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태권도공연을 통한 브랜드자산과 대학이미지 및 대학선호도의 관계

        김경섭 ( Kim Kyoung-sub ) 국기원 2020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대학 태권도공연을 통한 브랜드자산과 대학이미지 및 대학선호도를 중심으로 모형을 설정한 후 태권도공연을 통한 대학 활성화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한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태권도공연을 통한 브랜드자산은 대학이미지와 유효한 관계가 있으며 대학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요구하는 대학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해, 태권도공연을 통해 다양한 요소들을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꾸준한 태권도공연 연출로 공연의 품질을 높인다면 긍정적인 대학이미지가 생성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학의 태권도공연을 통한 브랜드자산은 대학선호도와 유효한 관계가 있었으나 공연이미지와 공연충성도의 관계는 기각되었다. 이는 아직까지 태권도공연의 이미지가 대학에 대한 태도로까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향후 대학 태권도공연이 브랜드화 되어 긍정적 이미지가 형성된다면 대학의 선호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공연 시 의상에 대학이름과 로고가 노출되어 관람자들에게 인식되면 무의식중에 대학의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인식이 되어 추후 대학 선택 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셋째, 대학이미지가 대학선호도와 유효한 관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각 대학에서는 대학이미지 제고를 위한 운영전략에 대해 수정·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부분의 태권도장에서는 각 대학소속을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소속된 인프라 등을 이용하여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대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태도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나타난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지역, 연령 및 태권도공연을 토대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포괄적인 데이터 수집 및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공연의 브랜드와 관련된 사회적 측면의 변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변수들을 사용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관람자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ssets through Taekwondo performance after establishing a model focusing on brand assets, university image, and university preference through college Taekwondo performance. First, brand assets through college Taekwondo performance have a valid relationship with college image, and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to understand various factors through Taekwondo performance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grasp the college image required by students who wish to enter college. if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 is improved through the steady performance of Taekwondo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a positive university image will be created. Second, the brand asset through Taekwondo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had a valid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preference,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image and performance loyalty was dismissed. It seems that the image of Taekwondo performance has not yet been linked to the attitude toward the university. However, if the university Taekwondo performance is branded in the future and a positive image is formed, it is thought that it will affect the preference of the university. In particular, if the university's name and logo are exposed to the costumes during the performance, the image of the university will be recognized positively unconsciously, which will serve as a positive factor in future university selection.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a valid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image and university preference was shown.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each university will need to revise and supplement its operational strategy to improve the university image. In addition, since most Taekwondo schools specify each university's affili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quality information and form a positive image and attitude toward the university by using the affiliated infrastructure.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subsequent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select a research subject based on more diverse regions, ages, and Taekwondo performances and conduct comprehensive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Second, in the follow-up studies, it is judged that various approaches to viewers will be possible if research is conducted using various variables, including social aspect variables related to various performance brands.

      • KCI등재

        대학스포츠이벤트의 환경요인과 참가만족, 이벤트이미지, 대학이미지, 대학태도와의 관계

        변경원 ( Kyung Won Byeon ),김영기 ( Young Ki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스포츠이벤트의 환경요인과 참가만족, 이벤트이미지, 대학이미지, 대학태도와의 이론적 관계를 규명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스포츠이벤트의 환경요인을 독립변수로, 이벤트이미지, 대학이미지를 매개변수로 선정하고 대학태 도를 종속변수로 각각 구성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 3대3 농구대회에 참가자 192명이다. 자료처리는 PASW Ver. 17.0과 AMOS 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환경요인(보상프로그램, 시설, 심판)은 참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참가만족은 이벤트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참가만족은 대학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이벤트이미지는 대학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 쳤다. 다섯째, 이벤트이미지는 대학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대학이미지는 대학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among sports event environmental factors of university, participation satisfaction, event image, university image, and university attitud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ports event environmental factors of university, mediating variables were participation satisfaction, event image, and university image. and dependent variable was university attitu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2 participants who participants participated 3on3 basketball tournament in university. This study used PASW Ver 17.0 for frequency analysis and AMOS 5.0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factors(reward program, facilities, refere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Seco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vent image. Third,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niversity image. Fourth, event im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university image. Fifth, event im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niversity attitude. Sixth, university im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niversity attitude.

