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유형, 정보단서유형 및 정보처리양식에 따른 우연 광고노출의 영향

        양윤,김경민 한국방송광고공사 2004 광고연구 Vol.0 No.64

        본 연구는 광고유형, 정보단서유형 및 정보처리양식에 따른 우연광고노출의 영향으로 인해 광고제품을 소비자가 의식적인 처리 없이 고려군에 포함시킬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광고유형은 인쇄광고로서 제품맥락조건, 제품단독조건, 광고를 제시하지 않은 통제조건으로 구분하고, 정보단서유형은 그림과 언어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정보처리양식은 시각처리자와 언어처리자로 구분하였다. 실험결과, 광고유형, 정보단서유형, 정보처리양식의 3원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제품맥락광고의 경우 시각처리자가 그림정보단서조건에서 더 많은 표적제품을 고려군에 포함시켜서 의식적으로 처리하지 못한 우연광고노출의 영향을 더 받았고, 언어처리자는 언어정보단서조건에서 의식적으로 처리하지 못한 우연광고노출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이는 소비자가 광고를 의식적으로 처리하지 못할지라도, 제품단독조건의 광고보다 제품맥락광고에 우연히 노출된 경우 그 광고제품을 후에 구체적인 선택상황이 주어질 때 고려군에 포함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정보처리양식에 맞게 구매시점에 제품에 대한 인출정보단서를 그림 또는 언어로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과 제품의미와 일치하는 맥락광고가 소비자에게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광고전략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ability that consumers include advertised target products not consciously processed in their consideration set when they were incidentally exposed to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dvertisement type, information cue typ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Advertis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ose that were depicted in context, those that were isolated, and a baseline with no advertisement at all. Two types of information cues were developed: pictorial and verbal. Also, consumers were grouped as either a visualizer or verbalizer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The result showed that in a contextual advertisement, visualizers given pictorial cues included more target products in their consideration sets, therefore indicating that the influence of incidental exposure to advertisements was considerable, while verbalizers given verbal cues appeared to be more influenced by incidental exposure to advertisements that were not processed consciously. This study provides the information on how to develop advertisements based on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styles and design retrieval cues for points-of-purchase advertisements, as well as the information on how contextual advertisements have larger influence on consumers.

      • KCI등재

        대안 제시형태, 대안 수의 크기, 정보처리 양식이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에 미치는 영향

        양윤,김혜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2

        본 연구는 대안제시형태(시각적 이미지/언어적 텍스트), 대안수의 크기(6개/30개), 정보처리양식(시각처리자/언어처리자)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과부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삼원 요인설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제시형태의 경우,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보다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에서 선택과부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대안 수의 경우, 6개보다 30개에서 선택과부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리고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 조건에서 언어처리자보다 시각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으며,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 조건에서 시각처리자보다 언어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또한 대안 수가 6개이고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일 때 언어처리자보다 시각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고, 대안 수가 30개일 때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에서 시각처리자보다 언어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그러나 대안 수가 6개이고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일 때는 언어처리자와 시각처리자간의 선택과부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안 수가 30개일 때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에서 시각처리자가 언어처리자보다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effect of two depiction ways of assortment(visual/verbal), the size of assortment, and the SOP(style of processing) on the consumer's choice overload level. Therefore,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depiction way of assortment: visual/verbal) X 2(size of assortment: 6/30) X 2(SOP: verbal processing/visual processing) between-subjects desig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first, in the case of assortment depiction way, verbal depiction resulted in more choice overload than visual depiction. Second, in the case of assortment size, participants in size of 6 experienced low choice overload than participants in size of 30. Third,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visual depicted assortment was presented and verbalizers also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verbal depicted assortment was presented. Fourth,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isual depicted assortment and small size of assortment. Also, verb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erbal depicted assortment and big size of assortment.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oice overloads of visualizers and verbalizers when they served verbal depicted assortment and small size of assortment. But,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isual depicted assortment and big size of assortment.

