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가통계자료를 활용한 국민의 경찰신뢰 결정요인 분석

        이종환 ( Lee Jong-whan ) 한국안전문화연구원 2020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3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사회통합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경찰 신뢰와 관련된 청렴성, 공정성, 안전성 변인을 활용하여 경찰 신뢰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한국사회과학자료원에서 경찰신뢰와 관련된 조사데이터를 탐색하였고 2017년도에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사회통합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기법은 주로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결론: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경찰 청렴성, 공정성, 안전성, 신뢰는 차이가 있다. 즉, 성별에 따른 안전성은 남자, 그리고 경찰 신뢰는 여자가 높다. 연령에 따른 경찰 청렴성, 공정성, 안전성, 그리고 경찰 신뢰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다. 직업에 따른 경찰 청렴성은 사무직, 경찰 공정성은 사무직, 안정성은 농림업에서 높다. 수입에 따른 경찰 청렴성은 100만원 미만, 공정성은 100-200만원, 안전성은 500-600만원, 그리고 경찰 신뢰는 100만원 미만에서 높다. 학력에 따른 경찰 청렴성은 학력이 낮을수록 높다. 안전성은 초등학교졸, 경찰 신뢰는 중졸에서 높다. 둘째, 경찰 청렴성, 공정성, 안전성은 경찰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경찰 청렴성, 공정성,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경찰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그리고 경찰 청렴성, 공정성, 안전성을 투입하면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영향력은 무의미하다. 경찰 청렴성은 경찰 신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ust of the police by utilizing the data of the survey on social integratio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using the variables of integrity, fairness, and safety related to police trust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Method: The survey data related to police trust was searched at the Korea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Data,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data of the survey on social integratio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2017. Regression analysis was mainly used for statistical techniques. Police integr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police trust. Conclusion: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police integrity, fairness, safety, and trus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male safety is high according to gender, and female confidence is high in police. Police integrity, fairness, safety, and police trust according to age increase with age. Police integrity is high in office workers, police fairness in office workers, and stability is high in agriculture and forestry. Police integrity according to income is high at less than 1 million won, fairness is 1 to 2 million won, safety is 5 to 6 million won, and police trust is high at less than 1 million won. Police integrity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is higher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is. Safety is high in elementary school graduates and police trust is high in middle school graduates. Second, police integrity, fairness, and safety affect police trust. If police integrity, fairness, and safety are not consider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 police trust, but their influence is negligible. And if police integrity, fairness, and safety are put in,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meaningless. Police integr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police trust.

      • KCI등재

        정부기관 청렴도 인식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정부기관 신뢰의 매개효과

        김소영(So Yeong Kim),정보성(Bo Sung J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2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2 No.4

        국내 경찰신뢰 영향요인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경찰활동 관련 변수(공정성, 효과성 등)에 한정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경찰은 행정안전부 소속 정부기관의 하나로, 경찰활동의 개선 또는 시민들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 개선만으로는 경찰신뢰를 제고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국외 선행연구들에서는 더 나아가 국가 단위의 변수를 활용한 비교연구를 통해 경찰신뢰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있기도 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민들의 정부기관 청렴도 인식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정부기관 신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한국행정연구원이 2021년 「거버넌스와 한국사회 신뢰수준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양적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정부기관 신뢰는 정부기관 청렴도와 경찰신뢰 사이에서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대 경찰활동 패러다임의 기초인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필수요소로서 경찰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연장선상의 경찰신뢰 제고 논의가 좀 더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국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관련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작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rust in police in Korea, we can see that most of them are limited to variables related to police activities (fairness, effectiveness, etc.). However, the police is one of the government agencies unde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improving police activities or citizens' awareness of police activities alone may not be enough to increase trust in the police. Previous overseas studies have gone further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rust in the police through comparative studies using country-level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citizens' perception of the integrity of government agencies on trust in the poli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agencies in that influence relationship. Accordingl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conducted a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llected as part of the 2021 “Study on Governance and the Level of Trust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rust in government agenci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tegrity of government agencies and trust in the police.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more broadly discuss improving trust in the police in order to elicit police cooperation as an essential element of community police activities, which is the basis of the modern police activity paradigm. Therefore, in follow-up research, related influencing factors should be explored through a review of overseas previous research, and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work to apply it domestically should be prioritized.

