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벌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 위헌결정의 시적 효력범위에 관한 비판적 검토

        김혜경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2 형사정책연구 Vol.129 No.-

        The Constitutional Court took a very passive attitude in the examination of unconstitutionality against criminal law provisions on the grounds that the legislature has a very wide legislative right. Recently, however, he has actively expressed his opinion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criminal law clause, which was judged to be constitutional in the past, or has made a modified decision on whether the newly raised criminal law clause is unconstitutional. The reason why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past judged only criminal law provisions passively is that the state’s right to punishment is a double infringement of the state’s basic rights and at the same time implies state negligence due to the execution of unconstitutional criminal law provision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unconstitutional decision on criminal law provisions in particular. In particular, Article 47(3)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says, “Any state or provision there is a closing to criminal punishment effectively retroactive: Provided, that where a decision of constitutional has priority in what case.” The provision of “date on which the decision was mad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ovision of other legal provisions in paragraph 2 that are effective in the future. Here,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in effect of paragraphs 2 and 3 were analyzed, and the specificity of the criminal law regulations and the meaning of the national right to punishment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n unconstitutionality and its effect on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Act were reviewed separately from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law proposal and the constitutional petition for unconstitutionality examination. In the case of a constitutional unconstitutional law proposal, the law was abolished b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n unconstitutionality, the right to request a retrial and the type of trial in the lower court, and the punishment. In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unconstitutional review-type petition, we looked at whether the premise of the trial will be recognized if the law is abolished before the decision is filed, and whether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s to cancel the prosecution. Finally, regarding the implications and poetic effect of the penal provisions, the argument was made on the legislative policy restrictions for acquittal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not retroactive but future effects or restrictive effects. 헌법재판소는 입법권자의 광범위한 입법형성권을 이유로 형사처벌 조항에 대한 위헌심사에서 매우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다가, 최근에는 합헌이라고 보았던 형법조문에 대하여 위헌판결을 하거나 더 나아가 헌법불합치결정이라는 변형결정을 통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형벌조항에 대한 위헌의견을 개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헌법재판소가 유독 형벌조항의 위헌결정의 효력에 대하여 달리 취급하는 바는, 그것이 국가의 전형적인 이중의 기본권 침해영역임과 동시에 위헌적 형벌조항의 집행으로 인한 국가과오를 그 이면으로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관련하여 특히 형벌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 위헌결정의 효력을,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3항이 비형벌조항과 분리하여 소급효로 규정한 점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형법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 및 그 효력에 관하여 헌가형 위헌법률제청사건과 헌바형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을 분리하여 검토하였다. 헌가형 위헌법률제청의 경우에는 위헌법률제청 후 헌법재판소 결정 이전에 법률이 폐지된 경우와 헌법재판소 결정 이전에 법률이 개정된 경우, 그리고 헌법재판소에서 해당 조항을 위헌결정한 경우 재심청구권 및 원심법원에서의 재판의 종류, 헌법재판소 한정합헌결정 이후 재심청구의 경우 및 해당 형벌조항에 대하여 과거에 합헌결정을 한 이후에 다시 위헌결정을 한 경우 등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헌바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사건의 경우에도 위헌소원 제기 후 결정전에 법률이 페지된 경우 재판의 전제성이 인정될 것인가의 문제 및 해당 법률의 폐지가 대법원 판례의 견해인 동기설을 취할 경우 폐지된 법률 적용 여부가 달라지므로 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여부도 좌우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고,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이 있는 경우, 위헌소원 제기 후 검사의 공소취소 등의 사정변경이 있는 경우 재판의 전제성 판단문제, 그리고 위헌소원 제기 후 공소사실의 적용법조가 변경된 경우나 공소장에 예비적 기재 또는 택일적 기재된 적용법조 중 일부가 위헌소원의 심판대상이 된 경우 재판의 전제성 판단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형벌조항의 위헌결정의 함의와 시적 효력과 관련하여, 시적 효력범위의 제한가능성 및 위헌결정의 효력으로서 무죄를 목적으로 하는 재심청구에 대한 입법정책적 제한과 헌법재판소의 해석상의 제한 가능성에 대하여 논지를 전개하였고, 형벌조항이라 하더라도 그 속성에 따라 소급효가 아닌 미래효나 장래효 또는 제한적 효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입법자의 광범위한 입법형성권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기본권 침해를 본질로 하는 형벌조항에 대하여 그 위헌 여부가 헌법재판소에 의한 심사의 대상이 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실질적 정의관념과 법적 안정성이라는 헌법이념을 어떻게 반영하여 형벌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의 효력을 정립할 것인가 역시,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법적 신뢰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19년도 주요 보험판례에 대한 연구