      • KCI등재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이 콘텐츠 호감에 미치는 효과 : 정보처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민정(Minjeong Ko),이루리(Luri Lee),김규리(Quri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국내 콘텐츠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왔다. 이에 더해 코로나 19를 기점으로 콘텐츠 소비량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콘텐츠 관련 소비자 행동에 대한 심층적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핵심요인으로서 콘텐츠명에 주목하였다.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conceptual fluency)이 콘텐츠에 대한 호감도(liking)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또한 소비자의 정보처리성향(언어적 vs. 시각적)을 조절변수로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적 유창성이 높을 때 소비자는 콘텐츠에 대해 더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소비자의 언어적 정보처리성향과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호감도를 높이는 전략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성향이라는 소비자 특성 변수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domestic content market has grown continuously. Furthermore, content consumption has rapidly increased in the COVID-19 era.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consumer behavior related to content business. This study focuses on content names as a key factor that induces consumers interest in the content. In particular, this research examines if the conceptual fluency of the content name affects consumers liking for the content. In addition, it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style of information processing (verbalizer vs. visualizer).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shows that the conceptual fluency on the content name is positively influential for liking conten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verbalizers and conceptual fluency on content name. This study has important findings in terms of content marketing strategies. Above all, it has strong points because this research examines the style of information processing as an important consumer characteristic variable.

      • KCI등재
      • KCI등재

        Fashion Apparel Item Information Components of Korean and American Group Buying e-Commerce Websites

        안희진,박민정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5 e-비즈니스 연구 Vol.16 No.5

        Social commerce has recently become one of the most noticeable trends in e-retailing with its rapid growth. In the area of e-retailing and social commerce, Korea and the US are two of the leading countries and due to the differences in consumer needs, it can be assumed that they will most likely have different website contents and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nformation components of the top 4 Korean and American group buying websites. The research specifically focuses on identifying components of product information, price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seller information, and SNS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rean and American group buying websites differ in visual content and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자기방어 화법 교수학습 방안 연구

        박재현 ( Park Jaehyun ) 한국화법학회 2021 화법연구 Vol.- No.52

        This study aims to propo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developing verbal self-defense against verbal attacks. As prior studies, the verbal sensitivity scale of the verbal-Aikido and strategy of attack response were referenced. Additionally, the Satir mode coping stance in the “The Gentle Art of Verbal Self-defense” and the response to verbal attacks with premise were referenc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eaching courses for verbal self-defense were divided into monitoring, composure, concession, and coordination stages. An educational content system of verbal self-defense was established,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developed by applying backward design. Along with the transfer objective, six understandings and five essential questions were proposed. Additionally, learners’ verbal self-defense performance tasks and a learning activity plan in the context of being verbally attacked were proposed.

      • KCI등재

        시각 자극의 언어화에 의한 전역 선행성의 역전

        민수정,이도준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3

        감각적 경험을 언어로 기술하면 그 경험에 관한 감각적 기억이 저하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일컬어 언어 장막(verbal overshadowing) 효과라고 한다. Schooler(2002)[1]는 언어화로 인해 정보처리 방식이 전역적 처리에서 국지적 처리로 전환되기 때문에 언어 장막이 발생한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보처리의 전환이 실제로 일어나는가를 검증하고자 얼굴 자극에 대한 기억을 요구하고 이를 토대로 언어적 묘사를 한 직후에 전역 처리와 국지 처리를 비교할 수 있는 Navon 과제를 실시하였다. 얼굴 재인 과제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외워야 하는 얼굴을 제시한 후 그 얼굴에 대한 언어화를 요구하였으며, 얼굴 재인 과제를 수행한 직후에 Navon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얼굴 재인 과제에서는 언어화를 한 묘사 집단에서 언어화를 하지 않은 통제 집단보다 낮은 재인률을 보이는 언어 장막 효과가 나타났다. Navon 과제에서는 통제 집단이 전역 수준의 정보가 국지 수준의 정보보다 우세하게 처리되는 전역 선행성(global precedence)을 보인 반면에, 묘사 집단은 전역 수준의 정보보다 국지 수준의 정보를 더 우세하게 처리하는 국지 선행성을 보였다. 이는 얼굴을 언어화함으로써 정보처리의 방식이 전역적인 방향에서 국지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고, 그 결과로서 얼굴에 대한 재인이 손상된 것임을 시사한다. ‘Verbal overshadowing’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by the verbal reporting of a visual memory of a face interferes with subsequent visual recognition of that face. Schooler (2002)[1] suggested that verbalization causes a shift from a holistic/global processing orientation towards a more analytic/local processing orientation that is detrimental to face recognition.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this processing shift occurs or not by assessing performance of Navon task following face recognition task, interposing verbalization between encoding stage and retrieval stage. The face recognition task showed the verbal overshadowing effect. In the Navon task, while non-verbalization group showed global precedence, verbalization group showed local precedence. This results imply that the cause of verbal overshadowing effect is a processing shift induced by verbalization.