      • 가상대학의 이미지 탐구

        이인숙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7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2 No.1

        지난 1996년 8월 20일에 교육개혁위원회는 교육정보화의 주요 과제 중 하나로서 '가상 대학'의 시범운영을 제시하고 있다. 가상대학의 설계는 현재의 대학교육체제와는 완전히 다른 관점, 즉 새로운 학습경계, 새로운 학습영역, 새로운 학습자원의 규명을 통한 새로운 이미지의 창출을 필요로 한다. 이미지 설계를 위해 Banathy가 제안한 기본틀은 '탐구의 초점', '탐구의 규모', '연결의 유형'의 세가지 차원에서 가상대학의 새로운 교육이미지 창출을 위한 도구를 제공한다. 신교육체제 설계에의 참여자들이 각 차원이 제공하는 선택 사항 중 무엇을 택할 것인지는 그들의 세계관, 사회관, 교육과 인간 계발에 대한 관점 및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관점에 달려 있다. 가상대학의 이미지의 창출은 구체적인 대학 설계에 앞서 이루어져야하는 '준비' 단계로서 (1)가상대학의 구성 요소의 세부 사항 개발, (2)가상대학이 수행해야 할 기능 모형 산출, (3)기능모형에서 확인된 기능들의 수행을 보장하는 조직 체제 및 인적 능력을 가진 관리 체제 모형의 '설계' 단계에서 공통된 이해, 일련의 방향제시 및 설계의 기준과 준거의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러나 규명된 이미지는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체제 설계의 순환적인 본질에 의하여 필요하다면 변화 및 개선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Education in any society is the reflection of shared values, cultures, and expectations of its members. Traditionally higher education has been the investment for life and graduation meant permanent separation from a formal education. Now instead,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is growing exponentially and changes in knowledge are accelerating. Social systems are extremely unstable and educational systems based on the paradigm, in which people learn to prepare for their life during a certain period, can not function well anymore. People want and need education provided to themselves in their workplaces, home, or near learning centers. The current research discusses the image creation of a virtual university as a new educational system. Above all, it describes the importance of image-building based on stakeholders' shared values and ideas, as a preparation stage before an actual design stage. As a framework for image-building, Banathy's three dimensional model is introduced. This research selects the following levels among various alternativ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Banathy's framework as an option which will enable us to create an image of a virtual university with the newest and largest perspectives : (1) the learning-experience level on the dimension of focus of inquiry (2) the overall societal context on the dimension of the scope of inquiry (3) cooperation on the dimension of patterns of interaction. Then, an image of a virtual university is introduced as just one example. This image has been created based on the current researcher s values and ideas, by applying Banathy's framework. 1. A virtual university should be a purpose-seeking system. 2. A virtual university should provide lifelong education through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with various human service systems. 3. A virtual university should be an open learning community based on learning information technology. 4. A virtual university should provide organizations and environments in which learning-experiences are centered and supported. 5. A virtual university should be humanized educational space. This paper identifies learning boundaries and resources of a virtual university centered on learning-experiences. It also pursues a new education system design through 'integration' among human social systems. Yet, I should make clear that there are alternatives of various levels depending on who the stakeholders participating in designing the system are. In addition, what values and ideas concerning society and education they hold are an important pan of this education. The preparation' stage of creating the image of a virtual university will be followed by the actual design stage. This image of a virtual university based on shared values and ideas will function as a shared understanding, a set of directions, and design criteria in the process of specification and design. We, however, should understand shared images can be revisited, changed or improved as needed, rather than fixed, due to the circular nature of system design.

