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유용성 기반 디자인 프레임워크 제안

        박성주,반영환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1

        Background: To create optimal user experience, designer should look for ways to increase usefulness, usability, and pleasurebility of product or service focusing on user. Above all, usefulness is a necessary condition that must be fulfilled for user experience. However, the complexity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and usage environments make it difficult designing useful product or service. Therefore, a systematic approach to determining and designing usefulness is required. Methods: In this study, a huerarchical interaction structure of user-system was builded. Based on this, a usefulness design framework and a usefulness design methodology were developed. Evaluation techniques were used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design results including AHP, Kano’s model evaluation. Result: As a results, the structure for systematicunderstanding of usefulness was made and a methodology of decision making on design are suggested.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suggesting that the design methodology can be used in the actual design process that the existing usefulness research did not provide. 연구배경: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디자이너는 사용자를 중심에 두고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용성, 사용성, 감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 중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용성은 반드시 충족되어야 할 사용자 경험의 요건이다. 그러나 유용성은 복합적인 요인이 사용자의 특성이나 환경적 특성과 맞물려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유용하게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유용성에 대한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사용자-시스템의 상호작용 구조를 계층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용성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고 유용성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유용성 디자인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검증된 우선순위 결정 및 품질 평가 기법인 AHP, 카노모델 평가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시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용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유용성을 판단하여 디자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존 유용성 관련 연구가 제공하지 못했던 실제 디자인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대범,구자원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국내외 기업 종업원 39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및 업무환경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학습전이에 대한직접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도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 또한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학습전이에 대해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기업교육에서 보편화된 이러닝에 대해 기술수용 단계를 벗어나 수용 후 실질적인 학습전이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 특성요인에 대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독립변수로, 외부특성요인으로 연구되었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술수용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단일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26개 국가의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지각된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수용의향 및 학습전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된 정보기술에 대해 학습자 및 환경 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의 학습전이에 대한 경로를 강화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다양한 국가의 표본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제비교연구도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performed the empirical test for the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using 390 employees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i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o direct effect of each factor on learning transfer.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of e-learning learner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a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 and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nd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transfer as well. Perceived usefulnes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However, perceived ease-of-us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were analyzed to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transf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signed a new research model that reflects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 of learning transfer on acceptance of e-learning that is common in corporate education. It has derived a research model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which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for external characteristics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using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as mediating variables, which were studied as external factors. Second, most of the studies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learning transfer are conducted in a single country. The reliability was enhanced by testing the study models using different samples from 26 countries.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existing studies have been considered as key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and learning transfer.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er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ccept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trengthened and supplemented the path of learning transfer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addition, based on the sample analysis of various countries u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tur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모바일학습 기기의 유용성, 용이성, 사용의도 및 실제사용의 구조적 관계

        권인탁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2

        이 연구는 디지털러닝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대학생이 인식한 모바일학습기기의 유용성, 용이성, 사용의도 및 실제사용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모바일학습기기의 유용성 및 용이성과 사용의도의 관계, 둘째, 모바일학습기기의 유용성 및 용이성과 실제사용의 관계, 셋째, 모바일학습기기의 유용성 및 용이성과 실제사용의 관계에서 사용의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모바일 러닝으로 강좌를 수강한 대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을 실시하고, 가정의 검토, 탐색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을 통한 구조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절차로 도출된 분석결과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모바일 학습기기의 유용성 및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모바일 기기의 유용성 및 용이성 인식은 모바일학습기기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모바일기기 사용 의도는 유용성과 실제사용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용이성과 실제사용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수자들은 수업에서 대학생들에게 모바일기기의 유용함과 용이성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모바일 학습기기의 사용 의도를 고취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교수자들은 대학생들에게 모바일기기의 유용함과 용이성을 인식하게 하여 수업에서 모바일 학습기기의 실제 사용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교수자들은 수업에서 대학생의 모바일 기기의 유용성을 인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 의도를 높임으로써 실제 사용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usefulness, easiness, use acceptance, and actual use of mobile learning device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addressed: First, what do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usefulness and easiness effect on the use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devices? Second, what do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usefulness and easiness effect on the actual use of mobile learning devices? Third, what mediating effects do college students’ use acceptance have on the relationship among usefulness, easiness, and actual use of mobile learning devic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re were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usefulness, easiness, and use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devices. Second, there were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usefulness, easiness, and actual use of mobile learning devices. Third,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college students’ use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fulness and actual use, but there were not mediating effects of 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siness and actual use of mobile learning devices.

