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세회피와 세무불확실성

        박종일,전규안 한국세무학회 2019 세무학 연구 Vol.36 No.1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tax uncertainty regarding the firm’s future cash flows. Specifically, we examine whether low long-run effective tax rates are associated with greater uncertainty regarding the firm’s overall future cash flows. We also examine whether low effective tax rates have a higher degree of tax-related uncertainty because tax avoidance increases uncertainty regarding the firm’s future effective tax rates. Furthermore, we examine whether low effective tax rates are more persistent than high tax effective tax rates regarding the firm’s future volatility of taxable income as well as the volatility of cash tax paid. Our sample begins with all observations from 1998 to 2016 with available data in Korean Stock Exchange Market. This study sample covers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in non-financial industries with fiscal year-end in December from 2003 to 2011 period, our main sample consists of 6,119 firm-year observations. We document several findings. First, we do not find evidence that tax avoidance is associated with greater future volatility of cash flows from operation, where we find evidence that tax avoidanc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future after-tax volatility of earnings as well as future volatility of pre-tax earnings. This result suggests that a lower effective tax rate (aggressive tax avoidance) is associated with greater future earnings uncertainty. While, we fail find that a positive an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future volatility of cash flows, which is asserted in prior studies. Second, we find evidence that low effective tax rates tend to be more increases uncertainty regarding the firm’s future effective tax rat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uture volatility of GAAP effective tax rates (ETRs).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s, we find low ETRs tend to be more persistent. Lastly, we find that low ETRs are more persistent than higher ETRs.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Guenther et al. (2017). In summary, we provide evidence that tax avoidance is associated with greater future volatility of earnings than future volatility of cash flows from operation. We also provide evidence that tax avoidance is associated with greater future volatility of GAAP ETRs than future volatility of cash ETRs. Thus, in contrast, the results for cash ETR volatility are independent of tax avoidance. Additionally, we provide evidence that tax avoidance is associated with lower future volatility of taxable income as well as future volatility of cash tax payments. Therefore, we document that firms with higher tax avoidance have more persistent than firms with lower tax avoidance. In that sense, our study should be of interest to researchers that examine corporate tax avoidance practices and the extent to which capital market participants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ax uncertainty. It should also be helpful to academics, as well as investors, regulators, tax authorities, and policymakers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greater tax avoidance increases uncertainty about a firm’s future cash flows or earnings, future effective tax rates, and future cash tax payments. 본 연구는 조세회피가 미래 세무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인 Guenther et al.(2017)은 조세회피와 미래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을 주로 투자자 측면의 차기 주가변동성으로 살펴본 반면, 본 연구는 조세회피와 미래 현금흐름의 변동성과의 관계를 직접 분석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조세회피를 Dyreng et al.(2008)에 따라 과거 5년간의 CASH ETR과 GAAP ETR로, 미래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은 미래 5년간의 영업현금흐름 또는 회계이익의 변동성으로, 미래 세무불확실성은 CASH ETR과 GAAP ETR의 미래 5년간 변동성으로 측정하였다. 표본은 1998년부터 2016년까지 12월 결산 상장기업 중 금융업을 제외한 6,119개 기업/연 자료이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높은 조세회피 성향과 미래 영업현금흐름의 변동성 간에는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높은 조세회피 성향과 미래 회계이익의 변동성 간에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높은 조세회피 성향은 미래 CASH ETR보다 미래 GAAP ETR의 변동성과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추가분석에 따르면, 높은 조세회피 성향과 미래 과세소득의 변동성 및 미래 법인세부담액의 변동성은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높은 조세회피의 성향은 미래에도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상장기업에서 조세회피 성향이 높은 기업은 미래 회계이익의 변동성을 증가시키고, 미래 GAAP ETR의 변동성을 증가시키지만, 현재의 높은 조세회피 성향은 미래에도 과세소득의 변동성이나 법인세부담액의 변동성을 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미래 낮은 유효세율과도 양(+)의 관계로 나타나 지속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관련 연구에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조세회피 성향과 미래 세무불확실성과의 관계에 관심이 있는 세무당국이나 정책입안자들에게도 유익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민항 조종사의 불확실성 회피와 안전행동의 관계: 권력거리로 조절된 지각된 손익의 매개효과