      • KCI등재

        대학골프팀이 대학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상호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iversity golf team operation on university image magazines. The final valid sample was selected except for the one not suitable for the study among the sampled samples, and R studio (R Version 3.6.1)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with this data.,In addi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e procedure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the research result on the influence of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golf team on the university image,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supervision and coaching is high, the tactic is excellent, the leader thinks that the power of the coach is excellent, and the correlation is positive.,As such,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golf te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university image. Second, the degree of interest in university golf has no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golf team.,As for the degree of interest in college golf, the analysis of factors i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golf team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ractiveness of university golf and college golf, and in the correl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quantitative linear relationship in all items.,Third, the degree of interest in university golf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university image.,In the difference of university im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university golf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nd in the correl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quantitative linear relationship in all items. 본 연구는 대학골프팀 운영이 대학이미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자료를 가지고 자료처리 하기 위해 R studio(R Version 3.6.1)을 이용하였다. 또한 기술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한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골프팀의 운영은 대학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요인 분석에 따르면 감독‧코치의 quality가 높다고 생각 한다, 전술이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지도자의 전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한다가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상관관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양적 선형관계로 나타났다. 이렇듯 대학골프팀 운영이 대학 이미지에 관현 결과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타나탔다. 둘째, 대학골프의 관심정도는 대학골프팀 운영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골프의 관심정도는 대학골프팀 운영에 차이에서는 요인 분석 결과 대학골프관심, 대학골프가 매력적이다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관관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양적 선형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골프의 관심정도는 대학 이미지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골프의 관심정도는 대학이미지의 차이에서는 요인 분석 결과 신뢰할 만하다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양적 선형관계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 운동부 창단이 대학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대학배구팀 창단을 중심으로

        한상호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운동부 창단이 대학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배구팀 창단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하 며, 대학 배구팀 창단과 대학브랜드의 인지도, 이미지, 충성도에 대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대학스포츠의 활성화를 가져와 위기에 처해있는 대학스포츠의 발전과 함께 대학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대한 새로운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연구대 상은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대학의 재학생 220명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중 부실하게 기입된 자료 26부를 제외 한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R통계를 활용하여 조사대상자의 기술 분석과 대학 배구팀 창단이 대학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브랜드 인지도, 대학브랜드 충성도, 대학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배구팀 창단이 대학브랜드 인지도, 대학브랜드 이미지, 대학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브랜드 인지도는 대학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대학브랜드 이미지는 대학브랜드 충성도에는 아무런 영향 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대학브랜드 이미지는 대학브랜드 인지도 보다 대학브랜드 충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ounding of the university sports club on the university brand image, focusing on the founding of the volleyball team. It provides new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sports in crisis and raising awareness of university bran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enrolled students in universities that did not operate a sports department, and among them, 194 subjects were excluded, excluding 26 copies of poorly written data. Using R statistic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fluence of the research subject's technical analysis and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volleyball team on the university brand image, university brand awareness, university brand loyalty, and university brand im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volleyball team had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brand recognition, university brand image, and university brand loyalty, and university brand recogn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brand loyalty. However, the university brand image had no effect on university brand loyalt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 brand image did not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he university brand loyalty than the university brand recognition.

