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 민법에 있어서 북한 계약법의 수용 및 그 한계

        김영규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7 No.4

        본 논문은 현행 북한 민법 중 계약법의 규정을 총칙과 각칙의 내용으로 나누어서 통일 민법에 수용 가능한 요소들과 수용할 수 없는 한계를 검토하고, 남북한 계약법의 통합에 있어서 명시해야 할 경과규정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있다. 먼저 북한 민법이 계약의 총칙에서 합의조건과 부동산거래의 요식성을 명시하는 것과 계약의 각칙에서 임대차에서 수선의무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보증금의 반환과 동시이행을 명시하는 것은 통일 민법에서도 수용할 만한 요소이다. 다음으로 북한 민법이 계약의 총칙에서 계약자유의 원칙을 부정하는 것, 공민을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서 유상성을 제한하는 것, 당사자로서 공민과법인을 차별하는 것, 위험부담에 대해 불명확성을 보이는 것, 행정문건에 의한 계약의 소멸을 규율하는 것 등은 수용할 수 없는 요소이다. 또 북한 민법이 계약의 각칙에서 사적 자치 자체를 부정하는 계획적 계약을 규정하는 것, 공법인인 은행을 매개로 저금계약과 은행대부계약을 전형계약으로 다루면서재정 통제의 수단으로 삼는 것, 개개의 계약에서 법인을 공민보다 우선시키는 것, 매매와 소비대차에서 전매와 이자를 제한하는 것 등도 수용할 수 없는 것들이다. 따라서 위에서 열거한 북한 계약법의 수용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통일 민법에서 관련 규정을 도입하되, 북한 계약법이 사적 자치를 부정하는 등의 수용할 수 없는 요소들은 폐기하고 우리 민법의 규정들이 북한 지역에도확대 적용되도록 하는 경과조치를 두어야 할 것이다. 특히 통일 민법에서 경과규정을 둠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것들로는 북한민법이 행정문건에 의한 계약 소멸의 폐기, 계획적 계약의 폐기, 우리 민법과달리 요물계약(소비대차, 임치)과 요식계약(법인을 당사자로 하는 계약)으로다루는 북한 민법의 계약에 대한 경과조치, 우리 민법이 사무관리로 다루는것을 보관계약의 내용으로 다루는 북한 민법에 대한 경과조치, 우리와 달리북한 민법이 전형계약으로 다루는 계약들(저금계약, 은행대부계약, 보험계약등)에 대한 경과조치, 공민보다 법인의 지위를 우선시하여 법인격평등의 원칙을 형해화(形骸化)시키는 규정에 대한 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북한 민법이 계약법 전반에서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보다쉬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통일 민법에서 그 수용을 검토할 충분한 가치가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North Korean contract law by dividing it into general provisions and individual provisions, and seeks to identify elements that are acceptable and unacceptable in the Unified Civil Law, and suggests transitional measures that should be specified in the Unified Civil Law. First, elements of the North Korean Civil Code that are acceptable in the Unified Civil Code in the future are the following: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tract specify the terms of agreement and the formality of real estate transaction. And individual provisions of contract specify not only duties of repair in leases, but also concurrent performance with recovery of deposits. Second, elements of the North Korean Civil Code that cannot be accepted into the Unified Civil Code are denial of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n the General Provisions of Contract, restrictions on paid contracts to which public person is party, discriminating between public person and juristic persons, and regulating the termination of contracts through administrative documents. Also regulations on a planned contract, regulating on savings contracts and bank loan contracts through banks, which are public juristic persons, as typical contracts, and restricting resale and interest on sales and consumption loans are provisions that cannot be accepted in the Unified Civil Law. Therefore, the above unacceptable elements should be taken steps to abolish them in the Unified Civil Law. The transitional measures should be provided in Unified Civil law on that the North Korean Civil Code treats loan for consumption and bailment as real contracts, management of affairs as bailment, bank loan contracts and insurance contracts as typical contract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contract law of North Korea’s civil law uses easy terms that even ordinary citizens can easily understand should be considered for accep tance in t he unified civil law.