        김한슬,정은경 한국항공경영학회 202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0 No.4

        Pilots’ safety behaviors are affected by both situational and personal factors. Considering that the situation of an organization, such as airline policies and regulations, applies similarly to all pilots, the safety behaviors of individual pilots are heavily varied by personal factors. Among individual factors, the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is known to be closely related to safety behavior, indicating how people differ on the amount of tolerance they have of uncertainty. The high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gains and losses perceived by pilots in dangerous situations. In addition, this mediating effect can be moderated by individual power distance, which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belongings to a specific organization accept the hierarchy of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voidance and safety behavior of commercial airline pilo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gain and lo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in the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pilots working in domestic commercial airlines. A total of 171 copies of the collected 182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the data containing insincere responses or missing valu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uncertainty avoid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 That is, pilots with high uncertainty avoidance tend to behave according to manuals, such as checking equipment before operation and following safety rules when operating, because they prefer to be standardized and specifi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voidance and safety behavior did not appear in perceived losses and was found only in perceived gain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pilots with a high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decide to go-around are largely perceive of the benefits when they go-around according to the manual. Third, power dista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voidance and perceived gain. Specifically, among pilots with a high power distance, the perceived gain for go-around was high only when the pilot’s uncertainty avoidance was high, and pilots with a low power distance perceived the gain high regardless of the level of uncertainty avoidance.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ga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voidance and safety behavior was controlled by power distanc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조종사의 안전행동에는 상황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 모두가 영향을 미친다. 항공사의 정책이나 규정등 조직이라는 상황적 요인은 모든 조종사에게 비교적 유사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조종사 개인의 안전행동은 개인적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개인적 요인 중 안전행동과 밀접한관계가 있는 것은 성격, 특히 불확실한 상황을 얼마나 회피하려는 성향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불확실성회피 성향을 들 수 있다. 불확실성 회피성향이 높은 것은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경로는 위험상황 시 조종사가 지각하는 이득과 손실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이러한 매개효과는 개인이 조직 내 비대칭적 권력 혹은 위계질서를 얼마나 수용하는지를 의미하는 권력거리 성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민간 항공 조종사의 불확실성 회피와 안전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지각된손익의 매개효과와 권력거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내 민간 항공사에근무하는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182부의 자료 중 불성실 응답 또는 결측치가 포함된 자료를 제외하고 총 171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 회피는 안전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불확실성 회피성향이 높은 조종사는 정형화되고 구체적으로 명시된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운항 이전에는 장비를 점검하고 운항 시에는 안전수칙을 따르는 등 주로 매뉴얼에 따라 행동한다는 것을 뜻한다. 둘째, 불확실성 회피와 안전행동 간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는 지각된 손실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각된 이득에서만 발견되었다. 다시 말해, 복행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불확실성 회피 성향이 높은 조종사는 매뉴얼대로 복행을 할 때 이득을 크게 지각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권력거리는 불확실성 회피와 지각된이득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권력거리가 높은 조종사 중에서는 불확실성 회피도 높아야만 복행 시 이득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권력거리가 낮은 조종사는 불확실성 회피 수준과관계없이 복행 시 이득을 높게 지각하였다. 넷째, 불확실성 회피와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지각된 이득의 매개효과는 권력거리에 의해 조절되었다. 끝에는 상기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시장 불확실성이 기업 조세회피 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건,신재은 한국경영학회 2022 經營學硏究 Vol.51 No.3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uncertainty and tax avoidance. We can make two distinct predictions on how uncertainty affects tax avoidance. On the one hand, uncertainty increases the precautionary motive of holding cash, and managers may increase the level of tax avoidance as a way of reducing cash outflow. On the other hand, uncertainty increases the value of waiting to invest an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ax avoidance strategy is one of many alternative investment strategies, managers may decrease the level of tax avoidance under uncertainty. We empirically examine how uncertainty affects tax avoidance and further examine firm value implications of tax avoidance. Using 9,687 firmyear observations for the period from 2005 to 2020, we provide evidence that managers reduce the risky and aggressive forms of tax avoidance under uncertainty, an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aggressive tax planning on firm value is mitigated.

      • KCI등재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의 정보특성에 관한 연구―보수주의를 중심으로―