      • KCI등재

        대학이미지의 역사적 특성을 활용한 심볼마크, 로고디자인 개발 연구

        박인성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4

        These days the universities in Korea try to renovate their images as a survival strategy which is recently instigated by many domestic changes such as the decrease of highschool graduates. A University's image becomes not only a crucial factor for attracting students, but also an effective way of running the institution. First,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university images, this research draws a conclusion from the review. Second, a survey of the university insiders is analyzed, specifically prepared for this research. Finally the university's logo and symbol mark can be designed from the concept of the university, which is drawn by taking into account the conclusions of two analyses, and, as was mentioned, from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university's image, factors of the image formation, and its historical features. A few points are to be mentioned from the procedure of conceptualization. First, the conceptualization can contain a passionate aspect. Prospective consumers can understand with admiration the value of a university from the meaning of symbol mark and logo. Second, a simple design of logo and symbol mark can convey immediately the image of university to potential consumers. Efficiently simple logo and symbol mark are created by reflecting aesthetic balance and proper blank within them, important elements of a good design. Finally, a unique touch and layout are added to what is initially conceived. The image along with the symbol mark and logo can be created as a tool for dealing with the current challenges and publicizing the university as a distinctive and respectable institution. 오늘날 우리나라 대학은 대내외의 많은 변화와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이전과 다른 새롭고 다양한 생존전략으로 대학이미지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이 대학의 이미지는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을 뿐만아니라 대학을 이끌어가는 경영적 차원의 효율적인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이미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1차 분석은 선행연구와 연구문헌의 조사와 결과를 분석하고, 2차 분석은 내부구성원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1차와 2차 분석을 종합하고 컨셉화하여 심볼마크와 로고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이미지의 개념, 대학이미지의 형성 요인, 평택대학교의 역사적 특성의 분석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심볼마크와 로고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통해 컨셉을 도출하였다. 해당 대학의 컨셉을 도출한 이후, 심볼마크(Symbol mark), 로고(Logo) 디자인 개발 과정과 결과에서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이미지를 컨셉화하여 접근함으로써 이미지를 감동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었다. 가장 핵심적인 특성을 도출하여 컨셉화하고, 이를 디자인으로 발전시키면 소비자들에게 보다 가치있게 전달할 수 있다. 둘째, 컨셉화 이후 단순하고 간결하게 디자인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대학이미지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었다. 이는 디자인의 원리를 기본으로 균형의 미와 여백의 미를 활용하여 디자인하면 효과적인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다. 셋째, 단순화한 것을 개성적인 색채와 레이아웃으로 다르게 디자인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을 활용하여 대학이미지를 대학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차별화수단으로 탄생시킬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 이미지 개선요인으로서의 간접광고 효과 연구

        조경섭,이준호 대한경영학회 2004 大韓經營學會誌 Vol.17 No.3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PPL(Product Placement) as an effective PR plan for local universities facing the problem of the lack of high school graduates. It trie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PPLs in a movie on enhancing the images of a university which is a part of the movie setting and on students' willingness to apply to the university. A series of three experimental procedures are undertaken in order to explore and compare the controlled effects of (1)the local university's PPL in film, (2)its direct promotion to the students, and (3)the university's own PR films. The dependent variables in use in the study are generated based on the university's five image constructing factors, such as (1)expectancy in human relationship, (2)opportunity, (3)future, (4)university value, (5)external reputation. Findings from one-way ANOVA show that the movie PPL exposure help enhance the positive images of the university throughout all the image constructing factors compared to the university's direct promotion. Also, the PPL is partly more decisive variable than the university's own PR films in forming better images of the university. Exposure to the university's own PR films tends to have stronger effects in the university's positive image shaping than the university's direct promotion.

      • KCI등재

        대학교육서비스지향성과 대학이미지, 경영성과와의 관계

        김재열,최경식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대학교육서비스지향성과 대학의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내부구성원인 종업원만족과 유지, 서비스가치, 구성원의 고객지향성, 대학이미지의 매개역할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25개교 대학의 내부구성원인 교수와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교육서비스지향성이 높은 대학은 내부구성원들의 만족과 유지 및 대학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교육서비스지향성과 서비스가치는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가 없었고, 이들 간의 관계는 내부구성원만족과 유지라는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적인 관련성만이 가능하였다. 둘째, 내부구성원의 만족과 유지는 서비스가치와 구성원들의 고객지향성 및 대학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고객지향성은 대학이미지와 대학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이미지와 대학의 경영성과는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educational service orientation, university image and managerial performance. Many studies have shown a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orient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which try to investigate variable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educational service orient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This paper proposes that internal employee satisfaction, employee retention, service value, employee customer orientation, and university image cause this relationship. A structural model and several hypotheses were develope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om 25 universities,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with AMOS 5.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higher the university educational service orientation, the higher the (1)internal employee satisfaction, employee retention, (2)university image. But the higher the university educational service orientation bring about against results the service value. Second, the higher the internal employee satisfaction, employee retention, the higher the (1)service value, (2)employee customer orientation, and (3)university image. Third, the higher the service value, the higher the employee customer orientation. Forth, the higher the employee customer orientation, the higher the (1)university image, (2)managerial performance. Finally, the higher the university image bring about against results the managerial performance. At the end of the paper, managerial im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스포츠팀의 공중관계성, 대학 이미지, 동일시 및 태도와의 구조적 관계