        최병규 한국상사판례학회 2020 상사판례연구 Vol.33 No.2

        In 2019, important cases were sentenced in the area of ​​insurance law. In the insurance sector, disputes reflecting various social phenomena are constantly occurring. Since the feasibility of the fetus has been questioned, it is reasonable to admit eligibility for protection of the fetus in injury insurance, aside from the discussion of civil rights capability. Amendments to these terms and adjustments to premiums in response to changes in risk rates are also required. The timing of insurance fraud is also a problem. When the Supreme Court concluded an insurance contract by deliberate deception and claimed the insurance company and paid the insurance company for the reason of the accident, he believed that he would be a rider. It is reasonable to think that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policy as when it is received, not when it is issued. The indemnity obligations incurred by the insurer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 claim of the insured shall be based on the insurance contract and shall be recognized within the limits of the insurer’s liability under the insurance contract. However, this problem and the court’s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damage the insurer has to pay to the victim are separate. Therefore, when the court calculates the amount of damages to be insured by the insurer, it is not necessary to be bound by the insurance policy, since the standard of payment of the policy is merely a payment standard and does not set the limit of the insurer’s liability. do.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of the notification obligation, if the disease is relatively minor and not serious, such as the fact that the thyroid nodule is not known, the insured person cannot know the disease definitely. However, serious illnesses, such as pulmonary tuberculosis, are generally aware of their significance or meaning, and if they are not covered and are not known, they can be recognized for intentional or gross negligence. If the insured suffered a brain injury due to a traffic accident at 1 year and 3 months of age, and continued treatment after developing symptoms such as developmental delays, and was diagnosed with speech disorders for the first time at 6 years of age, the time of progression of extinction aging could be considered as an accident point. Is a problem.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victim’s right of direct claim as a claim for damages, not a claim for insurance. If the child’s accident is a traffic accident and the language disorder is later confirm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established point as the point of aging. The effect of the mediation decision of the Auto Insurance Compensation Dispute Review Committee is problematic. It is difficult to approve a no legal pursuit agreement, especially if there is no provision in the mutual agreement on the consideration of disputes over compensation for reimburse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ruling, the mediation decision has the same effect as a civil contract of reconciliation. Uninsured