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오정희 소설 「완구점 여인」에 구현된 토포포비아

        김민옥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topophobia in Oh Jeong hee’s novel, "The Toy Store Woman,"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topophobia is embodied in the novel. 'House (room)' is depicted as a place where the grave is transformed, where the death of the younger brother forms a trauma for the protagonist, and where death is represented through narratives such as 'dark, sullen, dying'. The setting that the sunlight, which symbolizes life, stays only on the veranda, the room that is blocked from the sunlight despite being on the second floor, the black piano that has lost its function, and the fact that all the children born die before they turn to stone reveal that the space of the house (room) is a place of topophobia. The empty classroom, a place of straight lines and order, and the vertically ordered desks emphasize the static silence. This creates topophobia by evoking the image of a tomb, and the protagonist's theft, which takes place in this space, is depicted in a way that maximizes anxiety and fear. Furthermore, in the hallway,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lassroom, the protagonist exhibits bodily changes such as "lying down, excreting, spitting, making sounds, enlarging, and smelling," which is a manifestation of topophobia through the physical senses. The toy store, a place of disfigurement and lifelessness, is represented through the descriptions of ashen, severed, dark, pale, and lean. The woman with the legless stump and the legless body reinforces the protagonist's topophobia by implying the image of lifelessness and disability. The toy store functions as a place of topophobia that reveals the protagonist's self-loathing and tragic perception of existence because of its similarity to the dark room where the crippled brother stays, a house where life is disappearing, a place of lifelessness filled with things that cannot move, and a place where the crippled character stays. Through the topophobia of the place where the protagonist stays in the novel, Oh Jeong hee’s reveals the theme of tragic perception of existence, which becomes the source of broadening the spectrum of hers novels. 본고의 목적은 오정희의 소설 「완구점 여인」에 구현된 토포포비아의 양상이 어떤 방식으로 드러났는지 그 특성을 살펴 오정희 소설의 작가 의식을 파악하는 데 있다. ‘집(방)’은 무덤이 변주된 장소로, 남동생의 죽음이 주인공에게 트라우마를 형성하고, ‘어둡고, 침침하고, 죽어 가고’와 같은 서술을 통해 죽음을 형상화하는 장소로 그려진다. 생명성을 상징하는 햇빛이 베란다에만 머문다는 설정, 이층임에도 불구하고 햇빛이 차단된 방안, 제 기능을 상실한 검은색 피아노, 태어나는 아이들이 모두 돌이 되기도 전에 죽는다는 것은 집(방)의 공간이 토포포비아의 장소임을 드러낸다. 직선과 질서의 장소인 텅 빈 교실, 세로로 질서정연하게 놓인 책상은 정적인 고요함을 강조한다. 이는 무덤 이미지를 연상시키면서 토포포비아를 형성하고, 이 장소에서 펼쳐지는 주인공의 도둑질은 불안과 공포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또한 교실의 연장선상에 놓인 복도에서 주인공은 ‘눕고, 배설하고, 뱉고, 소리를 내고, 비대해지고, 냄새를 풍기는’ 등 신체적 변화를 나타내는데, 이는 토포포비아의 양상이 신체적 감각을 통해 드러난 것이다. 불구와 무생명성의 장소인 완구점은 ‘잿빛, 잘린, 어둠, 창백한, 여윈’이라는 언술과 연결되어 형상화되고 있다. 다리가 없는 오뚝이, 다리가 없는 몸뚱이를 지닌 여인은 무생명성, 불구의 이미지를 내포하면서 주인공의 토포포비아를 강화한다. 완구점은 불구의 몸을 지닌 동생이 머물던 어두운 방, 생명들이 사라져 가는 집과 유사성을 내포하고 있다는점, 움직이지 못하는 것들로 가득 찬 무생명성의 장소이자 불구의 몸으로 살아가는 인물이머무는 곳이라는 점에서 주인공의 자기 혐오와 비극적 존재 인식을 드러내는 토포포비아의 장소로 기능함을 알 수 있다. 오정희는 소설 속 주인공이 머무는 장소에 대한 토포포비아를 통해 존재에 대한 비극적 인식이라는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는 이후 오정희 소설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근원이 된다.