      • KCI등재

        중국 통일민법전 제정의 의의와 전망

        김준영,김인식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외법논집 Vol.40 No.2

        본 논문에서는 2014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통일민법전 제정논의와 그 쟁점을 고찰하고, 특히2015년 발표된 ‘민법총칙 초안’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여 민법전 제정에 대한 고민과 향후 입법과정을 전망하였다. 중국의 민사법은 논리적인 일관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입법되기 보다는 시대가 요구하는 실질적인 필요성에 따라 단행법이 차례로 제정되어서 오늘날 통일민법전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국초기부터 통일민법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1954년, 1962년, 1979년, 2002년까지 네차례의 민법전 제정 시도가 있었고 다시 2014년부터 현재까지 민법전 제정 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즉 각 민사 단행법을 유기적으로 통합한 체계적인 ‘통일민법전’의 제정을 입법자와 법학자들은작금의 최대 민사입법 과제로 삼고 있다. ‘통일민법전’ 입법의 첫 번째 단계인 ‘민법총칙(초안)’은 단순히 단행법으로 분산되어 있는 중국 민사법률을 통합하여 제정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민사 영역들에 대하여 법률적으로, 제도적으로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한 결과물이자 ‘시대정신’의 반영으로 평가된다. 즉 자연과환경의 보호, 장기나 정자 등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물(物)의 법률문제, 사이버 공간의민사법적 문제, 노령화시대의 새로운 의사능력 및 감호제도 등은 향후 인류가 마주하고 해결해야할 문제들 반영하고 있다. 한편 통일민법전 입법을 통하여 낙후되었던 법률문화를 선진화하고 경제규모와 국제적 위상에 상응하는 민사법제도를 확립하여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려는 의지를 엿볼수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major issues of Unified Civil Law Code Draft which China is trying to legislate since 2014, and the prospects of the legislation process. Civil law in China was not legislated in logical consistency, but several special laws were legislated separately by practical needs. Even though China tried to legalize a ‘unified’ Civil Law in 1962, 1979 and in 2002, China doesn’t have a unified Civil Law system even until now. In 2014, China has been trying to legalize a unified Civil Law system again. Making general provisions of the Civil Code is the first step of legislating unified Civil Law. However, this is not just a combination of separated laws, but an organic integration of them. In this process, China is trying to resolve new problems of civil laws that surfaced; such as;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property rights, treating the intangible property rights, or institutionalizing organ donation or sperm donation and so on. Meanwhile, even though China has become a leading nation, its law system is still behind time. Through legalizing unified Civil Law system, China is also trying to upgrade its law-making system and legal environment.

      • KCI등재

        中國民法制定の動向

        加藤雅信(가토 마사노부),김상수(번역자)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과기업연구 Vol.1 No.1

        Tort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promulgated in 26 December 2009. China, unlike Korea or Japan, does not have unified civil code. Instead, China has wide range of civil special law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historical implication of this promulgation of the Tort Law in China and its meaning with regard to China’s attempt to adjust future scheduled legislation of unified civil code by 2015, and lastly to introduce the brief characteristics in Chines Tort Law. Following Chapter Ⅰ as the introduction, Chapter Ⅱ covers Chinese Tort Law legislation details focused on legislation procedure. Chapter Ⅲ and Ⅳ offer brief history of Chinese Civil Law Legislation. Chapter Ⅲ covers first half of the history mainly from 1954 until Chinese Cultural Revolution. Chapter Ⅳ covers another half of history after Deng Xiaoping seized power.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extreme left socialist and the pragmatic rightist among chinese political elite, is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history. Which law should govern business in socialism economy system? Is it economic law or civil law? This question appears in various forms through entire legislation history of China until Deng’s Southern Tour Talk in 1992, when Deng announced his idea of economic reform of China and it was the civil law"s victory over the economic law, also the pragmatic rightist victory over extreme left socialist. Also, this chapter offers brief intellectual debate regarding the idea of property in China. China’s unique political economic situation lead to idea of three types of property - Property of Nation, Property of Society(or Public) and Property of Individual. Chapter V shows how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extreme left socialist and the pragmatic rightist is reflected in this Chines Tort Law and its legislation history. Chapter Ⅵ and Ⅶ introduce China’s scheduled legislation of further civil special laws, the attempt to legislate a unified civil code, and the issues derived from the attempt. According to the legislation schedule of Unified Civil Code, this legislation of Chinese Tort Law means that the final stage is not far,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t much discussion regarding the Unified Civil Code of China. And lastly, Chapter Ⅷ explains the summarized characteristics of Chinese Tort Law with 12 detailed topics.