car accident insurance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an indemnified person. In this case, the indemnity person is also recognized in the case of a hit-and-run son. However, as i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ruling, if the accident was caused by the negligence of the working vehicle stopped without turning on the emergency light, the negligence of the offending vehicle could be denied. Thus, the insurer can deny the payment of insurance claims for uninsured cars. In the case, the question is whether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affic accident and the negligence of the vehicle stopped without turning on the emergency light after sunset time. The Supreme Court affirmed the causal relationship and denied the liability of the uninsured accident insurance. In non-life insurance, it is problematic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insurer will exercise his insurance under some insurance. In determining the scope, the ex... 2019년에도 보험법 분야에서 중요한 판결이 선고되었다. 보험분야에서는 다양한 사회현상을 반영한 분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태아의 보험능력이 문제되었는바, 민법의 권리능력의 논의를 떠나서 상해보험에서 태아를 보호의 적격성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약관을 수정하고 위험률변동에 따른 보험료 조정도 요구된다. 보험사기의 기수시기도 문제이다. 대법원은 고의의 기망행위로 보험계약을 체결하고, 사고를 이유로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여 돈을 지급받았을 때 기수가 된다고 보았는바, 사기죄를 침해범으로 보아 그 기수시기는 제1회 보험료 납부시기나 보험증권 교부시기가 아니라 보험금 수령시기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기에 수긍할 수 있는 판결이다. 피보험자의 직접청구권에 따라 보험자가 부담하는 손해배상채무는 보험계약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보험계약에 따른 보험자의 책임 한도액의 범위 내에서 인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문제와 법원이 보험자가 피해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손해액의 산정문제는 별개이다. 따라서 법원이 보험자가 피해자에게 보상하여야 할 손해액을 산정하는 경우에는, 약관의 보험금 지급기준은 단순한 지급기준에 불과하며 보험자 책임의 한도를 정한 것은 아니기에, 보험약관상의 지급기준에 기속될 필요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고지의무의 이행과 관련하여 갑상선 결절 사실과 같이 비교적 경미하고 중대한 질병이 아닌 경우에는 그를 알리지 않은 경우에도 피보험자가 질병을 확정적으로 알 수 없는 경우이었으므로 고지의무위반이 되지 않는다고 볼 수가 있다. 하지만 폐결핵과 같은 중대한 질병은 그 중요성이나 의미를 보통 인지하고 있으므로 고지의무의 대상이고 그를 알리지 않았다면 고의나 중대한 과실에 의한 고지의무를 인정할 수 있다. 피보험자가 생후 1년 3개월때 교통사고로 뇌 손상을 입었고 이후 발달지체 등 증세를 보여 치료를 계속 받다가 만6세 때 처음으로 언어장애 등 진단을 받은 경우 소멸시효 진행시점을 사고시점으로 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은 보험금청구권이 아니라 손해배상청구권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면 시효의 기산점은 원래는 손해 및 가해자를 안날로 되지만 어린아이가 교통사고를 당하였고 발달과정에서 언어장애가 늦게 확정된 경우에는 그 확정된 시점을 시효의 기산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자동차보험 구상금 분쟁심의위원회의 조정결정의 효력이 문제된다. 특별히 구상금분쟁심의에 관한 상호협정에서 부제소 합의가 성립된 것으로 인정하는 규정이 없다면 부제소 합의는 인정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대법원 판결에 의하면 그 조정결정은 민법상 화해계약과 같은 효력이 있어 창설적 효력이 인정되고 그 조정결정은 예외적으로만 취소가 가능하다. 무보험차 상해보험은 배상의무자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이 때 배상의무자는 뺑소니자의 경우에도 인정된다. 그런데 대법원 판결의 사안에서처럼 사고가 비상등을 켜지 않고 정차해있던 작업 차량의 과실로 인하여 발생한 경우라면 가해를 한 차량의 배상의무자성이 부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보험자는 무보험차 상해담보의 보험금 지급을 부정할 수 있게 된다. 판례의 사안에서는 일몰시간 후 비상등을 켜지 않고 정차한 작업차량의 과실과 교통사고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가 문제되는데, 대법원은 그 인과관계를...