        서재열,신승호,김나래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스포츠팀의 공중관계성, 대학이미지, 동일시 및 태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스포츠팀을 운영하고 있는 호남권에 위치한 대학교 중 축구팀을 운영하고 있는 4개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한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8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무응답, 중복기입 등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69부를 제외한 731부(91.4%)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통계프로그램인 SPSS 24.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 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스포츠팀의 공중 관계성(신뢰성, 능력성, 친숙성, 사회기여성)은 대학이미지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스포츠팀 의 공중관계성(신뢰성, 능력성, 친숙성, 사회기여성)은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스포츠 팀의 공중관계성(신뢰성, 능력성, 친숙성, 사회기여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이미지 는 동일시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이미지는 태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동일시는 태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elationship of University Sports Team, University Image, Identification and Attitude.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for one month in September 2019 by selecting students from universities running university sports teams as subjects for research.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 total of 8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731 (91.4%) of which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69 questionnaires that were deemed unreliable, such as non-response and duplicated entries. The collected data was coded and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 24.0 and AMOS 18.0.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public relations (credibility, ability, familiarity, social contribution) of University sports teams appeared to have a static effect on the University's image. Second, public relations (credibility, competence, familiarity, social contribution) of University sports teams did not appear to affect identification. Third, public relations (credibility, ability, familiarity, social contribution) of University sports teams did not affect attitude. Fourth, University image had a static effect on what is regarded as the same. Fifth, University image had a static effect on attitude. Sixth, identification had a static effect on attitude.

      • KCI등재

        대학 계열별 교육수요자의 대학이미지, 대학만족, 전공만족, 학업지속의향의 차이분석

        최진호(Jin-Ho Choi)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3 창조와 혁신 Vol.16 No.4

        This study is a secondary study by Choi and Jang(2023), who prov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Some of the research data were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additional survey. It has been analyzed and identified in an integrated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ive variables, including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such as university imag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by major field. As of 2023, university students from freshman to senior or higher enrolled at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by the convenience sampling were studied. A total of 52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available as analysis data. Excluding major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university imag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by major field. Specifically,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generally highly satisfied with the chosen major,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rts and sport field and the engineering field for other variables.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college students' studies to the e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ity system and structure in terms of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and majors. Focusing on the university's specialization plan and mid-to long-term development pla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major, prevent dropout, and support the efforts customized to educational demanders. It would be an important basic data for each university to find the ways to overcome the practical difficulties faced b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devise the customized strategies. 이 연구는 대학 학업지속의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증명한 최진호와 장은정(2023)의 2차적 조사이다. 그 연구 자료 일부를 활용하였으며 추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분석 파악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학업지속의향을포함하여 그 예측변인들인 대학이미지, 대학만족, 전공만족을 대학 계열별로 차이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 소재 4년제 여자대학교의 재학생들이였다.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2023학년도에 등록된 1학년에서 5학년 이상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총 527부의 설문지가 최종 통계분석을 위해 활용되었으며 분석 자료로 이용하기 불가능한 설문지는 제외시켰다. 전공만족을 제외하고는 대학이미지, 대학만족, 학업지속의향은 대학 계열별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대상자들은 선택한 전공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높게 만족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변인들에 대해서는 예체능계열과 공학계열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학업지속을 끝까지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대학과 전공의 특성화 차원에서 그 대학 제도나 구조 등의 관점에서 분석해야 한다. 그 대학의 특성화 계획과 중장기 발전계획을 중심으로 전공의 경쟁력 제고와 중도탈락 예방 전략, 그리고 교육소비자 맞춤형 지원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고등교육기관이 처해있는 현실적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대학 계열별로 모색하고 맞춤형 전략을 강구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