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심평결규칙의 법심리학적 제 문제(상): 만장일치규칙과 다수결규칙

        이은로 ( Eun Ro Lee ),박광배 ( Kwang B. Park ) 한국형사정책학회 2006 刑事政策 Vol.18 No.2

        Introduction of lay participation trial system could raise many psychological and legal issues regarding fact-finding functions of a jury. One of those important issues is the appropriate rule for the decision or verdict on the guilt of the defendant: unanimity rule versus majority rule. The verdict by a jury has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kinds of collective decision making, especially those in political contexts. Collective decisions are often based on self-interested behaviors of constituents, voters, politic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under consitutional rules. On the other hand, the task of a jury as a decision making group is primarily based on the concerns for finding material fact regarding the guilt of defendant rather than serving for the interests of the participants. The decision by jury should not only be democratic but also be accurate and efficient. Therefore, the issues regarding unanimity or majority rule for the decisions by jury go beyond normative or ideological considerations and should be rooted in empirical bas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article is to set the ground for research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searching for the appropriate rule for the decision by the lay jury that will convene for criminal trials in Korea. To that end, we introduce public choice theory for the optimal rule for group decisions and other theoretical models predicting the effects of different rules. And legal issues surrounding the unanimity and majority rules for jury decision making are delineated and summarized. In our next study,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on the verdict rules in the areas of psychology and behavioral sciences will be continued.

      • KCI등재

        배심평결규칙의 법심리학적 제 문제(하) -만장일치규칙과 다수결규칙-

        이은로 ( Eun Ro Lee ),박광배 ( Kwang B. Park ) 한국형사정책학회 2007 刑事政策 Vol.19 No.1

        This article is to review empirical studies on the verdict rule in the areas of psychology and behavioral sciences. The empirical results of most research on deliberation time, the timing for the first voting, voting frequency, evidence/verdict-driven deliberation style, handling the dissenters, robustness and genuineness of deliberation, jurors` satisfaction with deliberation process, and confidence in verdicts show that the jury decision rule affects deliberation process. Decision rule has been consistently proven to affect the final verdict. The agenda for future research and relevant methodologies that are thought to be useful for the rational design of the trial by jury in Korea are suggested in conclusion.

      • KCI등재

        무죄추정원칙의 관점에서 국민참여 재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지유미(YUMI JEE)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8 No.3

        우리나라에서 국민참여재판제도가 시행된 것은 2008년부터이다. 국민참여재판법이 제정될 당시 국민참여재판제도라는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낯선 제도였고, 동법에 규정된 국민참여재판제도도 우선은 잠정적인 형태로서의 위상만을 갖는 것이었다. 그 결과, 국민참여재판제도가 도입 · 시행된 이래로 국민참여재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을 강화하고 사법에 대한 신뢰를 증진 한다’는 그 도입 취지에 부합하는 국민참여재판제도를 구현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현행 국민참여재판제도는 무죄추정원칙의 관점에서도 문제가 될 여지가 있음에도, 이와 같은 무죄추정원칙의 관점에서도 그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국민참여재판제도를 마련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온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그동안 우리나라 국민참여재판제도에 대한 개선논의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무죄추정원칙의 관점에서, 국민참여재판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국민참여재판제도가 무죄추정원칙의 관점에서 문제될 여지가 있음을 지적하고, 미국 배심재판에서 무죄추정원칙을 실현하는 기제들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바탕으로, 무죄추정원칙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우리 국민참여재판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고는 현행 국민참여재판제도가 무죄추정원칙과 관련하여 갖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배심원의 무죄평결이 있으면 이로 인해 피고인의 유죄에 대한 ‘합리적 의심’이 고양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국민참여재판제도는 법관이 배심원의 평결결과와 다른 판결을 선고하기 위한 요건을 일원화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에 대해 본고는 무죄추정원칙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배심원의 평결결과가 무죄평결인지 아니면 유죄평결인지, 그리고 무죄평결인 경우에 그 방식이 만장일치인지 아니면 단순다수결인지에 따라 법관이 배심원의 평결결과와 다른 판결을 선고할 수 있는 사유들을 차등화할 것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본고는 앞으로 배심원의 유 · 무죄평결에 기속력을 부여하게 된다고 할 때, 무죄추정원칙에 부합하면서 동시에 평결의 정당성도 도모하고, 부수적으로는 소송경제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평결방식을 구상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이와 같은 평결방식으로 i) 처음에는 유죄평결이나 무죄평결을 위해 만장일치를 요구하고, ⅱ) 만약 배심원들이 피고인의 유죄나 무죄에 대해 만장일치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에는 가중다수결만으로도 유죄평결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하되, 유죄에 대한 가중다수결의 요건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무죄평결로 인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o improve the citizen participation trial system based on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In order to do that, Part Ⅱ of this Article points out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citizen participation trial system from the view point of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In addition, Part Ⅲ considers the mechanisms that the American jury trial system has in order for such system not to be violative of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Finally, Part Ⅳ suggests some proposals under which the current citizen participation trial system would improve in a way that realizes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According to this Article, the current citizen participation trial system has overlooked the fact that the reasonable doubt on a defendant"s guilt increases due to the jury verdict of not guilty. Nevertheless, the current citizen participation trial system has imposed the same requirements that should be met in order for a trial court to make a decision that is contrary to a jury verdict, regardless of what the jury verdict was and how the jury reached that verdict. This feature constitutes the most problematic point of the current citizen participation trial system from the view point of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s a result,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requirements under which a trial court can make a decision that is contrary to a jury verdict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what the jury verdict was, i.e., verdict of guilty or not guilty, and how the jury reached such verdict, i.e., under unanimity rule or majority rule.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most desirable manner under which jurors can reach their verdict when considering that such verdict might have a strong binding effect in the near feature. This Article proposes jurors should reach their verdict unanimously in the first place. If they are not able to reach the unanimous verdict, super-majority rule should apply to reach a verdict of not guilty. When the jury fails to gain a specified level of support under the super-majority rule, the jury verdict should be deemed as not guilty.

