소멸의 위기를 맞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마을굿의 음악민족지적 조사는 매우 시급 하다할젓이다. 이 글은 전남대학교 민속음악조사팀이 정윌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에서 거행된 마을굿을 현지조사하여 작성한 조사보고서이다. 전랴남도 남해안에서 전승되는 농약은 기존의 호남 좌도/우도 농악과는 다른 ``군고권`` 을 형성하고 있다는 학설이 최근 제가되고 있다 이에 이 지역의 마을굿과 농약을 현지조사하여 그 음악문화적 특정에 대한 민족지적 조사를 하는 것이 이 글 의 목적이다 조사팀은 전라남도 보성군 별교읍 장좌라 가받이별선제, 보성군 별교읍 대포 라 갯궈선저L 완도군 생일면 서성라 당제, 광양시 태인동 용지마을 큰줄다리기 등의 마을굿에 대한 현지조사를 수행했다. 그라고 각 마을에서 연행되는 마을굿의 음악문화적 요인에 대한 상세한 조사보고서를 작성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에 전승되는 군고권 농악의 음악문화적 특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Folk culture, including village rituals, in Jeollo-namdo Province is well preserved and inherited compare to other regions. Village rituals are held for the peace of the village and abundant products. They are held normally on the New Year``s Day or on the Fifteenth of the January, called daeboreum . The village rituals are in fact an accumulated performing arts of music and dance performed by village percussion bands, called nong-ak .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village community and rituals are on the edge of disappearance. Therefore, to make a fulfilled musical ethnography of the village ritual at this time is an urgent task at hand. The folk music research team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as conducted field research of village rituals hel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in Jeollo-namdo Province. The nong-ak in this region is believed to be distinct from the upper regional music in many ways. It is a field report of the village ritual and music to explore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team has researched rituals in four villages. This paper shows the organization, structure, membership, etc., of each village rituals. This report will be the guideline for the future study to present the distinct music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ong-ak in this region.

      • 마을개발 경험에 관한 유형별 에스노그래피 : 사회자본(social capital)을 중심으로

        김기홍 한국사회혁신학회 2012 한국사회혁신학회보 Vol.3 No.1

        마을은 자족성과 지속성을 특징으로 한다. 마을은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공간이다. 따라서 마을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도 증대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마을에 대해 천착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 이는 마을에 오랫동안 살며 마을공동체를 구성했던 주체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사고를 파악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나마 알 수 있다. 특히 농촌 마을활성화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한 해답은 그동안 마을개발에 참여했던 주역들의 진술을 통해 그 해답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을단위로 진행돼 온 두레·품앗이·계가 오늘날 사회자본의 기반인 신뢰와 네트워크로 재편되고 실제 마을개발에 투입되고 있다는 인식에 따라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했다. 아울러 마을의 사회자본 축적정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뒤 각 유형에 해당하는 마을구성원들을 만나 심층면접을 했다. 심층면접을 통해 마을개발의 다양한 경험을 에스노그래피의 방식으로 기술했다. 이러한 시도는 새마을운동이 추진되면서 그동안 묻혀있던 마을의 개발과정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줄 뿐 아니라 이후 우리의 농촌 마을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지 올바른 방향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오늘날 우리의 새마을운동 성공비결을 배우고자하는 세계 각국의 여러 가지 상황에 적합한 개발방안을 제시하는데도 유용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Village is characterized by self sufficiency and sustainability. Village is the valuable place which will conserve the sustainability of mankind. We can find out the many meaning from the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who had developed the rural village in Korea. This study tried to measure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in rural villages on the basis of trust and network which had been in relational resources like a cooperative farming team(Dure), an exchange of labor and rotating savings and credit association spreaded thickly on life and economy region and so forth of rural village. Here, trust is operated by the principle of the reciprocity, embeddedness, and intersubjectivity and network is characterized by the principle of homophile, habitu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n the basis of this knowledge, if we set cross network-axis on trust axis, we derive four type. That is, type-Ⅰ: trust(+)·network(+), type-Ⅱ: trust(+)·network(-), type-Ⅲ: trust(-)·network(+), type-Ⅳ: trust(-)·network(-). This study applied four types to 15 rural villages measured by trust and network index. As a result, 3 village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this study proposed ethnographically the statements of 3 village members which had experienced personally.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ntroduce the know-how of Saemaul Movement to all countries of the world as well as various locations in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세계유산 등재 이후 관광으로 인한 양동마을 전통의 재구성