      • KCI등재

        형법의 시간적 적용범위 - 대법원 2022. 12. 22. 선고 2020도1642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조충영 ( Chung-young¸ Jo ) 연세법학회 2023 연세법학 Vol.41 No.-

        Regarding the temporal scope of the criminal law, our criminal law stipulates the principle of action in Article 1, Paragraph 1, while Paragraph 2 makes an exception to apply the new law when the law is opened or closed in favor of the actor. Despite these prestigious regulations, the Supreme Court in the past has consistently concluded based on the theory of motive when the law was opened or closed. Although the majority theory of academia has criticized the theory of motivation, it has always been judged by applying the theory of motivation. However, in the target judgment, the theory of motive was discarded, and it was judged that the new law was applied to all penal laws by applying Article 1 (2) of the Criminal Act. The Supreme Court's abolition of the motivation theory is very valid. On the other hand, in the target judgment, a law that specifies the validity period is conceptually defined as a temporary law, and Article 1 of the Criminal Act does not apply. In the case of a temporary law, even if the validity period elapses, the action demonstration law must be applied. However, we do not have a prestigious provision that recognizes the tracking effect of temporary laws, such as Article 2, Paragraph 4 of the German Criminal Code. Nevertheless, it is unfair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Article 1 of the Criminal Act to a temporary law without the basis of the law as it exceeds the limit of legal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this is not only groundless in laws and regulations, but also interpreted unfavorably to actors and is contrary to the ideology of criminal justice and the rule of law. Therefore, Article 1 (2) of the Criminal Code shall be applied to all statutes, and if the statute is abolished after the expiration of the temporary law, the effect of tracking shall not be recognized, and a judgment of dismissal shall be sentenced pursuant to Article 326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f you intend to punish an act within the validity period even if the validity period has elapsed while enacting the Temporary Act, you can prepare a special provision to punish i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o to Article 8 of the Criminal Act.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target judgment discarded the theory of motive,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appropriate to recognize the tracking effect of the temporary law as there is no prestigious ground rule and the legislator's intention is judged by arbitrary standards.

      • KCI등재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의 적용 대상인 ‘법령의 변경’의 의미와 판단 기준

        최문수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3

        The gist of the subject case is whether to apply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a case where a statute has been amended after a crime was committed, whereby the act in question no longer constitutes a crime or a punishment has been mitigated, to follow a new law that has been amended to the advantage of the defendant. Previously, with regard to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which norms of trial practice to apply, between the principle that the law in effect at the time the crime was committed should be followed (the “ex post facto” rule) and the principle that the law in effect at the time of trial should be followed, in the case where a statute on criminal punishment has been amended to the advantage of the defendant, the Supreme Court adhered to a legal doctrine established by precedents that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pply only when the change of law is attributable to legislative inten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unreasonableness of the previous punishment or an excessively harsh sentencing decision. This legal doctrine that legislative inten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the retroactive application of a new law amended to the benefit of the defendant (hereinafter “intention-focused doctrine”) has been formulated since the 1960s through a number of court opinions. Yet, the intention-focused doctrine has been constantly criticized for its ambiguity