      • KCI등재후보

        다수결원칙의 근거와 가중다수결 근거규정에 대한 축소헌법해석의 당위성

        박찬주 헌법재판소 2019 헌법논총 Vol.30 No.-

        The social contract theories provide the clues about the decision-making forms such as unanimity, bare majority and qualified majority. The main discussion of this essay is about the unavoidability of constitutional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the ground provision on qualified majority i.e., the Article 49 of the Constitution. Without such restrictive interpretation, the qualified majority system inevitably collides with the proposition of 「Parliament cannot bind its successors」. The National Assembly constituted through the general election enjoys the full and intact powers conferred by the Constitution. Such powers cannot be violated even by the prior Assembly. The Article 49 is the ground provision on the qualified majority. Korea is an almost unique country admitting the introduction of qualified majority through the statute laws. Furthermore, the bills scheduled for voting are not confined to the statute bills. A lot of non-statute bills are submitted making use of the said Article. The effect of the predecessor Assembly’s resolution on the non-statute bills has presumably indirect force on the successor Assemblies. If the successor Assemblies do not wish to accommodate the force of the predecessor Assembly’s resolution, they can neglect the force even without adopting opposing resolutions. In this meaning, the force of any resolution reaches only to the end of the Assembly of the day. With the statute bills unrelated to qualified majority, no reference is necessary to the binding force, as the successor Assemblies can amend or repeal the qualified-majority-related bills in accordance with the majority rule. Nevertheless, the binding force of the statute laws concerning qualified majority influences on the successor Assemblies, if we cannot root out the unconstitutionality through restrictive interpretation. Such problem does not arise in the countries the constitutions of which do not admit the introduction of qualified majority. With this construction, even where qualified majority is prescribed by the prior Assembly as necessary for repealing the qualified majority provision, successor Assemblies can repeal by the bare majority. And such repeal should not be the subject of presidential veto. 사회계약이론은 만장일치제, 과반수다수결원칙 및 가중다수결제도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의 주된 논의는 가중다수결제도에 대한 축소헌법해석의 당위성이다. 축소해석헌법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가중다수결제도는 의회는 자신의 계승자를 구속하지 못한다 라는 명제와 충돌할 수밖에 없다. 총선거를 통하여 새로 구성되는 국회는 임기 내에는 헌법상의 온전한 권한을 가지며 선임국회가 침해할 수 없다. 제정법을 통한 가중다수결제도의 도입을 허용하는 국가는 사실상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가중다수결 근거규정인 헌법 제49조 전문에서는 의결의 대상인 의안을 「법률안」에 국한하지 아니하고 각종 「결의안」을 포함하고 있다. 「법률안」을 제외한 결의안들은 결의의 효력이 결의국회의 계승자인 후임국회에게 미치는 효력은 간접적이다. 후임국회가 결의의 효력을 받아들이고 싶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를 무시하면 되며 반드시 반대결의를 할 필요도 없다. 결의의 효력은 결의를 한 국회에만 미친다. 「법률안」이라고 하더라도 가중다수결과 무관한 경우에는 후임국회에서 통상적인 입법절차에 따라 폐지하면 되기 때문에 구속력을 논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가중다수결과 관련된 「법률」의 경우에는 「축소헌법해석」을 하여 위헌성을 제거하지 아니하는 한 구속력이 후임국회에도 미친다. 헌법에서 제정법을 통한 가중다수결제도의 도입을 규정하지 아니하는 나라에서는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한다. 제정법상의 가중다수결규정의 폐지에 가중다수결을 필요로 한다고 규정하든 아니하든 후임국희는 과반수다수결로 가중다수결규정을 폐지할 수 있고, 대통령의 거부권행사의 대상이 되어서도 아니 된다.