      • KCI등재

        북한 민법의 변천과 특징

        김영규(Kim, Youngkyu)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8 No.1

        This paper has a purpose to search hints which are helpful to the merger of Civil Law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fter the unification of both, therefore, firstly it is needed to give a conspectus about transitions of previous civil law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formal civil law of North Korea. And secondly it is required to scan the main points and back grounds of the amendments of General Provisions, Real Rights and Claims in transitions of civil law which had been revised 3 times until 2007 since North Korea civil law was established in 1990. Lastly the helpful points for the unification of civil law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uld be caught through the traits which are shown in the transitions of North Korea civil law. The civil law which was used during Japanese invasion was abolished when North Korea started their own governance, and typical civil law was replaced by logical sequence till civil law was established in 1990. The unique traits of North Korea civil law are following; firstly cutting off Japanese civil law, secondly the consolidated elements of inheritance of civil law from old USSR and Chinese civil law, and North Korea’s own factors, thirdly the gradual transition of private status, and easy to understand of legal terms, fourthly escalated discrepancy between the law and the realities, fifthly slowdown of reign by a person.

      • KCI등재

        통일 민법에 있어서 북한 가족법의 수용 및 그 한계

        김영규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7 No.1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North Korean family law by dividing it into marriage law, paternity law, and other contents of North Korean family law in order to review it as a draft unified civil law in preparation for future unification. Regarding the provisions of North Korea’s family law, which are consistent with individual dignity and gender equality, but are not in our civil law, it is reviewed to accommodate them to the Unified Civil Law in order to secure legal stability. These include the provision of equal rights for husband and wife (§ 18) and the principle of separate sex (§ 17) in the Marriage Act, and the requirement that children under the age of 3 be raised by the mother in case of divorce (§ 22). Besides among North Korea’s paternity law regulations, the ones that can be reviewed for acceptance into the unified civil law are unification of full adoption system(§ 33), restriction of adoption qualifications to minors(§ 30), regulation of children’s duty to respect their parents(§ 28), and protection regulations for virtually adopted children(§ 45 of the Child Rights Protection Act). In addition to this, the use of terms that are easy for the people to understand in the family law, and the clarification of personal rights in the Child Rights Protection Act and the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which are actual family laws, are considered acceptable elements for the unified civil law. However, some regulations of the North Korean Family Law deal family relationships with governing relationships so such the rules are unacceptable to the Unified Civil Law. Such regulations are that the practical standard of marriage age to marry after working for the state and society, the exclusion of de facto marriage, participation in social and political life, the denial of divorce by agreement, the state’s responsibility for educating children. 본 논문은 현행 북한 가족법을 혼인법, 친자법, 그 밖의 북한 가족법 규정으로 나누어 통일 민법에 수용 가능한 요소와 수용할 수 없는 한계에대해 규명하고 있다. 북한 가족법의 규정 중에서 개인의 존엄과 양성평등에 합치하지만 우리민법이 명문화하고 있지 않은 항목들은 통일 민법에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로는 북한 혼인법 중 부부평등권(제18조)과 부부별성주의(제17조)를 명시하는 것, 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한 3살 미만의 자녀는 어머니가양육하도록 하는 것(제22조)을 들 수 있다. 