      • KCI등재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 유형과 대북 NGO 특성 장소심리학적 접근

        오인혜 한국공간환경학회 2014 공간과 사회 Vol.24 No.4

        This study 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lace-based psychology and aims atunderstanding the links of Korean-American’s sense of place and their preferredactivities in North Korea. The Korean-American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of Pyongyang General Hospital, Pyongy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actively engaged in human rights movement in North Korea, and preparing to proposethe North Kore Orphans Adoption Law to the Congress. The sense of placetoward North Korea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f Korean American’sviewpoint of North Korea; ethnic topophilia, ethnic topophobia, other topophilia,other topophobia.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NGO activities in view of theirsense of place and intense experiences in North Korea. It is found that ‘the ethnictopophilia group’ concentrates on various exchange programs and official aid activitiesgeared to unification, while ‘the other topophilia group’ is more for internationalaids and USA-North Korea exchanges seeing North Korea as a less-developed countryor a country of extreme poverty, ‘the ethnic topophobia group’ helping NorthKorean defectors and non-official aids activities, and ‘the other topophobia group’indifferent, sympathize with the hawkish attitude of the mainstream Americans supportingputting pressure on North Korea. 본 연구는 장소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재미교포가 형성하고 있는 북한에 대한장소감을 유형화하고 대북 태도 및 활동과의 연계를 밝히고자 했다. 재미교포들은 평양종합병원, 평양과학기술대학 등을 설립하는데 기여했으며 인권 운동과 더불어 미국 의회에 탈북고아입양법안을 추진하는 등 북한과 관련한 다양한 활동을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을 토포필리아와토포포비아, 민족과 타자라는 두 축을 기준으로 민족적 장소애, 타자적 장소애,민족적 장소공포감, 타자적 장소공포감으로 유형화했다. 민족적 장소애는 통일을위한 각종 교류 활동과 공식적 지원활동, 타자적 장소애는 북한을 저개발국가나극빈지역으로 바라보는 국제원조 및 미·북 교류 중심의 활동, 민족적 장소공포감은 탈북지원과 비공식적 북한 지원 활동, 타자적 장소공포감은 무관심과 회피 혹은 미국 주류사회의 매파적 시각과 동일한 대북 압박적 행동과 연계된다고 할 수있다.

      • KCI등재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 유형과 대북 NGO 특성

        오인혜(Oh In Hye) 한국공간환경학회 2014 공간과 사회 Vol.24 No.4

        본 연구는 장소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재미교포가 형성하고 있는 북한에 대한 장소감을 유형화하고 대북 태도 및 활동과의 연계를 밝히고자 했다. 재미교포들은 평양종합병원, 평양과학기술대학 등을 설립하는데 기여했으며 인권 운동과 더불어 미국 의회에 탈북고아입양법안을 추진하는 등 북한과 관련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을 토포필리아와 토포포비아, 민족과 타자라는 두 축을 기준으로 민족적 장소애, 타자적 장소애, 민족적 장소공포감, 타자적 장소공포감으로 유형화했다. 민족적 장소애는 통일을 위한 각종 교류 활동과 공식적 지원활동, 타자적 장소애는 북한을 저개발국가나 극빈지역으로 바라보는 국제원조 및 미ㆍ북 교류 중심의 활동, 민족적 장소공포감은 탈북지원과 비공식적 북한 지원 활동, 타자적 장소공포감은 무관심과 회피 혹은 미국 주류사회의 매파적 시각과 동일한 대북 압박적 행동과 연계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lace-based psychology and aims at understanding the links of Korean-American's sense of place and their preferred activities in North Korea. The Korean-American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Pyongyang General Hospital, Pyongy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ctively engaged in human rights movement in North Korea, and preparing to pro-pose the North Kore Orphans Adoption Law to the Congress. The sense of place toward North Korea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f Korean American's viewpoint of North Korea; ethnic topophilia, ethnic topophobia, other topophilia, other topophobia.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NGO activities in view of their sense of place and intense experiences in North Korea. It is found that 'the ethnic topophilia group' concentrates on various exchange programs and official aid activ-ities geared to unification, while 'the other topophilia group' is more for international aids and USA-North Korea exchanges seeing North Korea as a less-developed coun-try or a country of extreme poverty, 'the ethnic topophobia group' helpi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non-official aids activities, and 'the other topophobia group' indifferent, sympathize with the hawkish attitude of the mainstream Americans sup-porting putting pressure on North Korea.

