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Possibility of Utilizing Digital Traces for Enhancing Emotional Values of Digital Artifacts

        Moon-Hwan Lee,Tek-Jin Nam 한국디자인학회 2016 디자인학연구 Vol.29 No.2

        Background In the field of art, artists and designers often deliberately utilize material traces, called patinas, as a design resource for increasing the emotional value of an object regarding its aesthetic appearance, historicity, and authenticity. Meanwhile, besides analog objects, we encounter and possess several digital artifacts that generate digital traces. Then, can designers borrow the concept of patinas and utilize digital traces for enhancing the emotional value of digital artifacts? Methods We conducted guided tour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22 participants at their homes. We gathered the participants’ stories with their analog artifacts, digital devices and digital contents to explore the emotional impacts of traces on the possessions. Results We analyzed how and what kinds of traces are generated in the artifacts and compared the emotional impacts of material traces and digital traces on the artifacts. The impacts were classified into aesthetic appearance, historicity, and authenticit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e discussed design opportunitie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designing digital artifacts that improve with digital traces. Conclusions As an early attempt to explore issues of making emotionally valuable digital artifacts via digital trac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at kinds of material and digital traces are constructed and how the traces affect emotional value. This paper makes a contribution by exploring ways of using digital traces as a design resource in the digital domain.

      • KCI등재

        2D 메타버스 아바타 트레이싱의 학습역량 제고 효과의 실험

        김민혁(Min-hyeok Gim),한영애(Young-ae Hahn)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9 No.4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2D metaverse avatar navigation for tracing-based learning.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lesson comparing three loan repayment schedules by tracing/reading bar graphs; the lesson is presented in four conditions differing in information length (‘Short/Long’) and learning method (‘Tracing/Reading’).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learning conditions, then completed a questionnaire measuring the effects of tracing in improving comprehension scores and reducing extraneous cognitive load; later they tried both tracing and reading to choose their preferred method and to comment on why. Comprehe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hort-Tracing group where participants solved transfer questions requiring higher cognitive effort. However, the cognitive load of the Short-Trac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hort-Reading group and as high as that of the Long-Tracing group. Avatar tracing was preferred for interestingness in both the Short and Long groups, but only preferred for comprehensibility in the Short group.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ho preferred tracing to reading for all aspects of comprehensibility, engagement, and interesting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hort group, suggest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avatar tracing is influenced by the length of information and the difficulty of the test. Participants commented that avatar tracing supported comprehension through • sensorimotor experience, • embodied learning leading to better memory, • improved visual attention; engagement through •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 through its novelty. However, the keyboard operation of avatar tracing was too tedious if the shape to be traced was too complicated and long. The findings suggest that avatar tracing-based learning has the potential to engage learners and help them understand better if the lesson is designed with length and complexity in mind.