      • KCI등재

        시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와 협력의사의 관계에 관한 연구

        홍승표(Hong, Seung Pyo)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1

        이 연구는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와 경찰활동 협력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시민의 합리적 선택의 결과가 갖는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와 경찰활동에 대한 협력의사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합리적 선택 모델에 따른 경찰신뢰-경찰 협력 간의 조절요인에 관한 변수를 설정한 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는 경찰활동에 대한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가 높을수록 경찰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참여하려는 모습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와 경찰활동에 대한 협력의사의 관계에서 합리적 선택 요인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시민은 합리적 선택의 결과에 따라 경찰을 신뢰함에도 불구하고 경찰활동에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민은 경찰에 협력 한다면 범죄자 또는 가해자로부터 보복을 당할 가능성이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우려와 두려움을 느낄수록 경찰활동에 소극적이고 협력하지 않는 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의사를 제고하기 위해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으며, 시민이 느끼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을 경감시켜 경찰활동에 시민이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 trust in police and cooperation in police activities, and to identify the adjustment effect that the result of citizen s rational choice in the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factors affecting police trust were selected by model, and the variables concerning the adjustment factors between the cooperative spirit for police activities and the police trust-police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rational choice model were set up,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data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has been shown to affect cooperation in polic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ublic s confidence in the police, the more actively they are willing to cooperate and participate in police activities. Second, the rational choice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and their collaborators in police activities was shown to have a control effect. In other words, citizens appear to be uncooperative in police activities despite trusting the police, depending on the outcome of their rational choices. If we look at this in detail, citizens can think that if they cooperate with the police, the chances of being retaliated by criminals or perpetrators will increase, and the more they feel these concerns and fears, the more passive and uncooperative police activities will b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public trust in the police to enhance citizens willingness to cooperate in police activities, and to alleviate the fear of retaliation felt by citizens so that citizens can cooperate more actively in police activities.

      • 경찰조직의 치안서비스품질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김찬선 ( Chan Sun Kim ),강호정 ( Ho Geong Kang )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1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 No.2

        Pupose: Purpose :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police organization``s public peace service quality examines closely impact getting in police trust. Methods: Used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fter establish citizens inhabiting in Seoul by population, and example number used on interpretation finally is total 491 people, 2012. Questionnaire used in study was consisted of total 37 questions, and analytical method execu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ver.18.0.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appeared more than Cronbach``s α value .607. Conclusion: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itizens, police organization public peace quality is difference. Amenities, convenience by sex appears high in woman``s group. Public, amenities, guarantee by age are high in 30s. Quickness professionalism, amenities, accessibility appear high in middle school graduation person group in the case of attainments in scholarship, and public, guarantee is high in group more than university graduation person. If examine residential district, quickness professionalism, public, sympathy, guarantee appeared high in citizens of areas north of the Han river. Public, amenities, convenience appeared housekeeper group high in analysis by job, and guarantee appeared high in inoccupation group. If examine month police officers interview number of times, public, sympathy, systemicity, accessibility, guarantee appeared high in group which meet 4~5 times.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itizens, police trust appears difference. Police trust by residential district appears high in areas north of the Han river. Average police interview number of times per month is high police trust in group which meet 4~5 times month. Third, police organization``s public peace service quality affects in police trust. That is, police trust appears high as quickness professionalism, public, sympathy, systemicity, accessibility, guarantee service are attained well. On the other hand, police trust is low in case of convenience is not made harmoniously.

      • KCI등재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에의 영향 요인 : 절차적 공정성 인식과 경찰 효과성 인식의 중요성