        윤현호 ( Hyun Ho Yo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양동마을에서의 문화기술적 연구(ethnography)를 통해 관광으로 인한 전통의 재구성을 내부자적(emic)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세계유산 등재 이후 양동마을 전통의 재구성에 대해 중층 기술하고, 양동마을의 주민들이 관광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어떠한 주체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내부자적 관점에서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양동마을 주민들은 시대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수용하면서, 한편으로는 스스로 의지를 가지고 전통의 명맥을 유지·보존하고 있었다. 주민들은 관광현상을 대면하여 어떤 전통요인을 선택적으로 전면화 하고, 어떤 전통요인을 관광객들에게 보이지 않는 후면부에 둘 것인지를 주체적으로 결정하고 있었다. 관광객의 기대와 요구를 인식한 양동마을의 주민은 이에 부응하기 위해 그들의 전통을 재구성하여 관광객에게 제공하고 있었으며 관광객으로 하여금 재구성 된 전통을 소비하거나 향유하게 만들고 있었다. 전통의 재구성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관광객을 포함한 사회적 반응으로 인해 전통에 대한 주민의 자부심과 정체성이 다시금 강화되는 순기능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었다. 즉, 관광객을 대상으로 전통을 선별하고 구성하는 과정에서 양동마을 주민들은 선조들의 전통적인 방식과 양식을 적용하는 등의 엄격한 관리를 통해 그들 고유의 문화를 지키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주민의 의지가 양동마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외부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는 것이 본 연구에서 강조하는 중요한 시사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construct of tradition in Yangdong village by tourism from the emic perspective through ethnographic research. The study from emic perspective regarding how Yangdong village`s residents accept tourism in their residence and what independent experience they have in some change of their way of daily lives is needed for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a new phenomenon and some problems they would have by tourism of traditional village. Accordingly this study is leaded by thick description of reconstruct of tradition in Yangdong village, tried doing an in-depth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sidents live well without resisting the trend of the times; on the other hand all of the residents are willing to keep up and preserve their old traditions and determine which tradition factor they are going to focus more on or less on in the face of tourism phenomenon. In other words they have realized high expectations of tourists, have provided them with reconstructed tradition to meet that and now, tourists are able to enjoy and consume it. Reconstruct of tradition seems to be only for tourists, however, there are some good effects to let them enhance self-esteem and intensify self-identity toward their tradition by reason of social response, including tourists, behind it; This means that they showed a strong will to preserve their own tradition through strict management applied traditions of their ancestors in selecting and reconstructing process for tourists, then this study emphasizes that external interests increased after being lis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allowed them to be highly motivated.

      • KCI등재

        쪽방촌 일대에 거주하는 알코올 의존 노숙 인의 생활세계: 총체적 문화기술지 접근을 중심으로

        상종열,최미경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1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cultural norms and rules operating among alcohol dependents and homeless living in Jjokbang village. To achieve this purpose, I adopted a totalistic ethnography approach in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Th 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participatory observation, focusing in the Jjokbang village and the ‘Hansarang Family Community’, which supported for about 6 months in Jjokbang Village located in Jungnim-dong. Aft er various observation, the researcher later expanded the scope of the observation to the area around Jungnim-dong in order to understand cultural norms and rules of the community. Th 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5 main participants and 16 minor informants,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llect data and analyzed them, using the data analysis method presented by Spradley and Kwon Ji-Sung. Th e result showed that the alcohol-dependent and homeless community has double-layer structure with the world regulated by the cultural norms and rules formed around ‘Hansarang Family Center’ and the other governed by cultural norms and rules of the outside. Th e alcohol dependents and homeless living with the cultural norms and rules of the community were grouped into the people who are ‘living in dependence in the Hansarang Family Community’, others looking outside the Hansarang Family Community and Jjokbang Village’, and the last group of people ‘living as an assistant in and outside the Hansarang Family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쪽방촌 일대에 거주하는 알코올 의존 노숙인의 생활세계에 작동하는 문화적 규 범과 규칙이 알코올 의존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총체적 문화기술지 접근을 통해 중림동 일대 소재해 있는 쪽방촌에서 약 6개월간 현장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쪽 방촌 일대를 ‘한사랑가족공동체’ 건물을 중심으로 참여관찰을 했으며, 이후에는 관찰 범위를 중 림동 일대로 확대하였다. 표면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문화적 규범과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주 요 정보제공자 15명과 보조 정보제공자 16명과 심층 인터뷰를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radley 와 권지성이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쪽방촌 일대 알코올 의존 노숙인의 생활세계 에는 ‘한사랑가족공동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 규범과 법칙이 작동되는 세계와 그 바깥 세계 의 문화 규범과 법칙이 작동되는 세계로 중층적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의 존 노숙인들은 공동체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문화적 규범과 규칙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었는데, 이는 ‘인생의 종착역: 한사랑가족공동체에 의탁하며 살아가기’, ‘잠시 머무는 정거장: 한사랑가족공동체와 쪽방촌 밖을 바라보며 살아가기’, ‘경계를 넘어: 한사랑가족공동체 조력자로 살아가기’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조숙정(Jo, Sook-Jeo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8 民俗硏究 Vol.0 No.36