      • KCI등재

        대학 전산회계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자의 특성이 시스템 만족도와 통합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손성진(Sohn, Sung J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47

        정보시스템(IS)과 회계정보시스템(AIS) 분야에서 IS성공요인, IS(또는 AIS)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한 노력은 있어왔지만, 대학전산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이 시스템만족도와 통합충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생각 된다. 통합충성도는 ‘태도충성도+행위충성도’로 정의되는데, 태도와 실제행위가 구분된다는 관점에서 ① 태도적 관점의 태도충성도(인지충성도), ② 행위적 관점의 행위충성도(지속적 사용의도)로 구분하여 그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산회계프로그램의 활용이 더욱 효과적이려면 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 criterion)의 관점에서 시스템 사용자의 사용의도, 사용기간 등 같은 개인적 특성과 인구통계학적특성(성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user characteristics)에 대한 고려도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는 대학전산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이 시스템만족도와 인지된 충성도(태도), 지속적 사용의도(행위)로 구분한 통합적 관점에서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과 개인적 특성(사용목적, 사용기간),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으로 구분한 사용자특성이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와 통합충성도에 미치는 조절효과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전산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이 높으면 시스템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는 인지된 충성도(태도충성도)를 매개하여 지속적 사용의도(행위충성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전산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더불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회계자격증을 취득하겠다는 성취욕구(또는 학습열망) 그리고 개인의 학습시간(또는 학습기간), 그리고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시스템만족도, 인지된 충성도(태도충성도), 지속적 사용의도(행위충성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전산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더불어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는 사용자의 태도와 행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과 또한 인지된 유용성과 분명한 프로그램사용 목적, 장기 지속적 사용의 여부 등과 같은 개인특성과 사용자성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시스템만족도, 태도충성도, 그리고 행위충성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With rapid change of IT technology, it has been many efforts to clarify that IS success factors or quality factors influence the system user"s satisfaction and the loyalty, but there"s little effort to test that the user’s perceived usefulness of computerized accounting program in university education influence the system user"s satisfaction and the integrated loyalty, which is consist of ① perceived loyalty(attitude viewpoint), ② continuous intention of use(behavior viewpoint). And also, to make the system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rsonal traits such as intention of use, period of use and the user"s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from the market segmentation criterion view.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computerized accounting program in university education influence the system user’s satisfaction and the integrated loyalty. In addition, this study try to identify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user"s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ersonal traits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ke an moderating effect on the system satisfaction and the integrate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ade as follows: First, as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system is high, user’s satisfaction is also high, which makes the behavior loyalty high via the perceived loyalty. Seco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system, the motivation to acquire the certificate of computerized accounting, the level of personal learning time(or period), and the gender of the user have an effect on the system user’s satisfaction, the perceived loyalty and the behavior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for computerized accounting program and the system user’s satisfaction could change the user"s attitude and behavior. And it also imply that the personal traits(the clear intention of the program use, and whether one use it continuously),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user"s gender) influence the system satisfaction, the attitude loyalty and the behavior loyalty.

      • KCI등재

        전문대학교육에서 스마트학습 기기의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 학습조건 및 사용의도의 구조 관계

        권인탁(In Tak Kw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상황에서 스마트학습 기기를 활용한 디지털 러닝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스마트 학습기기의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 학습조건 및 사용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스마트학습 기기의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 학습조건 및 사용의도의 구조적 관계, 둘째, 스마트학습기기의 유용성과 사용의도의 관계에서 인지된 즐거움 및 학습조건의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스마트 러닝으로 강좌를 수강한 대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가정검토, 탐색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추정 및 매개분석을 위한 Bootstrapping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로 분석된 결과는 첫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스마트 학습기기의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 및 학습조건은 사용의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용의도에 대한 영향력은 인지된 즐거움, 학습조건, 유용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 대학생이 지각한 스마트 학습기기의 인지된 즐거움 및 학습조건은 유용성과 사용의도의 괸계를 매개하고, 인지된 즐거움이 학습조건보다 더욱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교육에서 스마트학습 기기들은 대학생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대학에서 교수자는 대학생들로 하여금 강의에서 스마트학습 기기의 유용함, 즐거움 및 학습조건을 조성하고 지원해야함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스마트 학습기기의 인지된 즐거움 및 학습조건 모두 유용성과 사용의도의 관계를 매개할 뿐만 아니라 인지된 즐거움이 그 관계를 더 매개함으로 교수자들과 대학은 대학생의 스마트학습 기기의 학습 조건 지원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상황에서 스마트학습의 즐거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usefulness, perceived playfulness, learning condition, and use acceptance of smart learning device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addressed: First, how do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usefulness, perceived playfulness, and learning condition effect on the use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devices? Second, what mediating effects do college students perceived as playfulness and learning cond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fulness, and use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devices?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 21 and AMOS 21 were used to test the data collected from 291 respondents out of total 300 students of a college in Jeonju by the questionnaire metho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usefulness, perceived playfulness, learning condition, and use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devices. Second,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n college students’ perceived playfulness and learning cond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fulness and use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devices.