      • KCI등재

        안교환(安敎煥)의 한글본 《성적진상도(聖蹟眞像圖)》 연구

        조정육(Cho Cheungyook)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안교환(安敎煥, 1871-1942)은 1937년에 공자의 생애를 100장면으로 그린 《성적진상도(聖蹟眞像圖)》를 완성했다. 《성적진상도》는 한문이 적힌 성적도(聖蹟圖)의 각 장면에 한글로 된 설명문을 첨부하여 한문독해가 어려운 일반인과 학생들로 하여금 공자의 가르침과 생애에 더욱 쉽게 다가설 수 있는 문을 열어 놓았다. 한글본 《성적진상도》의 제작은 안교환이 조선유교회(朝鮮儒敎會)를 조직해 유교의 종교화운동을 전개한 것과, 녹동서원(鹿洞書院)을 설립해 침체된 민족정신을 바로 세우고자 했던 유교개혁운동과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성적진상도》는 조선유교회의 기관지인 『일월시보(日月時報)』를 통해 한 장면씩 소개되다가 『일월시보』가 폐간된 후에는 책으로 발간되었다. 《성적진상도》는 공재헌(孔在憲)이 1904년에 제작한 목각인쇄본 《공부자성적도(孔夫子聖蹟圖)》(105도)를 저본(底本)으로 삼았으며, 원본에 제(題)나 찬(讚)이 빠진 7도에서 〈망오문마(望吳門馬)〉와 〈한고사노(漢高祀魯)〉를 제외한 5도를 삭제하고 100도로 압축했다. 100도로 제작된 공자성적도(孔子聖蹟圖)는 한중일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성적진상도》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원본으로 삼은 《공부자성적도》에서 제나 찬이 빠진 7도 중 〈망오문마〉와 〈한고사노〉만 선택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며, 《공부자성적도》에는 없던 제와 찬을 보충해서 넣은 것을 보면 《성적진상도》를 제작하면서 다른 판본의 공자성적도를 참고했음을 알 수 있다. 《성적진상도》는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대부분의 공자성적도가 공재헌의 《공부자성적도》를 저본으로 하였다는 사실과 함께, 일제의 민족 탄압이 정점에 이른 1930년대에 새롭게 변모된 유교의 대중화운동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본 《성적진상도》의 제작 배경과 함께 작품분석 및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Ahn Gyohwan(安敎煥, 1871-1942) painted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聖蹟眞像圖) in 1937 which included the life of Confucius with 100 memorable scenes of his lifetime.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paved the way for students and uneducated difficult to understand Chinese to Confucius’ teaching and life. Ahn Gyohwan did Religious Movements of Confucianism with Choseon Confucianism Assembly(朝鮮儒敎會) organized and tried to revive national spiri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establishing Rokdong Academic School(鹿洞書院) himself. He produced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only to pursue the goal. Each piece of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was introduced in each issuance of periodical(日月時報) published by Choseon Confucianism Assembly until the financial burden emerged for the Organization to keep running. Choseon Confucianism Assembly published book to promote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was made based on a wood-block printed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Master Kong(孔夫子聖蹟圖) which Kong Jaeheon(孔在憲) produced with 105 episodes of Confucius’ life in 1904.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was shortened to 100 episodes of pictures from the original(底本) 105 excluding 5 episodes that did not have either character title(題) or brief commentary(讚) with the exception of Looking at a horse at the gate of Wu(望吳門馬) and Emperor Kao of the Han Dynasty sacrifices at Lu(漢高祀魯).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is the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 made with 100 scenes cannot be seen in China and Japan. There is no clear explanation of how Looking at a horse at the gate of Wu(望吳門馬) and Emperor Kao of the Han Dynasty sacrifices at Lu(漢高祀魯) were chosen into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In light of the fact that when painting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supplementing character title(題) and brief commentary(讚)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Master Kong(孔夫子聖蹟圖), it seems that he used other versions of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 The study looks into motives and meanings of Korean version of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 흔적의 본질