또한 북한 친자법이 우리 민법과 달리 양자에 대해서 보통의 입양과 친양자 입양으로 이원화(二元化)시키지 않고 친양자 입양으로 일원화(一元化)시키고 있는 것(제33조), 입양의요건에서 양자녀의 자격을 미성년자로 제한하는 것(제30조), 친자의 효과로서 자녀의 부모존경의무를 명시하는 것(제28조), 사실상 양자인 수양(收 養)에 대한 보호규정을 두는 것(아동권리보장법 제45조) 등도 우리 민법내지 통일 민법에의 수용을 검토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 밖의 가족법의 내용과 관련해서 북한 가족법이 일반인에게 친숙한 법률용어를 사용하는 것과 실질적 가족법인 아동권리보장법(제11조, 제12조)과 여성권리보장법(제37조-제41조)이 생명권, 발전권, 생명에 대한 불가침권과 명예권 등의인격권에 대하여 명시하는 것도 통일 민법을 제정함에 있어서 수용할만한요소라고 본다. 그러나 북한 가족법(제1조)은 사회주의적 결혼 및 가족제도를 공고화를통해 수령을 대가장(大家長)으로 하는 사회주의 대가정(大家庭)을 건설하는 것을 사명이자 최고원리로 하는 정치성ㆍ혁명성을 띠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 가족법은 가장 개인적인 사생활관계이어야 할 가족관계를 통치의대상으로 보아 가족법으로 하여금 공법의 성격을 띠게 한다는 점에서 원시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규정들로서 대표적인 것은, 혼인의 성립요건인 혼인 연령에서 형식적 기준 이외에 국가(인민)ㆍ사회(집단)을 위해 일한 후에 혼인하여야 한다고 하면서 실질적 기준을 명시한 것(제9조제2항), 결혼 등록을 하지 않고는 부부생활을 할 수 없도록 금지함으로써사실혼을 명시적으로 배제하는 것(제11조 제2항), 혼인의 효과에서 사회정치 생활의 참여를 규정한 것(제17조), 협의상 이혼을 용인하지 않는 것(제20조 제2항), 친권의 내용인 자녀 교양과 관련해서 지덕체를 갖춘 자주적 인간으로 키워야 한다고 하면서 이에 정치적 요소를 가미하며 이를 국가가 상당 부분 담당하는 것(제27조 제2항), 전배우자 소생 자녀와 계부모사이의 계친자관계를 법정친자관계로 강제하는 것(제29조), 선거권을 박탈당한 자를 양부모의 자격에서 제외하는 것(제30조 제2항), 부양 능력이 있는 가족 구성원이 없는 경우에 국가가 부양의무를 지게 한 것(제38조), 후견인의 선정에 있어서 다툼이 있는 경우에 재판소가 아닌 주민행정기관이 정하도록 하는 것(제42조), 가족법의 규정을 위반한 공민에게 행정적ㆍ형사적 책임을 같이 부과하도록 하는 규정(제54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북한 가족법이 사회주의의 이념을 강조하면서 연설하고 설득하며 교훈하는 형태의 규정(제1조, 제6조 제1항, 제15조, 제27조 제2항)들은 사적 권리관계를 규율하는 민법 규정에 정치성을 가미한 것으로서 통일 민법에수용할 수 없는 요소이다.

      • KCI등재

        남북한 민법의 통합방향 -형식적 민법을 중심으로-

        김영규 ( Young Kyu Ki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국방연구 Vol.59 No.1

        오늘날 민법의 시대적 과제 중 하나는, 통일 민법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형식적 민법을 중심으로 남북한 민법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먼저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과규정 등 통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북한 민법 중 총칙ㆍ물권ㆍ채권 등의 각 영역에서 통치관계로 파악하여 규제하는 공법적성질을 띠는 것들은 남북한 민법의 본질적 차이점이자 통일 민법을 제정함에 있어서 수용의한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는 것들이다. 남북한 민법의 유사점은 북한 민법 중 사회주의이념이 반영되지 않는 부분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법을 통일 민법의 대본으로 다룰 때 입법의 충돌을 줄여주는 역할을하는 요소들이다. 남북한 민법이 차이점 중에는 성년기의 차이 등과 같이 공법적 특성을 띠는 규정이 아닌것들이 있으며, 위에 대해서는 통일 민법 제정시에 각 영역마다 경과규정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 밖에 남북한 민법의 통합을 위해서는 경과규정을 둠에 있어서 독일 통일과 민법의 통합과정을 참고할 필요가 있으며, 민법전 이외의 실체법과 절차법의 통합도 같이 수반되어야 한다. In order to construct the foundation of United Civil Law,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ivil Law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must be investigated first, and the direction for consolidation such, as transitional provisions, should be presented based on this. Things like General Provisions, Real Rights and Claims that the civil law of North Korea classify as governing rel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as public law. These are the esse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civil law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must clear up the acceptability limit when legislating civil law. The similarity between the civil law of South and North Korea appear in the filed where the socialist ideology is not reflected. This is the element that reduces the conflict when the civil law of the South Korea is dealt as the script of united civil law. Regar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ivil law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there are regulations that do not show the characteristics as public law such as the difference of adulthood, and transitional provisions must be put with this. Above this,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unification process of Germany as well as their unification process of civil law in regard to have the transitional provisions for unification of the civil law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통일 민법에 있어서 북한 채권총칙의 수용 및 그 한계