and obscurity of the standards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legislative intention, which obstructs legal certainty over applicable laws in criminal proceedings, which should be guaranteed for subjects of law. The subject case abolishes the intention-focused doctrine and provides a new legal doctrine that is clearer and more foreseeable. Under the new legal doctrine,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pply as a matter of principle in the event that either a criminal penal statute stipulating elements of a crime or a statute that has been entrusted or delegated therefrom is subject to change, whereby the act in question no longer constitutes a crime or a punishment has been mitigated, as this circumstance naturally presupposes a change in criminal legal perspective with regard to punishability of the relevant criminal penal statute; this is likewise the case where a criminal penal statute either entrusted or delegated the authority to determine some elements of a crime to, instead of statutes and order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but public notices, such as administrative rules and orders and ordinances. Since most incidences where changes in law provoked a need to redetermine whether to impose a criminal punishment and, if so, severity of such punishment, has been concerned with the case indicated in this paragraph and, therefore, it has become clear that a new law that is in effect at the time of trial should be applied as the norm of a trial of many cases where the application of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ere at dispute. Furthermore, with regard to changes in laws that were not entrusted or delegated, the subject case stated that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ere applicable when the pertinent change could be considered to be mainly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criminal legal perspective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punishment of a crime under the relevant criminal penal statute. In addition, the subject case concluded that the elapse of a specific date or period prearranged by a statute did not constitute a change in law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criminal legal perspective, which is subject to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이 사건의 쟁점은 범죄 후 법령의 변경에 의하여 그 행위가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하게 되거나 형이 가벼워진 경우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를 적용하여 피고인에게 유리하게 변경된 신법에 따를 것인지 여부이다. 종래 대법원은 형사처벌에 관한 법령이 피고인에게 유리하게 변경된 경우 행위시법과 재판시법 사이에서 재판규범을 결정하는 기준에 관하여, 법령의 변경에 관한 입법자의 동기를 보아 종래의 처벌 자체가 부당하였다거나 또는 과형이 과중하였다는 반성적 고려에서 법령을 변경하였을 경우에만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가 적용된다는 판례 법리를 견지해 왔다. 이와 같은 이른바 동기설 판례 법리는 1960년대부터 오랜 기간 다수의 판결들을 통하여 확립되어 있었으나, 그 판단 기준과 방법의 불명확과 모호함으로 인하여 형사재판의 적용법조에 관한 수범자의 법적 안정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대상판결은 이러한 동기설 판례 법리를 폐기하고 보다 분명하고 예측가능한 새로운 법리를 제시한다. 구성요건을 규정한 형벌법규 자체 또는 그로부터 수권 내지 위임을 받은 법령의 변경에 따라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하게 되거나 형이 가벼워진 경우에는 당연히 해당 형벌법규의 가벌성에 관한 형사법적 관점의 변화를 전제로 한 법령의 변경에 해당하므로 원칙적으로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가 그대로 적용되고, 형벌법규가 헌법상 열거된 법규명령이 아닌 고시 등 행정규칙·행정명령, 조례 등에 구성요건의 일부를 수권 내지 위임한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법령의 변경으로 인해 형사처벌의 가부와 정도가 문제 된 대부분의 사안은 이 경우에 해당하므로,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의 적용이 문제 되는 많은 영역에서 피고인에게 유리한 신법이 재판규범으로 적용되는 것이 분명해지게 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수권 내지 위임을 받지 않은 다른 법령이 변경된 경우에는, 형벌법규와 변경된 법령의 관계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법령의 변경이 해당 형벌법규에 따른 범죄의 성립 및 처벌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형사법적 관점의 변화를 주된 근거로 한다고 해석할 수 있을 때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를 적용할 수 있다는 법리를 제시하였다. 또한 법령이 구체적인 일자나 기간으로 스스로 예정한 유효기간을 경과한 경우는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의 적용 대상인 형사법적 관점의 변화에 근거한 법령의 변경이 아니라고 명시하였다. 대상판결은 형사처벌에 관하여 행위 시와 재판 시 사이에 법령의 변경이 문제 되는 경우 재판규범의 결정에 있어 법문에 기초하여 보다 분명하고 예측가능하며 합리적인 판단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고, 대표적인 사안들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법리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판결이 제시한 새로운 법리의 의미와 논거를 살펴보고, 적용례 등을 통하여 법리의 취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주주총회에 질문권과 설명의무 제도 도입을 위한 법적 연구