        고승연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2 陶藝硏究 Vol.- No.31

        본 연구는 흙에 대한 작업이 대지와 삶에 대한 열정의 태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담은 논고이다. 우리의 행동은 연쇄 작용과 같이 계속해서 다른 움직임을 낳는다. 삶은 직선적인 시간에서 앞으로 나아가기보단 밤, 낮 안에서 행동의 주기를 반복하고 있는 것에 더 가까울 것이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계속 이루어지는 행동에 대해서는 민감도가 떨어지기 쉽다. 하지만 우리가 몸으로 하는 아주 사소한 행동일지라도 땅 위에는 압력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행동의 흔적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 해서 정말로 그 행동이 사라진 것인지 단언할 수는 없다. 연구자는 살면서 계속해서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이루거나 혹은 목표한 일을 마칠 때마다 매 번 강하게 밀려오는 회의감으로 인해 오랜 시간 무력감을 느껴왔다. 하지만 물성으로 가득한 세계에서 몸을 움직이는 한 모든 행적이 남을 수 있다는 사실은 삶에 대해 의욕을 잃었던 연구자에게 다시 움직이도록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연구자는 행위의 흔적에 대해 탐구하여 목적만을 향한 미래적인 사고를 지양하고 삶에 대한 회의감에서 벗어나 행동에 대한 건강한 활력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행동 및 운동의 흔적이 실재로서 표현이 가능한 배경을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의 지속(durée)의 개념과 함께 살펴보았다. 베르그손은 현상들이 의식과 동시에 나타나고 사라지지만 이것은 지속이 없는 어떤 실재 공간에 있다고 말한다. 베르그손의 시공간 속 지속을 통하여 우리의 행위를 중심으로 세계를 흔적이 그려지는 공간으로 인식해보고자 한다. 신체의 운동이 세계에 발현되고 흔적이 남는 것을 앞서 밝힌 후 흔적을 가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물질로 흙을 다루고자 한다. 흙은 세계와 신체를 이루어주는 근원적인 물질이 되어주고 연구자가 흙에 자국을 내는 것은 곧 세계에 자국을 내는 의미가 된다. 이어 그리스 사상에 대해 살펴보고 그리스 철학에 기저하는 현세에 대한 존중과 열정은 연구자에게 흙과 흔적에 관한 작업의 의미가 삶에 대한 태도로 확장되어 나타나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스치는 찰나와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현재에 대한 흔적을 도자 작업으로 제시한다. 연구자에게 도자 작업은 흙이라는 물성에 자국과 흔적을 이용하여 일종의 기록과 창조 행위의 시간을 담은 작업이다. 도자기에 쌓이는 날 것의 흔적과 그것에 대한 의도적인 드러냄은 자신의 행위를 현재의 시간에서 의식하게 하고 올바르게 긍정할 수 있는 동기가 되었다. 행위의 흔적은 현재를 몰입하여 살아내는 것이 이 삶을 향한 지속적인 열정임을 보여준 점에 본고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describes how artwork us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soils leads to a stronger passion for the earth and life. Our behaviors have domino effects, triggering subsequent consequences. Living life is more like repeating behavioral patterns day and night rather than moving forward in a linear timeline, which is why we tend to be less sensitive to repetitive acts. However, even a simple body movement puts pressure on earth. Thus it cannot be asserted that behavior that does not leave a visible trace has disappeared. The strong skepticism gives the researcher feeling of powerless after achieving the goals. But the fact that any movement of our body leaves a trace in the world full of matters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our lives. The researcher sought to ditch the purpose- and future-oriented mindset and skepticism and gain positive energy by studying the behavioral trace. To that end, she looked into the background where traces of activity or body movement can be expressed in reality based on Henri Bergson (1859-1941)’s continuity theory. He says that a phenomenon appears as we become conscious about it and then disappears, but it exists in a place without continuity. In this study, it will be explored to perceive this world, focusing on our body, as a space of traces based on his spatiotemporal continuity. First of all, it shows how body movement is manifested in the world with a trace by using clay made from natural materials to represent it. Earth is a fundamental matter that links the world and the body. Leaving a trace behind on a clay equals leaving a trace in the world. In the study, the researcher presents ceramic work as a means of expressing a trace of passing moments and a constant continuation of the present. It means to record the present while making a creation by using traces on earth. Raw traces accumulated on the ceramics and their explicit expression make us more mindful of our present behavior and have positive thin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howing that focusing on the present by using behavioral traces means a continued passion for our life.

      • KCI등재

        SIP 프레즌스 모델 기반 센서 태그의 상태이력 추적

        김동욱(Dong-uk Kim),홍진표(Jin-pyo Hong)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6 No.3

        RFID객체 이력추적기술은 EPCglobal에서 제안하는 Discovery Service를 중심으로 다수의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객체의 상태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객체의 이력정보를 특정 서버에서 취합하여 관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객체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델이 필요하며 RFID 객체의 URL을 나타낼 수 있는 식별자 역시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SIP 이벤트 통지 및 프레즌스 모델을 활용하여 RFID 객체의 상태정보를 Track & Trace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의 URL을 얻기 위해서 기존 ONS를 그대로 활용하되 성능저하가 없도록 하여 backward-Compatibility를 충족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렇게 얻어진 URL을 이용하여 RFID 객체 혹은 객체의 상태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하여 객체관리를 위해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였다. SIP 메시지 조합을 통해 객체의 이력정보를 얻을 때 DS와 같은 추가적 요소 없이도 객체의 Track & Trace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 방식을 활용하여 지금까지와는 달리 분산취합구조를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상세이력정보 및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EPC-Discovery Service (EPC-DS) is a good representative of the RFID Track & Trace. But this mechanism has several problems. EPC-DS uses centralized server scheme which may arise bottle-neck state and that cannot provide detail trace information of a RFID object. In addition, a trace node requires direct access method to a RFID object or an element which has information of the RFID object for Track & Tra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RFID Track & Trace mechanism which based on the SIP presence model and SIP event notification. This mechanism can provide detail trace information and monitoring function, and also can rid the bottle-neck section by combination of SIP methods instead of centralized element.