        김영규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7 No.3

        This paper researches elements that can be accepted in the Unified Civil Code and the limits of acceptance among the contents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Claims of the current North Korean Civil Law (Part 3, Chapter 1), and other elements related to the General Provisions of Claims that need to be accepted in the Unified Civil Law. Among the general provisions of claims of the North Korean Civil Law, the provisions of claims and liabilities are used in easy terms, the quality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type claim is in principle based on the best product, and the prohibition on interest infringement is specified when exercising the claim of joint creditors, and including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tract in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bond are worth considering for acceptance in the Unified Civil Law. However, given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private property rights and private autonomy, which are judicial reflections of the basic liberal democratic order of our Constitution (Article 4), are core values that cannot be compromised, elements that run counter to these cannot be accepted in the Unified Civil Law. In other words, the principle of socialist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the principle of planned property transactions, the principle of collectivism, and the principle of comradely cooperation and assistance are taken as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laims law, and administrative documents are used as the cause of claims, making change and disposal of planning tasks the cause of extinguishment of claims, transferring illegal causes of benefits to the national treasury, allowing civil liability,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and criminal liability to coexist are absolutely unacceptable in the Unified Civil Law. The general provisions of claims of North Korea’s civil law are very few compared to those of our civil law. Therefore, in order to more specifically regulate the status of individuals and ensure legal stability of creditor relationships, a transitional provision must be established in the Unified Civil Code to apply the provisions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Claims (Part 3, Chapter 1) of the Korean Civil Code to North Korea after unification. In North Korea’s credit relationship, interest claims are prohibited between citizens, mental damage (alimony) is not recognized as liability for default, and the interests of the state and society are prioritized over individual interests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civil liability. Since giving priority to political factors intervenes in civil relations, these regulations should be abolished after unification. In addition, North Korea’s General Regulations on Creditors give priority to or limit the status of corporations over individual in creditor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parties, bond transfer and debt assumption, and bond extinction, which violates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corporate personality, so this regulation should be abolished after unification.

