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료교육(활동)”의 학적 정체성 재정립을 위한 논리?법리적 고찰

        한현민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2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plore the directions towar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rovement of “therapeutic education” and “therapeutic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critical analysis and examination of its conceptual relevances. The study analysed the origin and meaning of words of education, therapy, and therapeutic education as common, academic, and legal term and examined their relationships in detail and throughly. Then, the rationales for adopting “therapeutic education” and “therapeutic education activities” as a legal term in the 1994 revision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and the 1998 revision of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were respectively compared with heilpädagōgik and pädagōgishe therapie (educational therapy)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Nurse and Training and more recently Independent Living of the Japan, and the Related Servi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additi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and the “therapeutic education activities” was examined and the recent bills of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were discussed. The alternatives for reconstruction of its identity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s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본 연구는 “치료교육(활동)”이란 한국특수교육의 법정용어가 지닌 개념적 적절성을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검토함으로써, 그 이론과 실제의 재구성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문헌연구다. 이를 위해, 치료와 교육을 일상용어와 학술용어로 각각 구분하여 그 어원과 어의를 밝히고 법정용어 “치료교육”과의 개념적 상호관계성을 분석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학술용어 “치료교육”이 1994년 개정 특수교육진흥법의 법정용어로 공식 채택된 근거를 ‘heilpdaggik,’ ‘pdaggishe therapie,’ ‘educational therapy’ 등에서 찾아보았다. 또한, 1998년 특수학교 교육과정 고시를 통해 “치료교육활동”이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법정용어로 결정된 배경을 일본의 “養護訓練”(현재의 “自立生活”)과 미국의 “related service”에 비추어 재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치료교육”과 “치료교육활동”을 “養護訓練,” “自立生活,” “related service”의 주요 내용을 상호 비교하고 최근 개정법률 규정의 적절성까지 검토논의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에 바탕을 두고, “치료교육(활동)”의 학적 정체성 (재)정립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치료교육활동 현황

        박미혜(Park Mee-Hye) 한국재활과학회 2004 難聽과 言語障碍 Vol.27 No.2

          In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for the deaf, activities of therapeutic education is most important. However the history of therapeutic education was short and academic background was not completed, so that was a difficult in therapeutic special teachers. In this study, we aimed that to aware of the present condition of activities of therapeutic education. It participated in 20 special teacher and they were reported questionnaire for a general of activities in therapeutic education.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 the contents of therapeutic education are very in different locals and each schools. Second, because of the therapeutic teachers was not sufficient, more effective curriculum in therapeutic education is not managed. Third, an activities demand for the therapeutic teachers is speech & language training and auditory training. Fourth, The expectation of therapeutic teachers is great but the support of school administration is not sufficient.

      • KCI등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제명, 목적과 법정용어에 대한 해석

        한현민,김의정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2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which was enacted in 1977, implemented in 1979 and completely revised in 1994, had been the foundation for Korean special education and its policy development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On May 26, 2007, this law was replaced by the Special Education Law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ike.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conduct a theoretical and legal analysis of some regulations of this newly enacted special education law.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and contrasted the Special Education Law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ike with other related laws and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in terms of the title, purposes, and definitions of major legal terminologies.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validity, rationality and efficacy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ike and provided interpretations of its effects in the field of current special education.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future revisions of this newly enacted law and policy development are provided, and necessary components for further research are suggested. 본 연구는 1977년 제정과 1979년 시행 그리고 1994년 전문 개정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30개성상의 긴 세월 동안 한국 특수교육과 그 발전을 위한 정책수립의 근원이 되어왔던 「특수교육진흥법」이 2007년 5월 26일 전격 폐지되고 그 대체 신법으로 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일부 규정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법리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 법의 제명(題名), 목적, 주요 법정용어의 정의를 중심으로 이를 관련 타법 및 「특수교육진흥법」의 규정 등과 비교·분석하여 그 타당성, 합리성, 실효성 등을 평가하고 그것이 현실특수교육에 미칠 함의를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향후의 법률개정과 정책수립의 방안 내지 방향을 제시하였고, 이와 함께 후속연구가 필요한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관련 서비스 상의 치료지원 효과에 대한 관련 주체의 인식