      • KCI등재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나타난 흔적의 시학 –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신정아,최용호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5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91 No.-

        이 논문은 아니 에르노의 실험적 작품인 『사진의 용도』에 나타난 글쓰기의 기획이 하나의 시학을 포함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이러한 시학을 ‘흔적의 시학’이라 명명하고, 이를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 이론과 비교함으로써 그 작동 원리를 탐구하고자 한다. 흔적의 시학은 행위의 흔적에서 시작해서 사진이라는 흔적-이미지와 글이라는 흔적-언어를 거쳐 최종적으로 독자의 마음속에서 생산되는 흔적-효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와 다르게 아니 에르노의 흔적의 미메시스에서는 ‘구조적 형상화(configuration)’라는 뮈토스의 매개가 작동하지 않는다. 흔적의 움직임은 하나의 종합으로 귀결되지 않으며, 전형상화에서 형상화와 재형상화를 거쳐 전이-형상화로 이어지는 지속적인 움직임을 선보인다. 이러한 흔적의 용도는 흔적이 가리키는 것을 말할 수 없고 알 수 없고 재현할 수 없는 무엇으로 만듦으로써 이로부터 끊임없이 글쓰기의 욕망을 태어나게 하는 데 있다. Cette étude part du principe que le projet d’écriture dans l’œuvre expérimentale L’Usage de la photo d’Annie Ernaux et Marc Marie inclut une poétique spécifique. Nous désignons cette poétique sous le terme de “poétique des traces” et proposons d’en explorer le fonctionnement à travers une comparaison avec la théorie de la triple mimésis de Paul Ricœur. La poétique des traces se structure autour d’un processus qui débute par la trace de l’action, passe par la trace-image de la photographie et la trace-langage de l’écriture, pour culminer avec la trace-effet produite dans l’esprit du lecteur. À la différence de la triple mimésis de Ricœur, la mimésis des traces chez Annie Ernaux ne fait pas intervenir la configuration, qui joue un rô̂le de médiation. Le mouvement des traces ne se résume pas à une synthèse ; il suit un parcours allant de la préfiguration à la trans-figuration, en passant par la figuration et la refiguration. L’usage des traces consiste à faire naître le désir d’écriture tout en laissant dans l’indicible, l’inconnaissable et l’irreprésentable ce qui est désigné par les traces.

      • KCI등재

        곤충 발자국 패턴 인식을 위한 Trace Transform 기반의 특징값 추출

        신복숙,조경원,차의영,Shin, Bok-Suk,Cho, Kyoung-Won,Cha, Eui-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6

        이 논문에서는 곤충 발자국의 패턴을 인식하기 위해, 인식의 기본 단위인 세그먼트를 자동 추출하는 기법과 Trace transform을 이용하여 발자국 인식에 필요한 특징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Trace transform 방법을 이용하면 패턴의 이동, 회전, 반사에 불변하는 특징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 값들은 곤충 발자국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는 패턴을 인식하는 데에 적합하다. 특징 값을 도출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는 추출된 세그먼트에 대한 Trace transform을 통해 새로운 Trace 이미지를 생성시킨다. 그런 다음, 병렬로 표현되는 trace-line을 따라 특성 함수에 의해 특징들이 일차적으로 도출되고, 또 다시 도출된 특징들은 diametric, circus 단계의 함수를 거치면서 새로운 특징값으로 재구성된다. 2가지 서로 다른 곤충의 발자국 패턴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곤충 발자국의 이동, 회전, 반사에 관계없이 인식에 적합한 특징 값들이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 process of insect foot recognition, footprint segments as basic areas for recognition need to be extracted from scanned insect footprints and appropriate features should be found from the footprint segments in order to discriminate kinds of insect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atures are important to classify ins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methods for automatic footprint segmentation and feature extraction. We use a Trace transform method in order to find out appropriate features from the extracted segments by the above methods. The Trace transform method builds a new type of data structure from the segmented images by functions using parallel trace lines and the new type of data structure has characteristics invariant to translation, rotation and reflection of images. This data structure is converted to Triple features by Diametric and Circus functions, and the Triple features are used for discriminating patterns of insect footprints.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 Triple features found by the proposed methods are enough distinguishable and appropriate for classifying kinds of insects.