        이 연구는 2000년부터 안동대 민속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된 ‘마을민속’ 연구의 성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전망이라는 주제 아래 어촌 연구에 주목한다. 『민속연구』에 게재된 어촌 관련 민속문화 논문들을 중심으로 어촌 사회와 문화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전개된 논지는 세 가지다. 첫째. 한국 문화 연구에서 어촌 사회가 상대적으로 주변화된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둘째, 『민속연구』에 실린 논문들을 검토하여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다. 셋째, 어촌의 마을민속 또는 민속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토대로 연구 지역의 확대, 연구 주제의 다양화, 언어 연구의 강화, 총체적 이해에 기반한 마을 민속지의 지향, 그리고 최종적으로 지역 또는 해역 간 비교연구의 필요성 등 다섯 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에서 어촌의 해양문화적 특수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주제에 대한 연구 관심과 내부자적 관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folkloristic studies of fishing village cultures ba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Folklore Studies under the theme of critical review and prospect of the results of ‘village folklore’ studies. I develop the argument in three parts. First, I raise the problem that fishing communities have been relatively marginalized from Korean cultural studies. Second, I review the papers in the journal and examine the status of folk culture research in fishing villages. Third,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village folklore or folk culture of fishing villages, I suggest five tasks: expanding the research area, diversifying the research topic, strengthening the language research, orienting the village ethnography based on the holistic perspective, and the comparative studies among the sea areas. I emphasize an insider point of view and the research interest that can show the marine cultural specificity of fishing villages in the fishing village folklore research.

      • 전라도 마을굿 현지조사보고서 (2)- 전라북도 순창군 정월 대보름굿을 중심으로 -

        이용식 ( Yong-shik Lee ),김미영 ( Mi-young Kim ),박임자 ( Im-ja Park ),강다현 ( Da-hyeon Kang ),조미연 ( Mi-yeon Cho ),제샛별 ( Saet-byeol Je ),서지혜 ( Ji-hye Seo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6 藝術論集 Vol.18 No.-

        전라북도 순창군은 남원시, 정읍시, 임실군 등과 접경을 이루는 지리적 위치로 인하여 호남좌도농악과 호남우도농악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이 글은 전남대학교 민속음악조사팀이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전라북도 순창군 일대에서 거행된 마을굿을 현지조사하여 작성한 조사보고서이다. 순창군은 1990년대 후반 이후 마을마다 농악단이 설립되어 매년 정월 대보름을 기하여 마을굿을 거행하는 곳이 많다. 이번 조사에서는 순창읍 대보름 액막이굿, 동계면 대보름 마당밟이 및 달집태우기, 복흥면 대보름 달집태우기, 유등면 지신밟이 및 달집태우기, 구림면 대보름 마당밟이 및 달집태우기, 구림면 액막이굿, 금과면 대보름 달집태우기, 팔덕면 대보름 달집태우기를 조사했다. 마을굿의 전승이 거의 끊어졌다가 다시 복원된 행사가 대부분인데, 인접의 남원농악, 임실필봉농악, 정읍농악 등의 영향으로 다양한 농악 가락이 연행되고 있다. 순창군에는 특히 남원농악의 영향이 매우 크다. 현재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1-호 남원농악 예능보유자인 류명철과 그의 아버지 류한준이 일제강점기부터 지속적으로 순창군에 걸립굿을 왔었고, 그때마다 마을의 두렁쇠들과 어울려 농악을 쳤다. 이런 이유로 남원농악의 영향이 매우 크다. Sunchang-gun inherits a unique folk culture influenced by the three major band music traditions; Namwon, Jeongeup, and Imsil. The folk music research team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as conducted field research of village rituals held in Sunchng-gun. The rituals were mainly held from the first and to fifteenth of the January. Almost all of the districts in Sunchang-gun have the percussion music band from the late 1990s. In this paper, we reported rituals held in Sunchang-eup, Donggye-myeong, Bokheungmyeon, Yudeung-myeon, Gurim-myeong, and Paldeok-myeon. The rituals were mostly held for the happiness of the households and the burning of “moon house” in order to get rid of bad lucks of the year. The village rituals are mostly recovered events which were disappeared in the past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The music of Sunchang-gun were influenced by the band music of neighboring regions of Namwon, Jeongeup, and Imsil. The influence of Namwon is the major factor in the inheritence of band music in Sunchang-gun. Famous gong players from Namwon have visited to Sunchng-gun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and have influenced their music to the villag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