        임창호(Lim, Chang Ho)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2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경찰 신뢰에 관한 도구적 모델, 표현적 모델, 규범적모델, 경찰-시민 접촉 모델에 근거하여 한국 사회의 상황에서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시민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네 가지 모델이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에 주는차별적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경찰기관이 시민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들을 개발함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 363명에 대한 설문조사를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는 규범적 모델과 관련된 절차적 공정성 인식(β= .298, p<.001), 도구적 모델과 관련된 경찰 효과성 인식(β= .229, p<.001) 및범죄피해 두려움(β= .191, p<.001)이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표현적 모델과 관련된 지역 무질서 인식과비공식적 사회통제 인식은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갖고 있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의 경우에 절차적 공정성 인식이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에대하여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고, 그 다음으로 경찰 효과성 인식이 강한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경찰기관은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찰 효과성 인식뿐만 아니라 절차적 공정성 인식을 증진시키기위한 노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o influence the public trust in the polic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based on instrumental, expressive, normative, and police-citizen contact model, and to propose the measures to improve the public trust. Analyz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four models on the extent to which those models affect public trust in the model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police agencies in developing policies to improve public trust in the poli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363 citizens residing in Seoul, South Korea. The findings revealed that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β= .298, p<.001) associated with normative model, perception of police effectiveness(β= .229, p<.001) and fear of victimization(β= .191, p<.001) associated with instrumental mode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blic trust in the police. However, local disorder perception and informal social control perception in relation to the expressive model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public trust in the police. In South Korea,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justice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public trust in the police, followed by the perception of police effectiveness. Accordingly, police agencies need to make efforts not only to increase perception of police effectiveness, but also to enhance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in order to advance the level of public trust in the police.

      • KCI등재

        남성경찰관의 여성경찰관 동료신뢰 영향요인 탐색

        권혜림(Kwon Hye Rim),주재진(Joo Jae Ji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1

        이 연구는 남성경찰관이 여성경찰관을 동료로써 인식하고 신뢰하고 있는가? 라는 다소 회의적인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신뢰는 협력에 따른 인지된 불확실성을 줄여주고, 위험을 무릅써야 하는 행동을 용이하게 하기에 위험하고 돌발적인 업무상황에 자주 노출되는 경찰의 특성상 동료간의 신뢰가 필수적이다. 동료신뢰를 저해하는 요인을 탐색함에 있어서 크게 개인관련 특성(신뢰성향, 권위에 대한 동조, 여성경찰과 근무경험), 조직관련 특성(양가적 성차별, 조직의 양성평등 정도), 그리고 여성경찰 특성(능력과 배려, 개인주의)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동료신뢰는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로 유형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녀경찰관의 신뢰향상을 위하여 여자경찰을 동료로 인식함에 있어서 저해요인 및 조직분위기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동료간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업무성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started from a question that if male police officers who takes up the majority of the organization perceive female police officers as their partners and trust them. Trust reduces the perceived uncertainty associated with collaboration, facilitates actions to take risks, and promotes cooperation and constructive attitudes. This is the reason the trust among colleagues is essential due to the nature of the police which are often exposed to dangerous and unexpected situations during their tasks. In other words, if the trust between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is not assured as a colleague, it will have a negative influence not only on the individual members but also on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hibit peer trust,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personal tendency to trust, accordance with authority, previous work experience with female polic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mbiguous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 degree of gender equality in the organization) and female police characteristics(ability and consideration, individualism). Also, peer trust is divided into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examined the factors of inhibition and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atmosphere in recognizing female officers as colleagues to improve the trust between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and looking for a practical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work performance based on mutual trust among colleague officers.

      • KCI등재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박시영,최응렬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4 치안정책연구 Vol.38 No.1

        오늘날 경찰정당성의 개념화에 대한 합의가 부재하다. 심리학적 접근법(Psychological Approach)이라 불리는 전통적인 접근법에서는 경찰신뢰를 통해 경찰정당성을 측정한다. 반면 정치학적 접근법(Political Science Approach)에서는 신뢰와 정당성을 별개의 개념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사회에서 들어온 개념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찰정당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려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은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성인남녀 539명을 대상으로 주관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시민들은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경찰정당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공정한 수사”, “정당한 법집행”, “범죄억제”, “합법성”, “시민보호” 토픽명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경찰신뢰의 경우 “시민보호”, “시민보호”, “공정한 수사”, “청렴성”, “공권력 신뢰” 토픽명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민들이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를 다양한 시각에서 이해하고 있음을 지지한다. 연구결과 시민들은 대체적으로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를 다른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었다. Nowadays,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conceptualization of police legitimacy. The traditional approach, called the psychological approach (Tylerian method), measures police legitimacy through trust in the police.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al science approach distinguishes trust and legitimacy as separate concepts. However, this discussion does not include consideration of how the Korean people understand the legitimacy of the police, as it is a concept introduced from Western society,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perceptions of police legitimacy and trust in the police among adult men and women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bjective survey was conducted on 539 adult men and women. Through LDA topic modeling analysis, we confirmed how citizens define police legitimacy and trust in the pol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topic names “fair investigation,” “legitimate law enforcement,” “crime suppression,” “legitimacy,” and “citizen protection” from perceptions of police legitimacy. In the case of trust in the police, the topic names “Citizen Protection”, “Citizen Protection”, “Fair Investigation”, “Integrity”, and “Trust in Public Power” were derived. These research results support that citizens understand police legitimacy and trust in the police from various perspectiv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d a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method for police legitimacy.