      • KCI등재

        북한 민법의 대리제도

        김영규(KIM, Young-Kyu)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17 No.4

        본 논문은 북한 민법의 대리제도에 대해서 대리제도의 본질·종류와 대리의 3면관계(대리권, 대리행위, 대리의 효과)와 복대리, 무권대리 등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우리 민법의 대리제도와의 상이점을 밝힘으로써 장차 통일 민법을 제정할 때에 북한 민법의 대리제도 중 수용이 가능한 것과 그 적용을 배제하여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있다. 먼저 북한 민법은 대리의 종류에 있어서 법정대리와 별도로 우리 민법의 임의대리와 비슷한 위임대리로 나누어 다루는 점, 본인·대리인의 사망, 대리인의 행위능력상실을 대리권의 공통된 소멸사유로 하는 점과 본인의 위임취소와 대리인의 위임거절을 위임대리의 특유한 소멸사유로 다루는 점, 대리행위에서 이론상 현명주의를 취하면서 그 효과에 관해서 본인에게 귀속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점, 대리행위의 하자에 대하여 이론상 대리인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점, 본인의 능력으로 권리능력만을 요하는 점, 이론상 복대리를 인정하고 있는 점, 무권대리와 관련해서 이론상 본인에게 추인권을 인정하는 점 등에서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남북한 대리제도의 유사점은 장차 이루어질 통일에 대비하여 남북한 법률행위 중 대리 규정의 통합 및 그 수용가능성을 제고시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북한 민법이 대리행위(대리의사의 표시와 현명하지 않은 대리행위, 대리행위의 하자)에 대한 규정 및 복대리와 무권대리의 효과에 대한 구체적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점, 표현대리를 비판하면서 이를 협의의 무권대리와 구별하고 있지 않은 점 등은 우리 민법과 달리 북한 대리제도의 단순성과 비체계성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뿐만 아니라 북한 민법은 대리제도의 목적으로 인민경제계획과제의 원만한 수행을 강조하면서 이에 따라 권리주체 중 자연인(공민)보다 사회주의적 조직인 법인을 우선시하는 점, 대리권의 소멸 중 ‘대리인의 파산’을 규정하고 있지 않은 점, 위법적 대리행위에 대하여 민사책임의 심리만으로 행정적·형사적 책임도 병존하도록 하고 있는 점 등은 우리 민법과 달리 대리제도를 통치관계의 일환으로 이해하여 공법화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남북한 대리제도의 접근의 한계점인 동시에 통일 민법 제정에 수용의 한계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우리 민법과 달리 북한 민법이 대리인은 행위능력자일 것을 요하도록 하고 있는 점(32조 2항), 대리인의 성실의무를 명문화하고 있는 점(35조), 우리의 수권행위에 해당하는 위임을 함에 있어서 반드시 본인이 상대방에게 대리권의 범위를 명백히 하도록 강제하는 점(34조) 등은 보다 대리거래의 안전과 법적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민법 내지 통일 민법에의 수용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 This paper researches the nature and type of the agency system, authority of agent, representation, effect of agency, sub-agency and representation having no legality in North Korean civil law. On the basis of this, it clarif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ivil law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so that it considers the acceptable things as well as the things that have to be excluded in the agency system of North Korean civil law when the unified law is legislated. First of all, the North Korean civil law shows the similarities with the South Korean civil law in the point that (1) it divides the type of agency into the statutory agent and de facto agent, (2) it deals with the death of the principal and death of the agent as the cause of laps of agency authority, (3) it regulates the representation as the belonging of the principal in that effect while they take the named principle disclosed principle theoretically, (4) in defective acts by agent, theoretically, it deals with the agent as the standard, (5) it just requires the legal capacity (6) theoretically, it acknowledges the sub-agency, (7) in relation to representation having no authority, it acknowledges the right of ratification to principal theoretically. Likewise, the similarities of the agency system of North and South Korea make reconsideration of the acceptability in unified law. But differently with the South Korean civil law, the agency system of North Korea shows the simplicity in the point that (1) it does not have any concrete regulation about the defective acts by agent like the regulation against the representation as well as the effect of representation having no authority, (2) it does not differentiates the apparent representation between representation having no authority. Besides, differently with the South Korean civil law, North Korean civil law shows the tendency of public law regarding the fact that it prioritizes the juristic person than public person while emphasizing the smooth performance of task of economic plan of people as the purpose of the agency regime, (3) it does not regulate the bankruptcy of agent as the cause of lapse of agency authority, (4) regarding the illegal representation, responsibility under public law coexists by just trial of liability so that all these points show the limitation in acceptance of legislation of the civil law of the unified Korea. Nevertheless, North Korean civil law is valued worthy in examining the acceptability in South Korean civil law as well as the civil law of the unified Korea in the point that (1) it requires that the agent to be person of legal capacity, (2) it stipulates the duty of good faith of agent which can makes proxy contract being safe.