      • 1970년대 한국사회에 나타나는 고향에 대한 토포포비아 연구: 김원일과 황석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박세희 ( Se Hee Park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3 地理敎育論集 Vol.57 No.-

        인간은 고향에 대해서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동시에 느낀다. 1970년대 한국사회에서는 전쟁과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해 고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다. 그리고 고향에 대한 양가적인 감정들이 만연하였다. 특히 고향에 대한 토포포비아는 당시의 여러 소설에 반영되어있다. 김원일의 소설에는 전쟁의 트라우마와 고향의 가난, 모성의 결핍으로 인해서 형성되는 고향에의 토포포비아가 나타난다. 한편 황석영의 소설에는 노스탤지어와 뿌리없음으로 인해서 생기는 고향에의 토포포비아가 나타난다. Humans have not only positive emotion but also negative emotion to their hometowns. In the 1970s` Korean society, there were so many discussions of hometowns because of Korean War and industrialization. And the ambivalent sentiments to hometowns frequently appeared. Especially, topophobia to hometown was reflected in the 1970s` novels. In Kim Won-il`s novels, there are topophobia to hometown formed by war trauma, poverty in hometown and lack of maternal instinct. Meanwhile, in Hwang Seokyoung`s novels, there are topophobia to hometown builded by nostalgia and rootlessness.

      • KCI등재

        기형도 시의 근대성에 갇힌 ‘빈 장소’의 토포포비아 연구

        송지선(Song, Ji-seo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89 No.-

        기형도는 부지불식간에 잠식한 근대성이 우리의 삶에 공포, 불안, 우울을 형성하고 있음을 ‘빈 장소’에서 목도한다. 그는 아무것도 없는 장소 혹은 장소라고 할 수 없는 공백의 차원에서 다른 이들의 눈에는 포착되지 않는 어떤 의미를 탐색한다. 기형도 시의 공간 연구는 공간에서 장소로, 장소에서 무장소로 나아가는 현실의 공간적 의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기형도의 전체 시세계에서 안식처로서의 긍정적인 장소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기존 기형도 시의 공간 연구가 무장소, 토포포비아라는 의미에 접근하지 못하는 것은 그동안 문학 연구에서 공간이나 장소에 어떤 긍정성이나 중립성을 부여하려는 문학 비평의 클리셰 때문이다. 현대시의 공간 해석은 장소 너머의 다른 장소들 및 사회적 과정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초점이 모아질 필요가 있다. 기형도의 작품에서 ‘빈 장소’는 분명 일상적인 장소로 사람의 삶이 축적된 장소이나 그곳은 사람을 반기지 않고 소외감을 준다. 장소에 대한 이러한 경험적 실재는 기형도의 시적 응시로 변형되어 사실적 허구인 토포포비아로 재현된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안개’, ‘구름’, ‘공기, ’눈‘ 등은 유동적이고 모호한 상태의 유체들이다. 이러한 유체들은 끊임없이 형태상으로 변화하며 장소를 초월한 흐름을 형성한다. 그것은 다기공(多氣孔)의 현실인 ’빈 장소‘를 자유롭게 오가며, ’빈 장소‘의 의미에 따라 그것들의 의미도 수시로 바뀐다. 유체에 대응되는 ‘딱딱한’ 고체성을 가진 대상들은 산업 자본주의와 함께 출연한 근대성의 본질과 모순, 근대성의 견고한 현실 장악력을 은유한다. 근대의 고체성이 견고해지면 인간의 삶에서 토포포비아가 형성된다. 기형도의 시에서 ‘떠돌이’는 근대적 사회의 부적응자로, 정해진 거처가 없는 타향적 실존자를 말한다. 그는 ‘떠돌이’의 사회적 소외감을 ‘빈 장소’를 통해 보여주는데, 인간의 소외는 장소로부터 소외와 결부된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재현한 것이다. ‘떠돌이’와 관련된 일상의 사건들은 그에 대한 시인의 타자적 응시로 ‘빈 장소’의 불모성은 심화된다. 본 연구는 기형도 시의 ‘빈 장소’를 통해 근대의 부정적 세계를 들여다 보고, 기형도 문학의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획득하고자 한다. 기형도의 장소 경험과 근대성 사이에 어떤 문제가 놓여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우리는 왜 일상의 장소에서 토포포비아를 경험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Ki Hyung-do witnesses the point that modernity encroaching unknowingly forms fear, anxiety, and depression in our lives from the ‘empty place’. He explores certain meaning not captured by others’ eyes in the place where there is nothing or the dimension of a blank that may not be called as a place. Research on the space found in Ki Hyung-do’s poems fails to follow the spatial meaning of reality leading from space to the place and from the place to the non-place. In the overall world of Ki Hyung-do’s poetry, the positive place as a haven does not appear. Despite that, previous research on the space of Ki Hyung-do’s poems fails to approach the meaning of the non-place and topophobia due to the cliché of literary criticism intended to provide either space or the place with particular positiveness or neutrality in existing research on literature. Interpretation on the space of modern poetry needs to be focused on how to interact with the place beyond the place and social processes. In Ki Hyung-do’s works, the ‘empty place’ is obviously a usual place where people’s lives are accumulated, but it does not welcome but alienate people. Such empirical existence of a place is transformed into Ki Hyung-do’s poetic gaze and reproduced as topophobia, realistic fiction. ‘Fog’, ‘cloud’, ‘air’, or ‘snow’ appearing in his poems is a fluid in the flexible and ambiguous state. These fluids change constantly in their shapes and create a flow transcending the place. They freely come and go to the ‘empty place’, the reality of multiple pores, and their meaning changes frequently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empty place’. ‘Hard’ objects equipped with solidity contrary to fluids represent the essence and irony of modernity that emerged along with industrial capitalism and modernity’s solid power of command over reality. Once the solidity of modernity gets firmer, topophobia is formed in human lives. In Ki Hyung-do’s poems, ‘ddeodori’ refers to a person maladjusted to modern society and also an existent away from home having no fixed place to live in. He shows the sense of social alienation that ‘ddeodori’ have with the ‘empty place’, and this metaphorically reproduces the point that human alienation is associated with alienation from the place. Ordinary events related to ‘ddeodori’ are from the poet’s gaze on him as one of the others and the infertility of the ‘empty place’ gets deepened. This study is aimed to look into the negative world of modernity with the ‘empty place’ found in Ki Hyung-do’s poems and acquire the new meaning and value of Ki Hyung-do’s literature. By examining what kind of matter lies between Ki Hyung-do’s place experience and modernity, we will find the clue of the solution to why we get to experience topophobia in the everyday place.