      • KCI등재

        경찰에 대한 청소년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창호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도구적 모델, 표현적 모델, 규범적 모델의 관점에서 경찰에 대한 청소년의 신뢰에의 영향 요인들을 분석한 후 경찰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론적ㆍ정책적 함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를 통해서, 현재의 경찰 신뢰 수준뿐만 아니라 향후 경찰 신뢰 수준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주로 도구적 모델 및 표현적 모델과 경찰 신뢰 간의 관계를 조사했지만, 이 연구는 규범적 모델까지 포함하여 경찰 신뢰에의 영향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경찰 신뢰를 종속변수로 하고, 범죄피해 두려움, 지역 무질서, 경찰 효과성, 사회적 유대감, 비공식적 사회통제, 절차적 공정성, 통제변수인 성별(더미)와 학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절차적 공정성(β=.383, p<.001), 비공식적 사회통제(β=.210, p<.001), 경찰 효과성(β=.204, p<.001)이 경찰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찰에 대한 청소년의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찰은 절차적 공정성 인식을 향상시키고, 비공식적 사회통제를 강화하고, 경찰 효과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fter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trust in police in terms of instrumental model, expressive model, and normative models.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we surveyed students of high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N=283).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are police effectiveness, fear of crime, social cohesion, informal social control, community disorder, and procedural fairness. And, the control variables are gender and school year,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adolescents’ trust in police. Through survey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it will be possible to predict not only the present level of police trust but also the future level of police trust. The previous studies mainly examined the only relationship between instrumental models and expressive models and police trust, but this study has the very important value as it treated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e trust including normative model.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procedural fairness(β=.383, p<.001), informal social control(β =.210, p <.001), and police effectiveness(β=.204, p<.001). Therefore, police managers need to enhance procedural fairness, increase police effectiveness, and strengthen informal social control in order to improve adolescents’ trust in police.

      • KCI등재

        개인적 요인 및 경찰 청렴성·경찰 공정성·경찰서비스 만족도가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심형인 ( Hyungin Sh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개인적 요인과 경찰조직에 대한 인식이 경찰신뢰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난 1년간 경찰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19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남녀 516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심리적 요인, 경찰조직에 대한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령과 가구소득에서 집단 간 경찰신뢰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경찰조직에 대한 인식을 변수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사회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 경찰 청렴성・경찰 공정성・경찰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인식이 경찰신뢰에 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찰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개인적 차원과 경찰조직에 대한 인식차원으로 구분하여 그 정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가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and perception of the police organization on the police trust. Surveys about population statistics,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and police organization are performed for 516 persons between the ages of 19 and 69 who experienced police service in last 1-year. It is foun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olice trust are captured in the different groups of the age and family income. The hierarchical analysis for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perception of the police organization presented that the police trust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 cognition of the social safety, police integrity, police fairness, and police service satisfaction. It is meaningful in terms of empirical verification that the individual population statistics characteristics,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perception of the police organization are all related to the police trust whereas individual factors are not much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 KCI등재

        성별에 따른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단계적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전준하,정보성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3

        This study separated male and female samples from 539 citizens living in Seoul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increasing police trust among instrumental, expressive, and fairness factors, and compared gender-based influencing factors. First, the variable that best predicts the increase in police trust in both men and women was found to be an police effectiveness. This means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police trust is police effectiveness for both men and women. Second, procedural fairness and lawfulness,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police trust after police effectiveness in both men and women, have been verified.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regarding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e trust is that men's social cohension and women's informal control have been verified as factors that explain the increase in police tru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derived more specific analysis results by explori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enhancing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