      • KCI등재

        북한 민법의 채권의 발생과 소멸

        김영규(KIM, Young-Kyu)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16 No.3

        본 논문은 장차 제정될 통일 민법에 있어서 채권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입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북한 민법과 민사소송법ㆍ공증법 등에서 규율하는 채권의 발생과 소멸의 특징과 주요내용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남북한 민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북한 민법은 채권의 발생과 관련해서 우리 민법상의 계약, 부당이득, 불법행위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외견상 유사점을 보인다. 그러나 북한 민법은 채권의 발생원인으로 우리 민법과 달리 ‘인민경제계획문건’을 다루고 있으며, 사무관리에 대해서는 보관계약에서 관련 규정을 두고 있다. 이 밖에 북한민법의 계약은 우리 민법과 달리 계획적 계약을 일반계약보다 중요시하고 있고, 부당이득과 관련해서 불법원인급여의 경우 국가귀속을 다루고 있다. 이 밖에 불법행위와 관련해서 완전보상의 원칙을 취하고 있고, 민사책임과 형사 및 행정상의 책임의 병립을 다루고 있다. 위와 같은 차이점들은 북한 민법의 공법적 요소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우리 민법에의 수용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북한 민법은 채권의 소멸에 있어서 우리 민법과 같이 변제를 규정하고 있고, 북한의 민사소송법과 공증법은 상계와 공탁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북한 민법은 ‘제3자의 허물로 인한 책임’으로 인해 채권자에게 책임을 진 변제자에게 채무자에 대한 구상권을 인정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민법(482조)의 변제자대위와 비슷하다. 이 밖에 북한의 민법이론은 경개, 면제, 혼동을 소멸원인으로 인정하고 있어서 우리 민법과 유사한 점들이 많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북한 민법은 변제와 관련해서 계획과제의 획일적 수행을 위한 동지적 협력과 방조원칙ㆍ일괄이행의 원칙을 기본원칙으로 취하고 있는 점, 계획적 채권의 변제에서는 반드시 사회주의적 법인(기관, 기업소, 단체)이 직접 이행하여야 하며, 제3자의 변제를 금지하고 있는 점, 계획적 계약의 경우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한 변제기의 연장을 금지하고 있는 점 등에서 이를 인정하지 않는 우리 민법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북한 민법은 변제의 증거, 변제의 충당, 변제의 목적물, 변제의 제공, 변제의 충당 및 공탁의 자동매각 등의 규정을 보이지 않는 단순성을 보이고 있으며, 사회주의적 법인에게는 면제, 경개, 혼동을 제한함으로써 정치성을 띠는 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It is a purpose of this paper to provide the foundational data for the legislation of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claims in the unified civil law which would be established sooner or later. Therefore, firstly this paper studies the main contents and features of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claims which are ruled by Civil Act, Civil Procedure Act, and Notary Public Act of North Korea, secondl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research above, this paper considers what the same poi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ivil Law are about. Regarding the matter of acquisition of claims, North Korean Civil Law admits a contract, unlawful enrichment and tort and it seems to show the similarities of South Korean Civil Law.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at North Korea Civil Law grants the national economic plan to be one of acquisition of claims, and legislates the provisions of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affairs as the part of bailment contract. Aside from those above, North Korea Civil Law takes the planned contract for granted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n a common contract. And in a case of performance for illegal cause, the result should be belonged to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n Civil Law admits the principle of full compensation in tort, coexistence of civil liability and criminal liability. The differences above reflect the character of public law so that it is able to recognize what is the limit of unification of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Civil Law. Regarding Extinction of Claims, North Korea Civil Law prescribes reimburse as a way of Extinction of Claims, and also Set-off and Deposit are regulated as a type of Extinction of Claims by Civil Procedure Act and Notary Public Act. Besides according to majority proposal of North Korean Civil Law, novation, release and merger of South Korean Civil Law are admitted as Extinction of Claims and that is a phase of the similarity with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Civil Law. Although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Civil Law, in terms of no regulation about appropriation for performance and deposit of proceeds North Korean Civil Law is so simple and is armed with political purposes.