      • KCI등재

        오장환 시의 장소성 연구

        윤수하(Yoon Su-ha)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2 No.-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인문 지리학은 근대 사회이론의 비판과 대안으로서 의미가 있다. 장소는 타자와의 관계가 형성되는 곳이자,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 터전이다. 또 존재의 조건을 형성시키고 의미를 각인시키기도 한다. 장소는 삶에서 일정한 체험을 하고 있는 주체에게 한정된 의미로 형성되며 오랜 시간 꾸준한 감정교류를 통해 깊은 의미를 얻을 수도 있다. 이 연구는 오장환의 시에서 특정한 장소를 통해 느끼게 되는 장소애와 장소혐오를 비롯한 장소에 대한 감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공간과 장소성 이론을 검토하고 오장환 시의 장소애와 장소혐오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오장환 시에서 장소애의 대상은 고향으로 안정감을 부르는 원형적 공간이다. 오장환 시에 나타나는 장소 상실은 <향수>나 <북방의 길>과 같은 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장소성 이론을 적용한 다른 시들과 오장환 시가 다른 양상을 띠는 부분은 장소에 대한 혐오를 갖는 시들을 찾을 수 있다는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오장환 시에서 장소혐오를 느끼는 대상을 ‘도시’로 보고 오장환 시에 나타나는 도시의 어두운 이면과 야만성을 탐색했다. 1930년대 활동했던 많은 시인들의 작품들 중에서 특히 오장환의 시는 다양한 변모의 양상을 띠고 있다. 이 연구에서 인용한 오장환의 시 이외에 장시<수부>나 시집 『붉은 기』의 작품들도 장소감을 연구하는 적절한 텍스트라고 보며 미흡한 부분은 다음 연구로 미룬다. The anthropo-geography whi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has its significance as the criticism and alternative of modern social theory. A place is the spot where a relationships with others is formed and the base where men live their lives. In addition, it also forms the conditions of existence and imprints meaning. A place is formed as a meaning limited to the subjects that have certain experiences in life. A deep meaning may be obtained through long-term and steady emotional exchan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elings about a place, including topophilia and topophobia that are felt through a particular place in Oh Jang Hwan"s poetry. First, the theory of space and place-ness was reviewed to look into the aspects of topophilia and topophobia in Oh Jang Hwan"s poetry. The subject of topophilia in Oh Jang Hwan"s poetry is the archetypal space that calls in the sense of security to home. The place-lessness appearing in Oh Jang Hwan"s poetry may be found in the poems such as 〈Hyangsoo〉 or 〈Bukbangeui Gil〉. The area where Oh Jang Hwan"s poetry assumes different aspects from other poetry applying the theory of place-ness is that the poems that have disgust for a place can be found. This study explored the dark side and savagery of the city appearing in Oh Jang Hwan"s poetry by considering a "city" as the subject for which topophobia is felt. Of the works of many poets who worked in the 1930s, Oh Jang Hwan"s poetry particularly assumes the aspect of various transformations. In addition to the poems by Oh Jang Hwan cited in this study, the poems like 〈Sooboo〉, a long poem, and 『Bulgeun-gi』, a collection of poems, are considered as the texts that are appropriate to study place-ness, and the study for the insufficiently investigated parts will be deferred until the next study.