        허원준 한국상사법학회 2023 商事法硏究 Vol.42 No.3

        주주와 경영진의 매개체인 주주총회에서 표결을 통해 회사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회의체성을 가지고 운영되어야 한다. 주주는 자본 출자를 통해 회사를 실질적으로 소유하고 있으므로 주주총회에서 회사의 경영상황과 성과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한 내용의 확인을 요청하고 의제와 의안에 대해 의문이 가는 사항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요구할 수 있다. 이사는 회사와 상법상 위임계약에 따른 법률관계이므로 수임사무를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선관주의에 기반한 의무를 준수하여 업무를 처리하여야 한다. 주주총회에서 이루어지는 논의는 주주의 질문과 회사의 설명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의사진행과정에서 주주에게 보장되어야 하는 권리를 ʻ질문권ʼ이라 하고 이에 부수한 회사의 의무를 ʻ설명의무ʼ라고 한다. ʻ주주의 질문권ʼ과 ʻ회사의 설명의무ʼ는 학설과 판례에서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실무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나 구체적이고 명확한 규정이 없어 질문권 침해와 설명의무 이행 위반에 따라 결의효력에 대한 다툼과 손해배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표준주주총회 운영규정은 상법상 의장의 질서유지권에 기반한 규정들로서 의사진행의 한 과정에 대한 내용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즉, 질문권을 보유하는 주주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볼 것인지, 의결권이 없거나 제한되는 주주에게도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 주주가 아닌 자도 질문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규정이 있어야 하고, 질문권자가 질문할 수 있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회의 목적사항 중 결의사항외에 보고사항까지 확대할 수 있는지, 그 외에도 회사 운영방침 등을 주제로도 질문을 할 수 있는지가 규정되어야 하며, 질문 횟수와 시기 등에 대한 한계를 어디까지로 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과 질문에 대한 답변 주체를 지정가능한지 여부 및 설명의무자는 답변을 거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도 규정되어야 한다. 해외의 입법례를 살펴보면, ʻ주주의 질문권ʼ 과 ʻ회사의 설명의무ʼ에 대해 미국은 실무지침에 따라 규정하고 있으며,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는 법에 구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다. 특히, 일본은 질문권자, 설명의무자, 질문권 행사 범위 및 회사의 설명 정도, 질문권 침해의 효과에 대해 회사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판례와 학설을 통해 상황별로 구체적인 해석을 하고 있으므로 향후 ʻ주주의 질문권ʼ과 ʻ회사의 설명의무ʼ의 입법에 참고가 가능하다. 입법을 통해 질문권과 설명의무에 대한 구체적 규정이 도입된다면, 주주에게는 더욱 신중한 자세로 주주총회 진행과 회사 발전에 도움이 되는 질문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며, 회사는 보다 전문성 있고 활용가치가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등 충실한 설명의무 이행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주주총회의 원활한 의사진행과 내실 있는 운영에 기여할 것이다. In order to ensure a reasonable decision-making of the company through the voting at the shareholders meeting or the medium between shareholders and management, the shareholders meeting should allow for pro & con debate. Since shareholders substantially own the company through capital contributions, they may request confirmation of the companyʼs business conditions, performance, and future prospects at the shareholdersʼ meeting, and request detailed explanations of items on the agenda and agenda items that they have doubts about. As a director has a legal relationship with the company based on a commercial law delegation contract, must comply with the obligations based on good faith, such as regularly repor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general, the discussions at the shareholdersʼ meeting progress with shareholdersʼ questions and companyʼs answers, and in such a progression of discussion, the right ensured for the shareholders is called ʻthe right of inquiryʼ, while the companyʼs obligation to answer the inquiry is called ʻthe obligation of explanationʼ. Shareholdersʼ right of inquiry and companyʼs obligation of explanation have been admitted in the academic theory as well as in the court decision, while having been admitted in the legal practices. But since the current Commercial Code does not specifically and clearly stipulate them, the legal dispute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decision and the compensation thereof may well follow. The current standard regulations about the operation of the shareholdersʼ meeting are based on chairmanʼs right to maintain the order for shareholdersʼ meeting, which suggests that they are about a process of the proceedings. Namely, there should be regulations about the scope of shareholderʼs right of inquiry and the right of inquiry of other persons than the shareholders. Moreover, the scope of such inquiry need to be stipulated, while the extent of companyʼs report beyond that about its management should be specified. Moreover, whether the shareholders could inquire about companyʼs management goals should also be specified. Besides, the criteria for the frequency and timing of shareholderʼs inquiry should also be stipulated, while the possibility of designating those who would answer the inquiry should be specified. Besides, whether the company may refuse to respond to the inquiry should also be stipulated. The foreign cases were also reviewed. The United States specifies ʻthe shareholdersʼ right to inquiryʼ and ʻcompanyʼs obligation to respond to the inquiry are specified in the guidelines, while the United Kingdom, Germany, Japan and France specify such right to inquiry and obligation to respond to it specifically. In particular, the Japanese ʻCompanies Actʼ specifies the shareholders who can inquire, the directors who should respond to the inquiry, the scope of the response, and the effects of the inquiry right infringed upon, while the judicial cases and academic theories have interpreted the effects of the infringed inquiry right. So, it may well be necessary to refer to the Japanese cases when we stipulate ʻshareholdersʼ right to inquireʼ and ʻcompanyʼs obligation to respond itʼ in our Commercial Code. If the right to inquiry and the obligation to explain should be specified in our Commercial Code, the shareholders would well be encouraged to ask questions conducive to the progression of the shareholders meeting, while the company is obligated to provide its shareholders with more professional and useful information. Then, the shareholders meeting woud proceed more smoothly, while being operated more substainti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