      • KCI등재

        북한 민법의 팔고사기계약의 특징과 평가

        김영규 ( Young Kyu Ki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3 국방연구 Vol.56 No.4

        우리 민법상 채권계약의 으뜸이 되는 매매계약과 관련해서 북한은 1990년 9월 5일 민법을 제정하면서 팔고사기계약을 전형계약으로 두고 있다. 또한 북한은 2009년 11월 11일 부동산관리법을 제정하면서, 부동산매매를 금지하는 종래 민법 규정(177조)을 반영하면서도 공민에 대한 부동산등록을 인정할수 있는 입법을 새롭게 두고 있다(동법 23조, 28조). 이 밖에 북한은 특수지대 안에서 토지임대법 등에서 토지임차권의 매매 등을 규정하여 민법의 팔고사기에 대한 특례규정을 두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북한 민법의 팔고사기계약 및 특별법의 매매 관련 규정의 특징과 주요내용을 검토한 후 남북한 매매계약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 있다. 먼저, 남북한 민법의 매매계약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첫째, 우리 민법의 매매는 재산권이전을 목적으로 하고 사법상의 계약으로서 정치적 색채를 띠지 않으나 북한의 팔고사기계약의 목적에서는 공법상의 계약으로서 정치성이 강조되고 있다. 둘째, 북한 민법은 우리 민법이 규정하는 계약금, 매매계약의 비용부담, 대금지급, 환매 관련 규정 등을 두고 있지 않은 단순성을 보이고 있다. 이 밖에 북한 민법은 우리 민법(570조 이하)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담보책임의 내용을 규정하지 않고 있으며, 부동산소유권변동 등 재산권이전시기와 관련해서 등기의 공시성을 규정하고 있지 않은 점 등에서 우리 민법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남북한 민법의 매매계약은 다음과 같은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첫째, 북한 민법의 팔고사기 계약은 우리 민법의 매매와 같이 유상계약, 쌍무계약, 낙성계약이라는 성질을 띤다. 둘째, 북한 민법(149조)은 팔고사기계약의 효력과 관련해서 우리 민법과 같이 동시이행을 인정하고 있으며, 담보책임의 규정을 유상의 빌리기계약 등 다른 유상계약에 적용하고 있다. 또 북한은 특수지대에 적용하기 위한 토지임대법·개성공업지구법 부동산규정 등의 특별법에서 토지임차권의 처분·담보설정 등을 규정함으로써 토지임차권을 매매의 대상이 되는 재산권으로 인정하는 등의 변모를 보이고 있다. 요컨대 북한의 매매계약과 관련해서 위에서 열거한 남북한 민법의 차이점은 북한법의 단순성과 정치성이 반영된 것으로서 통일 민법을 제정함에 있어서 수용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면, 위의 유사점은 그 접근 및 수용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North Korea has PALKOSAKI Contract(sale contract) as one of the typical contract when the Civil law was established on September 5th in 1990. Aside from this North Korea has some regulations for a sale of land lease right in Land Lease Act which should be issued in a special area and those are a kind of exceptional provisions. This paper researches the characteristics and main contents of PALKOSAKI Contract and the exceptional provisional so that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a sale contrac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an be recognized. 1. Firstly a sale contract in Civil Law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following. (1) In term of the name, South Korean Civil Law calls a sale contract but in North Korean case, it is PALKOSAKI Contract. And in a case of the former, the purpose is property transfer as a private law while in a case of the latter political nature is emphasized as a public law. (2) As compared with South Korean Civil Law, North Korean Civil law is so simple for there is no provision related with earnest money, cost-bearing relating to a sale contract, and a repurchase. (3) North Korean Civil Law differs from South Korean Civil Law that there is no provision of liability for warranty, registration of real estate relating with real rights over immovables. 2. Secondly the Sale Contract of North Korean Civil Law has similar points of South Korean Civil Law as follows. (1) PALKOSAKI Contract of North Korean Civil Law is a contract for value and a bilateral contract and this is the same as a sale conract of South Korean Civil Law. (2) North Korean Civil Law adopts concurrent performance and liability for Risk about effect of sale. (3) The major theory of North Korean Civil Law applies the provisions of warranty liability of a seller to other contracts for value like a lease contract(BILIKI contract). All the similar points between South Korean Civil Law and North Korean Civil Law above are showing positive possibility to access each other, and it could be the potential base for the civil law of the unified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