        장대준,박성종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4

        In recent studies, there have been studies that have demonstrated that tax avoidance and tax risk provide information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studying the relevance between tax risk and tax avoidance and financial reporting quality, while there has been no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sm and tax avoidance and tax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ax avoidance and tax risk are the same or different by empirically identifying how tax risk relates to conservatis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tax avoidance and conservatism are re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in Basu (1997) shows that tax avoidance has a positive connection to conservatism, but not to tax risk and conservatism, indicating that tax avoidance and tax risk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onservatism. Second, the analysis in the Ball and Shivakumar (2006) found that tax avoidance and tax risk as a result of variability in ETR has a positive connection to conservatism, but not by variability in CashETR. In other words, the tax risk resulting from the variability of the CashETR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ax avoidance. The abov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further confirmed whether tax risk and tax avoidance and conservatism were of the same or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also suggests that, in terms of the motive of tax hedge, tax avoidance and conservatism are highly relevant because conservatism is actively used for tax avoidance, whereas tax risks for uncertainty in future cash flows are not related to conservatism and management does not recognise tax risks as a negative factor. 조세회피에 적극적인 기업은 향후 과세당국으로부터 세무조사의 적발가능성을 증가시키고 미래 부담할 법인세 부담이 높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세무불확실성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미래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에 기인하여 세무위험 역시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조세회피는 세무불확실성의 원인이고 세무위험은 세무불확실성의 결과이므로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이 같은 특성의 정보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에서는 세무위험과 조세회피 간에 음(-)의 관계로 나타나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이 다른 특성의 회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단서를 제공함과 동시에, 세무위험 및 조세회피와 재무보고 품질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은 다른 특성의 정보를 제공함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그러나 보수주의와 조세회피 및 세무위험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이 보수주의와 어떠한 정보특성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asu(1997)의 연구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 세무위험과 보수주의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Ball and Shivakumar(2006)의 연구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 현금유효법인세율의 변동성에 따른 세무위험과 보수주의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보고이익에 대한 세금부담이 높은 기업은 조세부담을 낮추기 위하여 보수주의 회계선택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조세회피와 보수주의는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가진다는 가설이 지지되고 있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조세회피는 세무불확실성의 원인이고 세무위험은 세무불확실성의 결과라는 암묵적 가정이 성립한다면 세무위험과 보수주의도 양(+)의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세무위험과 보수주의가 관련성이 없다는 것은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이 보수주의와 다른 정보의 특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세무위험 및 조세회피와 보수주의가 같은 특성을 갖는 정보인지, 다른 특성을 갖는 정보인지를 추가로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서로 다른 특성의 정보는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거나 투자자의 재무적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경우에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곤란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양경은,박기환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1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의 대학생 530명에게 걱정 질문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 수용-행위 질문지 II를 실시하였다. 먼저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이 걱정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이 경험적 회피를 매개로 하여 걱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변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 모두 걱정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 모두 걱정으로 가는 직접 효과와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걱정에 대한 경험적 회피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이 걱정에 이르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밝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roles of experiential avoidanc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emotional dysregula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ing. A total of 53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have completed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 Korean version on difficulties of emotional regulation scale (K-DERS),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II (AAQ-II), and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emotional dysregul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being investigated. We also examined the unique effects for intolerances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s of worrying. Next, we verified the assumption that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s should have positively direct effects on worrying as well a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where the data a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all the variances show positive correlations to each other. And, both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worrying. Next,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both showe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worrying. This study discovers how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lead to worrying in detail by identifying the roles of experiential avoidanc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불확실성 회피성향에 기반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한⦁중 소비자 태도