      • KCI등재

        농촌체험 앱의 정보시스템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진희,강명보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structural influences among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systems of rural tourism with perceived usefulness,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Moreover,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Korean tourists who had used the application of rural tourism(Rural Experience Application and Gyeongbuk Rural Experience Application) within the last six months based on 311 valid responses. As a result, information quality and interface design quality have a relev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by contrast, system quality has a non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s with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system quality and interface design quality have a relev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Conversely, information quality has a nonsignificant effect. Perceived useful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Use satisfaction has a relev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In the conclusion of comparing rural experience application and the Gyeongbuk rural experience application, all variables except perceived useful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ystem quality, interface design quality,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saw an increase in Gyeongbuk rural experience application, while information quality experienced a rise in rural experienc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uccess for the information system of rural tourism, and suggestions were made, which based on this.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체험 앱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 사용의도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설문조사는 최근 6개월 내 농촌체험 앱(농촌체험 앱과 경북농촌체험 앱)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은 311부의 유효 표본으로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정보품질과 인터페이스 디자인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시스템 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정보시스템 품질과 사용자 만족 간의 관계에서 시스템 품질과 인터페이스 디자인 품질은 사용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정보 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자 만족과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자 만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대상인 농촌체험 앱과 경북농촌체험 앱을 비교한 결과, 지각된 유용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시스템 품질, 인터페이스 디자인 품질, 사용자 만족, 사용의도는 경북농촌체험 앱이 높게 나타난 반면, 정보 품질은 농촌체험 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농촌관광 정보시스템의 성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에게 정보격차는 존재하는가? -연령과 학력의 조절효과의 검증-

        남수정 ( Su Jung Nam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정보격차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의 "정보격차지수 데이터" 2009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일반소비자와 장애인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소비자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능력을 장애유형, 학력, 연령별로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지식의 경우 청년층에서는 장애인 보다 일반 소비자의 지식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령층의 경우 일반 소비자 보다 장애인의 사용지식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용성태도의 결과는 일반소비자와 장애인 모두 고령층 보다는 청년층의 태도점수 가, 저학력 보다는 고학력 집단의 태도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시간의 경우 일반소비자와 장애인집단 모두 고령층보다는 청년층이, 그리고 저학력 보다는 고학력의 인터넷 사용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소비자집단과 장애인집단을 비교해 보면 일반소비자들 보다 장애인의 인터넷 사용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무/유형, 학력, 연령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용지식과 유용성태도는 장애유무/유형의 주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학력과 연령의 주효과는 검증되었다. 또한 학력과 연령 각각과 장애유무/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시간의 결과에서는 학력과 연령의 주효과만이 검증되었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장애인 간의 장애유형, 장애등급, 학력, 연령의 소비자능력의 평균값을 살펴보면, 사용지식은 고령층보다는 청년층이 저학력보다는 고학력의 사용지식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용성태도의 결과는 저학력집단보다는 고학력집단이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층 보다는 청년층의 태도 점수가 일관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시간의 결과에서도 저학력 보다는 고학력 집단이 그리고 고령층 보다는 청년층의 사용시간 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간의 장애유형, 장애등급, 학력, 연령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력과 연령의 주효과는 검증되었지만 장애유형과 장애등급의 주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또한 장애등급*학력의 상호작용효과가 검증되었다. This study measured consumer competence of general consumers and disabled consumers about internet access by using "2009 digital divide index data" publish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in order to examine digital divide level of persons with dis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en consumer competence was examined according to disability types, education level and age, it was revealed that in young consumers, knowledge score of general consumes were higher than that of disabled consumers while in old aged group, knowledge score of disabled consumers were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onsumers. When attitude toward usefulness was examined, it was revealed that attitude score of young people was higher than that of old people and attitude score of the group with high level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with low level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hours of use of young people were more than that of old people and hours of use of the group with high level education was more than that of group with low level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hours of use of disabled consumers were more than that of general consumers. Second, when the effect of disability/disability types, educational level and age was examined, it was revealed that effect of disability/disability types on used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usefulness was not proved and effect of educational level and age us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usefulness was proved. It was revealed that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level, age, disability/disability typ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en hours of use were examined, effect of educational level and effect of age were proved respectively but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level was not proved. Third, when disability types, disability grade, educational level and age among disabled consumers were examined in terms of consumer competence, it was revealed that score of used knowledge young people had was higher than that of old people and score of used knowledge of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low level of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score of attitude toward usefulness of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low level of education and the score of attitude toward usefulness of young people was higher than that of old people. It was revealed that hours of use of the group with high level education was more than that of the group with low level of education and hours of use of young people were more than that of old people. Fourth, when the effect disability types, disability grade, educational level and age among disabled consumers, effect of educational level and effect of age were proved but effect of disability type and effect of disability grade were not proved. Correlation between disability grade and educational level was prov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rvey on the effect of factors affecting consumer competency between the disabled and consumer competence between general consumers and disabled consumers, in case of disability type and disability grade, main effect were not verified, but the main effects of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verified. On top of that,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disability type*age and disability type*education level were confirmed by results of used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usefulness. In addition, consistent results on time of use showed that the time of use by the disabled consumers were more than that of general consumers. Second, in case of used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usefulness, interaction effects of disability*age were verified. Generally, the oldy with a disability tend to be considered as minorities in information society, but in this study, scores on the used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usefulness of the old consumers in disabled group turned out to be higher those of the old in general consumer group. This result seems to be due to effect of information education, targeting the disabled. In connection with this,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disabled is likely to be performed effectively by various channels and the disabled seem to participate in information education activel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Third, the results on the time of use showed that the time of use internet by the disabled consumers were much more than that of the general consumers. For the disabled consumers, means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like internet must be effective media helping to interact with outside world. In this regard, much more time is spent on using computer and internet is natural for the disabled consumers, compared with the general consumers.