      • KCI등재

        Enhancing the Efficiency of Stray-light Analysis Using the Corner-departure Backward Ray-tracing Method

        홍덕기,연하늘,이찬,이준호,박광우 한국광학회 2025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9 No.1

        Various methods are used to verify stray light, with most relying on ray tracing. Accurate straylight analysis typically requires a large number of rays, resulting in significant time and computational demands.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aimed to reduce analysis time, challenges persist. This paper introduces the corner-departure backward ray-tracing method, an efficient approach within nonsequential ray-tracing techniques. In backward ray tracing, rays are traced from the detector back toward potential stray-light sources, enabling critical-path identification and effective elimination. Unlike conventional methods that uniformly trace rays across the detector, the corner-departure method selectively traces rays from critical points, such as the detector’s corner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rays required while maintaining accuracy. This approach is validated using a long-wavelength-infrared (LWIR)airborne payload in the 7.4–9.4 μm range, reducing analysis time by a factor of 26 while identifying all11 critical paths as effectively as a conventional method.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more efficient and computationally feasible stray-light analysis.

      • 집합의 갯수 및 서브 블럭 크기가 서로 다른 Direct-Mapped 섹터 캐시 메모리의 실패율을 구하기 위한 Trace-Driven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박동규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1995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 No.1

        In this paper, a trace driven simulation algorithm is proposed to evaluate the miss ratios of the various direct-mapped sector cache memories, which have different number of sets and sub-block sizes, with a single pass through an address trace. The miss ratio of the direct-mapped sector cache memory is dependent on how many number of sets the sector cache memory is composed of.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hat the performances of the various derect-mapped sector cache configurations which have different number of sets and sub-block sizes, are evaluated. Trace-driven simulaton is usually used as a metho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ache memories, but it spends a lot of simulation time for simulating the various cache configurations with a long address trace. The proposed algorithm shortens the simulation time b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various direct-mapped sector cache configurations, which have different number of sets and sub-block sizes, with a single pass through an adress trace.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un times of the proposed simulation algorithm can be considerably reduced than shose of existing simulation algorithm, when the proposed algorithm is implemented in C language and the address traces obtained from the various sample programs are used as an input of trace-driven simulation.

      • KCI등재

        개착면 내부에서의 절리분포 예측을 통한 사면 해석

        조태진(Taechin Cho),이창섭(Chang-Sup Lee),정진호(Jin-Ho Chung) 한국암반공학회 2004 터널과지하공간 Vol.14 No.6

        시추공에서 관찰된 절리면의 방향성과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개착면에서의 trace 분포를 예측하는 대수학적 기법을 개발하였다. 절리 trace예측은 절리면과 투영면의 3차원 평면식을 활용하여 대수학적으로 수행되며, 개별 불연속면의 영속성을 고려하여 투영 영역 내에서 trace가 표출되는 범위가 산정된다. 절리 예측기법을 활용하여 슬럼핑 현상에 의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김해 내삼사면의 안정성 및 보강 계획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DOM 시추작업을 수행하여 암반구조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사면 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절리들을 추출하여 심도별 지반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사면보강을 위하여 계획된 앵커 정착부에서의 절리분포 및 거동양상을 분석하고 앵커 보강의 효율성을 고찰하였다. An algebraic algorithm for predicting the joint trace distribution on the cut-face of rock slope based on the orientations and the locations of joints investigated in the borehole has been developed. Joint trace prediction is manipulated by utilizing the three dimensional plane equations of both joint planes and projection face, and the extent of trace within the projection area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persistence of each joint plane. Joint trace prediction method is efficiently applied for analyzing the stability and the adequacy of support design of Gimhae Naesam cut-slope, which is structurally unstable due to slump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ock mass is investigated by performing DOM drilling and the potential rock mass sliding inside slope face is analyzed by examining the orientations of joint planes which can induce the slope failure. Also, the efficiency of anchor support design is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joint trace distribution on the anchor installation area and its sliding pot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