        차은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불확실성 회피 수준에 따라 디자인의 정교화 가능성 유형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이 디자인 유형에 따라 인지적, 감성적, 행동적 측면의 소비자 태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불확실성 회피성향, 화장품 패키지의 유형, 소비자 태도를 살펴보고, 정교화 가능성 정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의 중국 수출용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을 실험도구로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조사 결과, 양국 소비자 모두 화장품 구매 시 패키지디자인의 영향력이 높은 편이었고, 불확실성 회피수준이 달랐으며 이러한 성향이 패키지디자인의 중심단서와 주변단서에 영향을 미쳐 소비자의 태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중국에 비해 불확실성 회피 수준이 높은 한국 소비자는 중심단서 위주의 패키지디자인에, 불확실성 회피성향이 낮은 중국 소비자는 주변단서 위주의 패키지디자인에 인지적, 감성적, 행동적 반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한 상관분석에서도 한⦁중 모두 주변단서 위주의 실험물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응을 보임으로써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즉, 불확실성 회피성향은 여전히 디자인적 관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대외 소비재 디자인에도 반영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문화적 특성에 기반한 패키지디자인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바이며, 특히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경우 주변단서 중심의 디자인으로 인지적, 감성적, 행동적 반응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확실성 회피수준에 따라 디자인 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달라지며 이를 통해 소비자 태도가 형성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관계성을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다른 디자인 영역에도 접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데 학문적, 실용적 가치가 있다. 또한 학계의 연구 역량과 산업체의 빅데이터 활용 및 업무 연계로 산학 협력의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기업 현장에 적용하여 현지화 전략에 적용한다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began by raising the question that consumer attitudes toward the design of elaboration likehood model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uncertainty avoi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consumer attitudes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differ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depending on the design. To this end,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types of cosmetics packaging, and consumer attitudes were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Furthermore, an experimental tool was crea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ree types of cosmetic package designs for export to China according to the elaboration likehood model.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package design was high when purchasing cosmetics in both countries. The level of uncertainty avoidance was different, and this tendency influenced the central and peripheral clues of the package design, resulting in different consumer attitudes. In other words, Korean consumers, with higher uncertainty avoidance, show stronger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package designs focused on central cues, while Chinese consumers, with lower uncertainty avoidance, respond more positively to peripheral cue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s these differences, revealing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ir distinct reactions to peripheral cue-focused designs. This study revealed that preferences for design types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uncertainty avoidance result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and that consumer attitudes are formed through this. In addition, it has academic and practical value in that it open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is relationship to other design area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nd applying it to a company’s localization strategy will help improve competitiveness.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이연실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0 학교사회복지 Vol.0 No.49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multidimensional variables affecting social avoidance in college students and preparing basic data that could help in consult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to reduce the lack of patience for social anxiety level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ies. To this end, the character characteristic that affects the social avoidance of college students was assumed to be lacking in patience for uncertainty, and the parametric effect was verified by using the recently watched perfectionism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23 college students from some area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Jeolla and Chungcheong provinces, analyz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verified the medium effect using Bootstrap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ck of patience with the uncertainty of college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impact on social avoidance. Second, the lack of patience with the uncertainty of college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impact on perfectionism. Third, the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to perfectionism has a static impact on social avoidance. Fourth, the lack of patience with the uncertainty of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impact on social avoidance by using perfectionism as a medium.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olerance for uncertainty in college students, the stronger the tendency of perfectionism,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avoida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y discussed that they can be used in various counseling scene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ocial avoid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다차원적인 변인을 탐색하고 사회불안수준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낮추기 위한 상담 및 치료적 개입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특성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으로 상정하고 심리적 변인과 관련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완벽주의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일부 지역과 전라․충청 지역의 대학생 6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사회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완벽주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은 사회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완벽주의를 매개로 사회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높을수록 완벽주의 성향이 강해져 사회불안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상담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배타적 가격촉진의 소비자 평가에 대한 독특성 욕구와 자아향상성의 영향 : 성별과 불확실 회피성의 조절 효과

        두정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6

        Recently. though exclusive price promotions are increasing in the marketplace, very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recipients evaluate th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response on exclusive price promotions which are offered selectively to some consumers(i.e., deal recipients) but not to others(i.e, deal non-recipients).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performed to examine how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self-enhancement impact on consumers'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gender and uncertainty avoidance are probed. As the results, consumers' needs for uniqueness are positive influential factors on consumers' evaluation of exclusive price promotions. Of the three subsuming dimensions of need for uniqueness, creative choice and avoidance of similarity are essential constructs. In terms of consumers' evaluation on exclusive price promotions, who are more high in self-enhancement are very significantly more positive than that of who are low in self-enhancement. Male show more high preference than female consumers on exclusive price promotion, also male revealed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need for uniqueness than female. The preferences of who perceive more uncertainty avoidance are higher than that of who are low in uncertainty avoidance, also high uncertainty avoidance consumers revealed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need for uniqueness than low uncertainty avoidance. Even though self-enhancement are very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 to exclusive price promotions, no differential influences are detected by consumers' gender and uncertainty avoidance. Finally, managerial implications, some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issues are discussed consecutively. 최근 시장에서 배타적 가격촉진이 증가하고 있지만, 거래수혜자들이 이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관하여는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일부 소비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배타적 가격촉진이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자아향상성이 평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고,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성별과 불확실회피성의 조절효과를 타진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고객의 독특성 욕구는 배타적 가격촉진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요인 이었다. 독특성 욕구의 세부 구성차원 중, 창의적 선택, 유사성 회피가 주요 구성차원이었다. 자아향상성 동기가 강한 소비자들의 배타적 가격 촉진에 대한 평가는 자아향상성 동기가 약한 소비자들의 평가보다도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남성 소비자들은 여성 소비자들보다도 배타적 가격촉진에 대해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남성 소비자들은 여성 소비자들보다도 배타적 가격촉진에 관한 더 높은 독특성 욕구의 영향을 나타냈다. 불확실 회피성을 높게 지각하는 소비자들의 배타적 가격촉진에 대한 평가가 낮게 지각하는 소비자들의 평가보다도 더 높았으며, 불확실 회피성을 높게 지각하는 소비자들은 낮게 지각하는 소비자들보다도 배타적 가격촉진에 관한 더 높은 독특성 욕구의 영향을 나타냈다. 자아향상성은 배타적 가격촉진에 대한 평가에 있어 매우 유의적 요인이지만, 소비자의 성별이나 불확실 회피성에 따라 차이적 영향이 없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관리적 시사점,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 하였다.