      • KCI등재

        「최척전」과 「김영철전」에 나타난 장소 정체성 연구

        김영미(Kim, Young-Mi) 한국언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학 Vol.112 No.-

        Both Choicheokjeon and Kimyoungchuljeon show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such as experience of war, separation of family, and life as a prisoner, but also a common feature of narrative that is converged into the main characters’ homecoming. Even though those two works are similar to each other, one shows the optimistic and romantic perception of the world, and the other shows the pessimistic perception of the world. This is originated from the placeness of hometown and foreign land. In both works, the ‘foreign land’ is similarly shown as an external place that cannot be deeply assimilated. In Choicheokjeon, it shows the nature of ‘placelessness’ that does not realize the placeness at all. Just like Hangju of Choicheokjeon or Deungju of Kimyoungchuljeon, the inside of those places is experienced as a wanderer as the main characters’ identity is still aiming for the hometown. In case of Geonju of Kimyoungchuljeon, it is shown in the form of ‘topophobia’ of the land of death describing the pains of life as a prisoner. Meanwhile, the images of ‘hometown’ are very conflicting in both works. In Choicheokjeon, all the separated family members get reunited in their hometown Namwon, and here, Namwon is shown as topophilia of the place for healing and restoration. Meanwhile, in Kimyoungchuljeon, the hometown is a place for suffering. Youngchul who was captive as a prisoner of war came back to his hometown for his ideological belief in which he should carry on his family line by going back home’. However, his hometown has been already devastated without any warm imageability. Thus, he is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and economic pains that are even worse than his life as a prisoner in China. Eventually, the perception of the world in Choicheokjeon and Kimyoungchuljeon is originated from differences in this sense of place. Even though the foreign land is considered similar as an external place in both works, the foreign land of Choicheokjeon highlights the externality as a wanderer rather than the land of death for the life as a prisoner, and the foreign land of Kimyoungchuljeon shows not only the externality as a wanderer, but also the nature of ‘topophobia’ of Geonju. Also, in Choicheokjeon, the hometown hints the strong nature of topophilia, and in Kimyoungchuljeon, the hometown is the ‘land of suffering’that cannot be left anymore as a ‘wanderer’. Through this distinctive sense of place, one is expressing the romantic and optimistic perception of the world while the other is effectively expressing the pessimistic perception of the world.