      • KCI등재후보

        상호작용 미술치료활동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체 아동의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창숙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7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interactive art therapy on the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 research subjects were boys(Grade2 of elementary school) with problems with adapting to school and getting bullied or ignored by peers, because of their difficulties in linguistic expression or behavior caused by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Dividing Marschak's Interaction Scale into verbal interaction and non-verbal interaction, the level of change in interactions between child and teacher was obtained from the teacher in charge. The changes in interactions were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 session, and the changes in interactions were examined by using prior/post design through the teacher's repor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ub-factors of interactions such as verbal interactions(Quality of verbalization, tend to accept instruction) and non-verbal interactions(Facial expression/emotion, access/body righting, reactivity, concentration on task) showed positiv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teractive art therapy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본 연구는 상호작용 미술치료활동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 2학년 남자아동으로 전반적으로 언어발달지체로 인해 언어표현이나 행동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으므로, 또래 아이들로부터 따돌림과 무시를 당하며, 학교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다. 본 연구에서 측정도구는 Marschak의 상호작용 척도를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관찰 사용하였으며, 담당교사로부터 아동-교사 상호작용의 변화 수준을 살펴보았다. 실험하는 회기동안의 상호작용의 변화되는 추이를 관찰하였으며, 교사의 보고를 통해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여 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언어적 상호작용(언어화의 질, 지도를 받아들이는 경향)과 비언어적 상호작용(얼굴표정/정서, 접근/신체정향, 반응성, 과제집중)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상호작용 미술치료활동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용언 어미의 통사적 기능에 대한 어휘주의적 해석

        서민정,최규수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have dealt with the Korean verbal-endings are well aware of their syntactic functions.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explanation. There is an syntactic view (non-lexicalism) in which each verbal-endings is analysed as a single syntaxeme and is analyzed to combine it with other verbal-endings by syntactic actions, such as the head movement. And there is a lexical point of view (lexicalism) in which verbal-endings only exist in lexicon and the lexical formation process is governed by independent principles that differ from the syntactic principle of syntax. The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grammar, which can explain the syntactic function of the verbal-endings without contradiction within the grammatical system, is grammar that can explain Korean well. So, even if it is possible to explain within a limited scope or simple structure, consider whether it is possible to explain even when applied across the usage language. And this study is not aimed at revealing the fine differences in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each individual verbal-ending.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planations of Transformation Grammar and HPSG through “analysis of fusion verbal-endings” and “an analysis of head-complementation structure.”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the basic principles and methods of explanation of HPSG are introduced. However, it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presenting method of verbal-ending’s grammatical information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his explained that it is reasonable to analyze Korean verbal-endings in the lexicalism. 한국어 용언 어미를 다루어 온 앞선 연구들은 대부분 어미의 통사적 기능에 대해 잘 인식하고 있다. 그런데 설명방식에서는 차이가 있는데, 어미 각각을 한 개의 통사소로 분석하여 핵어 이동과 같은 통사적 작용에 의해 통사부에서 어간 이나 어미들과 결합한다고 분석하는 통사적 관점(비어휘주의)과 어미들이 어휘 부에서만 존재하며 어휘형성과정은 통사부의 원리와 다른 독립적인 원리에 의해 서 지배된다고 받아들이는 어휘적 관점(어휘주의)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는 어미의 통사적 기능을 문법체계 내에서 모순없이 설명할 수 있는 문법이 한국어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문법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한정적인 범위 혹은 단순한 구조 안에서는 설명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그것이 용언어미 전반에 적용했을 때도 설명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를 염두에 두고 논의를 진행하되, 각 개별 어미의 통사적, 의미적 기능의 미세한 차이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지는 않다. 이 연구는 먼저 비어휘주의 문법인 변형문법을 도입한 연구와 어휘주의 문법 인 HPSG를 도입한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융합형 어말어미의 분 석’과 ‘핵어-보충어 구조 분석’을 통해 변형문법적 연구와 HPSG 연구의 문제점 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HPSG의 기본 원리와 설명방식은 도입하되, 한국어의 특성에 맞도록 용언 어미의 문법 정보 제시 방법의 수정, 보완을 통해 어휘주의적 관점에서 용언어미를 설명하는 것이 타당함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