      • KCI등재후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송정선 한국인격교육학회 2017 인격교육 Vol.11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social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social anxiety. Subjects were 282 college students (164 males and 114 females).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effect on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olerance of uncertainty is positively correlated to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Second, social anxiety is influenced b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the mediating effect is valid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cognitive bias, which refers to not being able to tolerate ambiguous situations,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at predispose people to avoid or inhibit emotion have an impact on social anxiety. In addi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ocial anxiety of people who cannot tolerate uncertainty intensified owing to experiential avoid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s well a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hile planning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social anxiety.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경험회피를 매개로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 남학생 168명, 여학생 114명, 총 28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 사회불안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미하였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 회피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변인 모두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모호한 상황을 견디지 못하는 인지적 편향과 정서를 회피하거나 억제하려는 행동특성이 사회불안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불확실성을 견디지 못하는 사람들이 정서적, 행동적 억제 및 회피를 통해 사회불안을 더욱 심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인지적 요인과 함께 정서, 행동 경험에 대한 수용적 개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의심 많은 당신 기부할 수 있는가? - 도덕적 정체성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

        오민정,황윤용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3

        This study divides moral identity into two dimensions. In particular, I agree with the resultthat internalization identity has a positive effect on donation, but the symbolization identity has notyet been researched.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moral identity is not highin both internalization and symbolization, but will have a different effect on donation intention bydimension. Second, internalization identity has a positive effect on donation without additional motivation,but symbolization identity requires a separate motivation factor, which is uncertainty avoidance. Finally, we confirm that if the type of donation message is concrete (vs. abstract), theuncertainty will be reduced and it will affect donors with high symbolization identities. To this end,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Hofstede's five cultural dimensions on the level of uncertaintyavoidance tendency and manipulated the level of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by the type ofdonation message (concrete vs. abstract). As a result of study 1, it was confirmed that moral identity can be divided into internalizationand symbolization affect on donation inten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onors with highinternalization identity positively affects donation rather than symbolization identity. And in the caseof symbolization identity,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level affects donors with high symbolicidentity. Especially donors with high symbolization identities showed high level of uncertaintyavoidance.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marginally significant. In Study 2, the level of uncertainty avoidance was manipulated as donation message. Forexample, a group receiving a specific message has a low level of uncertainty, and an abstractmessage has been treated as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uncertainty. The design of the experimentwas ANOVA with 2 (symbolization: low vs. high) x 2 (type of donation message: concrete vs. abstract). 본 연구는 도덕적 정체성을 2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내면적 정체성이 기부에 긍정적 영향을미친다는 결과에는 동의하지만 상징적 정체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미흡한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도덕적 정체성이 높다고 내면성과 상징성 모두 높은것은 아니며 차원별로 기부의도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둘째, 내면적 정체성은 별도의 동기요인 없이도 기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상징적 정체성은 추가적인 동기요인이 필요하며, 불확실성 회피에서 그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상징적 정체성이 높은 기부자들에게 기부메시지 유형이 구체적(vs. 추상적)이라면 불확실성이 줄어들어 기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Hofstede의 5가지 문화적차원 중 불확실회피성향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기부메시지의 유형(구체적 vs. 추상적)으로 불확실성 회피성향 수준을 조작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study1에서는 도덕적 정체성을 내면성과 상징성으로 구분하여 각각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상징적 정체성보다는 내면적 정체성이높은 기부자들이 기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징적 정체성의 경우는불확실회피성향수준이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상징적 정체성이 높은 기부자들이 불확실회피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 효과가 한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상징적 정체성과 불확실회피성향의 관계 및 그 대응방안을 명확히 확인할 필요가 있어 추가로 study2를 진행하였다. Study2에서는 불확실 회피성향 수준을 기부메시지로 조작하여 구체적인 메시지를 전달 받은집단은 불확실성이 낮은 집단, 추상적인 메시지를 전달 받은 집단은 불확실성이 높은 집단으로조작하였다. 실험설계는 2(상징성: 낮음 vs. 높음) x 2(기부메시지유형: 구체적 vs. 추상적)로 이원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징적 정체성이 높은 기부자들에게는 불확실성을줄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기부메시지가 기부의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