      • 적정 투표규칙의 결정 변수들

        황수연 慶星大學校 1999 論文集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variables that affect optimal voting rules and how they affect them. Optimal voting rules are determined by both external and decisionmaking costs of voting rules, and so I examined some variables that affect either of these costs. I found out that the nature of issues being considered makes a voting rule either more or less inclusive, depending on the nature of issues. Besides this, I found out : first, the size of the decisionmaking group increases decisionmaking costs, thus making the optimal voting rule less inclusive, i. e. moving it to the left; second, compared to direct democracy, representative democracy makes decisionmaking costs more less and the optimal voting rule more inclusive; third, with more complete vote trading, external costs are lowered, and thus it moves the optimal voting rule to the left.

      • KCI우수등재

        해외자료(海外資料) : 집합건물법상(集合建物法上) 관리문제(管理問題) -한국(韓國)과 일본(日本), 양국(兩國)의 비교법적(比較法的) 고찰(考察)

        김선이 ( Sun Ihee Kim ) 법조협회 2004 法曹 Vol.53 No.9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주거형태 중 많은 퍼센트가 아파트 등이 처음 건축된 1960년대와는 달리 집합건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집합건물은 단독주택과는 달리 전체건물을 유지·관리하고 공동생활의 안녕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분소유자 사이의 자발적인 협조를 매우 필요로 하며 집합건물안의 전유부분은 전체건물을 유지하고 안전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공용부분과 대지는 공유자사이에 그 이용과 관련하여 이해관계가 충돌할 우려가 많다는 점에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는 집합건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지난 80년대 초에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해 오고 있다. 동법을 제정할 당시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일본의 구분소유법이 최근에 건물의 관리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졌으므로 본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집합건물법과 일본의 구분소유법 사이의 비교법적인 고찰을 하여 집합건물의 효율적이며 적정한 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가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집합건물의 적정한 관리의 차원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외벽이나 옥상방수 등의 대규모 수리공사의 경우, 그 원활한 실시를 위하여 필요한 의결정족수를 구분소유자 및 의결권의 과반수로 완화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공용부분에 기초하여 발생한 손해배상청구권을 관리인이 구분소유권자의 수권절차없이 직접행사할 수 있도록 그 권한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셋째, 관리단을 법으로 일정한 요건을 규정하여 법인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입법적으로 해결할 것과 넷째, 관리단집회에 있어서 의결권의 행사시 전자적인 방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다섯째, 입법적으로 재건축에 반대한 소수 구분소유권자에 대한 보호책으로 매수지정자제도를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비정밀 신념도 옹호: Topey에 대한 반론

        정재민 ( Jaemin Jung ) 한국과학철학회 2016 과학철학 Vol.19 No.3

        행위자가 명제 P에 대해 충분한 증거를 지니고 있지 않을 때 그 행위자는 P에 대해 어떠한 신념도를 지녀야 할까? Joyce(2010)는 합리적 행위자는 P에 대해 비정밀 신념도를 지녀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최근 Topey(2012)는 그러한 Joyce의 관점에 대한 두 가지 흥미로운 반대 논증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필자는 Topey의 각각의 논증에 허점이 있으며, 따라서 비정밀 신념도를 옹호하는 그 누구도 Topey의 논증들에 의해 설득될 필요가 없음을 보인다. When an agent has only unspecific evidence regarding P, what is an epistemically rational response to that evidence? In his “A Defense of Imprecise Credences in Inference and Decision Making”, James Joyce asserts that the response should be to have an imprecise credence in P. Recently, in his “Coin Flips, Credences and the Reflection Principle”, Brett Topey, considering Roger White`s coin puzzle, suggests two interesting arguments against Joyce`s view. In this paper, however, I show that each one has a flaw, and thus that no proponents of imprecise credences would be persuaded by his arg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