      • KCI등재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의 지각된 회계정보품질이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규일,신건권 한국회계정책학회 2012 회계와 정책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on the intention for continued use. Using survey methods, 14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or hypothesis-testing, they were applied to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using SPSS & AMO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it was found that perceived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had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it was shown that both perceived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impact on user satisfaction. Third,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for continued use. Finally, perceived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did not have direc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continued use, but it did have indirect mediating impact on the intention for continued use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resource materials for user-friendly accounting programs relevant for user’s use by analysing information quality which induces users to continually apply electronic accounting programs for a specific company. 본 연구는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의 지각된 회계정보품질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주로 (주)더존비즈온의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 세무사사무소 혹은 회계사무소의 직원으로 한정했으며,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해 140매의 유효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의 지각된 회계정보품질은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의 지각된 회계정보품질과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자만족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만족도는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의 지각된 회계정보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사용자들이 특정 회사의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만드는 정보품질 요소가 무엇인가를 규명하여, 사용자들의 요구에 적합한 회계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관광 정보탐색을 위한 챗GPT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 챗GPT 관광 정보품질, 지각된 신뢰, 지각된 위험을 중심으로

        강귀영,김설아 한국지역문화학회 2024 지역과 문화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챗GPT를 통해 관광 정보를 탐색한 경험이 있는 개인이 지각한 정보의 품질, 지각된 신뢰,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 으로써 지각된 유용성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의 인지적 변인들의 역할을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해 챗GPT 맥 락에서 개인의 관광 정보탐색 프로세스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챗GPT 출시 이후 1회 이상 챗GPT를 통해 관광 정보를 탐색한 적이 있는 총 217명 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챗 GPT 관광 정보품질 요인(완전성, 적시성, 적절성) 중 적절성만이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신뢰는 지각된 유용성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위험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SNS 를 대상으로 한 콘텐츠 중심의 정보품질 연구를 챗GPT를 통해 탐색한 관광 정보의 품질 연구로 확장했다는 점, 지각된 유용성에 대한 지각된 신뢰의 선행요인으로서 역할을 확인해 챗GPT의 정보품질과 지각된 신뢰가 지각된 유용성을 거쳐 지속적 사용의도로 이어지는 인지적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individual cognitive variables as antecedents of perceived usefulnes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erceived information quality, perceived trust, and perceived risk on perceived usefulness among individuals who have used ChatGPT to seek tourism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individuals' tourism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in the context of ChatGPT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ChatGPT. A total of 217 users who have used ChatGPT to seek tourism information at least once since its launch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tGPT tourism information quality factors (completeness, timeliness, and relevancy), only relevancy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perceive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but perceived risk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Third, perceived useful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tends the existing content-oriented information quality research on mobile applications and SNS to the study of tourism information quality explored through ChatGPT. It confirms the role of perceived trust as an anteceden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ystematically verifies the cognitive process through which ChatGPT information quality and perceived trust lead to continuous use intention mediated by perceived usefuln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