      • KCI등재

        만주국 국경 도시 도문(圖們)과 현경준의 ‘유맹(流氓)’의 서사

        QIAN CHUNHUA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7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Hyun Kyung-jun's works during his years in Manchuria, and the representations of Tumen(圖們), which had been neglected from previous researches on Hyun Kyung-jun. Tumen in Manchuria was originally an unnamed deserted village(寒村), until it surged as a center of trade in Manchuria surpassing Longjing(龍井) in 1933, when the Tumen railroad bridge(圖們鐵橋) was constructed and the longitude line(京圖線) together with the Tumen line(圖們線) were connected. Such upsurge of Tumen naturally became a national sensation of the times, which was recorded by many figures who visited Manchuria. Meanwhile, in 1937, writer Hyun Kyung-jun moved to Tumen in Manchuria and stayed until liberation, where he created works using Tumen directly as the background or taking anecdotes of Tumen as writing materials. Such representations of Tumen provide a good reference to look deeply into his sense of place towards Tumen (Manchuria). For this purpose, analysis of this paper is attempted based on three levels, of which are travelogue, novel, and essay. In travelogues that represents the traveler’s viewpoint, Tumen is recognized as Joseon instead of as a foreign country, also as a place with a reputation of a smuggling city. However, in novels of Hyun Kyung-jun, who was a resident of Tumen, Tumen is the subject of topophobia that constantly makes attempts for escapes, or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space of Yumaeng, where he cannot obtain an ‘authentic sense of place’. On the other hand, his essays representing the 'conscious authentic sense of place' reveal his ardent Topophilia about Manchuria. 본 논문은 그동안 현경준 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도문(圖們) 체험과 그의 창작의 관계를 장소 경험과 관련하여 고찰한 글이다. 만주의 도문은 원래 이름 없는 寒村에 불과했는데 1933년 圖們鐵橋가 건설되고 京圖線, 圖們線이 연결되면서 龍井을 제치고 일약 만주의 무역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이와 같은 도문의 궐기는 자연스럽게 당시의 화제가 되었고 이는 만주를 방문했던 많은 인사들에 의해 기록되었다. 한편 작가 현경준은 1937년 만주 도문으로 이주하여 해방이 될 때까지 줄곧 도문에 거주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벌였던 작가로 그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도문을 재현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그의 도문 표상은 일반 여행기와는 변별점을 보였다. 여행자의 시선에서 도문은 외국이 아닌 조선으로 인식되었지만 도문의 거주자였던 현경준의 소설에서 도문은 ‘진정한 장소감’을 획득할 수 없는 ‘유맹’의 공간으로 표상된다. 대부분의 조선인들에게 있어서 도문은 그들의 방랑의 기착지의 하나일 뿐이었다. 이에 반해 만주를 희망과 가능성의 공간으로 인식했던 주의자들에게 있어서 만주는 그들을 ‘유맹’으로 전락시키는 토포포비아의 대상이었다. 따라서 현경준에게 있어서 ‘유맹’은 만주 이주 조선인 군상에 대한 전반적인 표상인 셈이다. 거기에는 생계를 위해 방랑하는 조선인들이 있는가하면 이념의 실현 불가능성에서 스스로를 ‘유맹화’하는 주의자들도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만주(도문, 간도)에 대한 ‘진정한 장소감’을 형성하지 못하는 데에서 기인하는 것이며 이는 자연스럽게 방랑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현경준의 ‘유맹’의 서사는 만주에 대한 ‘진정한 장소감’을 형성할 수 없었던 데에서 기인하는 결과임과 동시에 역으로 그것은 ‘의식적인 장소감’ 형성을 통해 드러나는 ‘뿌리 내리기’에의 또 다른 욕망의 표현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탈북자의 토포필리아와 사회적 의미

        오인혜(In-Hye Oh)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2

        인간은 누구나 태어나는 순간 장소에 소속되며, 무의식적으로 이러한 장소에 대한 애착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간다. 탈북자는 태어나고 자라온 고향(북한)과 중국으로 대표되는 제3국에서의 생활 그리고 현재, 한국 사회공간에서의 삶, 더불어 통일 한반도에서 변화될 위상까지, 삶의 장소가 드라마틱하게 변화되고 정체성 또한 민감하게 급변한 사회집단이다. 탈북자에게 북한은 그리움과 증오의 모순적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중국은 자유의 세계로 갈 수 있는 희망의 공간이자 법과 사회제도망에서 배제된 시스템적 공포 공간이다. 끝으로 한국 사회는 개척과 적응의 신대륙으로 거시적 시각에서 보면 이주민의 의식 같이 토포포비아에서 토포필리아로 점차 변화되어간다. 언어와 민족이 같은 이주민으로서 탈북자는 통일 이후 맞이하게 될 통일한국 사회공간의 이질감과 갈등을 간접적으로 경험했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통일 한국의 비전은 결국 사람의 통일이되어야 하고 사람의 통일은 각각의 장소가 갖는 다양한 의미와 그에 따른 경험을 서로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할 것이기 때문이다. Everybody builds their identity through affection towards place unconsciously because humanity without any exception belongs to place with birth. North Korean Refugees is one social group which has gone through so many different identity crisis through dramatic changes on their living place. North Korean Refugees has two contradictory feelings of longing and hatred toward this place, North Korea. The Refugees sees China as a way of hope towards freedom, but also sees her as panic place because of their illegal status. At last, North Korean Refugees regard South Korea as a new continent where they need to explore and adapt just as immigrants need to change their concepts from topophobia to topophilia.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South Korea will be very important group after two Korea’s unification because they have experienced both Korea as a place of living. Eventually unified Korea’ s vision is human unification through understanding difference of place and according to experi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