        김주선,김동일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4

        본 연구는 2007년「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개정 후, ‘치료교육’의 대체 활동으로 도입된‘치료지원 서비스‘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치료지원 서비스의 궁극적 목적을 재고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 대한 높은 이해와 경험으로 치료지원 서비스의 효과에 대해 기술 할 수 있는 특수교육 관련 주체 중, 치료지원 서비스 제공 기관장, 치료사, 치료지원 대상자의 부모를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치료지원 효과에 대한 개념을 살펴하였다. 관련주체의 치료지원 효과에 대한 인식 차원을 살펴본 결과 총 4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2차원 상에 아동의 직접적 변화-간접적 변화 차원과 치료지원의 사회적 인식 변화-부모 변화 차원이 확인되었으며, 치료지원 효과의 군집은‘치료지원 기관의 확대, 치료지원 기관의 활성화, 치료에 대한 자문 및 분위기 조성, 부모의 아동에 대한 이해, 다양한 경험 및 아동의 기능 발달 및 일반화’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을 기술하였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educational go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pecial Education Law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which was enacted in 2007, introduces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that provid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along with general public education. To guarantee the right to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herapeutic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rapeutic effect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 The stakeholders’perception on therapeutic effect were found into 2 dimensions; Children’s direct change – Children’s indirect change and Change of social awareness of therapy support - Parental change. And 5 clusters were finalized to present therapeutic effect concept: Expansion of therapeutic support institutions, Activation of therapeutic support institutions, Consultation and atmosphere for therapeutic support, Parents' Understanding about children, and Generalization of child function. Concept mapping were shown on the 2 dimension space.

      • KCI등재

        치료교육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의 욕구 조사에 관한 연구

        전병진,이지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 장애아동 부모들의 치료교육에 관한 욕구 조사를 통하여 현재 치료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작업치료계 입장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의 장애아동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402부를 회수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여러 전문가들에게 점검받아 수정하였다. 결과 : 부모들이 가장 원하는 치료교사로는 전문 치료 영역을 가지고 있는 치료사이며 77%의 부모들이 택하였다. 한 학교에서 치료교육을 받는 경우는 27%이며 사설기관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이 55%이고 두 곳 모두에서 치료교육 및 치료를 받는 아동이 65%였다. 이로 인한 사치료비는 가구당 월 평균 49만원 정도였다. 사설치료를 받는 부모들의 79%가 치료교육의 질적인 문제를 지적하였다. 결론 : 치료교육의 주체인 장애아동과 부모들이 요구하는 부모들이 요구하는 치료교육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세부 전문영역을 가지는 치료교사를 양성하여야 한다. 또한 전문 영역의 치료사를 관련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치료교육의 질적, 양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rapeutic education by investigating needs of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on the therapeutic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distributed towards nationwide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and 402 copies were returne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12.0 and including descriptive test. The measuring instrument,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and corrected by several experts in order to secure the content validity, and used after being revised through pilot study of 20 researchers. Results : Regarding the demand on therapeutic groups, 77% of respondents wanted therapists who possess professional therapeutic skill. And 27% of all handicapped students received therapeutic education in school; 55% of students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he private institute. The fee of private therapy was 490,000won per month; 72% of respondents pointed out the lower quality on the problems of therapeutic education. Conclusion : In order to develop the treatment education required by parents, it was developted to therapist who possess the specific therapeutic skill as therapeutic teacher.

      • 인성교육을 위한 그림책의 교육 및 치유적 활용

        김민화 한국독서치료학회 2017 독서치료연구 Vol.9 No.2

        최근 모든 교육기관과 정부기관에서 인성교육을 실시할 것이 의무화되어 효과적이고 다양한 인성교육의 방법들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림책은 특히 어린 연령의 교육대상자들을 위한 인성교육의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그림책을 활용했다는 그 자체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성교육을 위한 유용한 매체로서 그림책의 활용에 있어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의 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먼저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모으고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그림책 활용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수집된 연구들은 인성교육진흥법의 분류기준에 따라 그림책을 8개 범주로 목록화한 것 이외의 별다른 차별성 없는 독서교육의 과정으로 인성교육을 수행한 것으로 보였다. 인성교육의 효과를 입증하는데 있어서도 그림책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그림책이 어떻게 활용되었는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찾아보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개별 그림책의 주제 활용에 있어서도 옳고 그름과 교훈을 찾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림책을 인성교육을 위한 매체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림책이 가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장점인 글과 그림, 각각의 페이지와 장면들에서 만들어진 여백과 간극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즉 이러한 공간들을 메울 수 있는 자기서사를 투영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비로소 치유적 과정이 일어나 인성교육의 궁극적 목적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그림책의 활용이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포함될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Recently,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in Korea have been required to provide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effective and diverse methods of this type of education. In relation to this new demand, picture books are receiving attention as a medium for personality education especially for students of young age. However, in many cases, picture books seem to be used in a very limited mann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oblems and suggest a possible course of improvement in the use of picture books as a medium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this purpose, prior studies of personality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on the use of picture books. The analyzed studies mainly classified picture books into 8 categories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riteria set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wever, the validity of such classifications has not been substantiated properly. In addition, not only was it difficult to find details about how picture books were utilized, but the use of individual, themed books was very limited since most studies only focused on whether something is right or wrong, and the lesson of the story. To effectively use picture books as a medium for personality education, an educator should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most important strengths of picture books which are mainly the margins and gaps between pictures and texts created in each page and scene. It is necessary to engage the reader to fill these gaps and margins to facilitate a thought process to achieve the important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and healing.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education about this aspect of utilizing picture books should be included in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

        특수학급 미술수업의 현황 및 치료교육적 접근에 의한 제언 - 수원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최재영(Choi Jae-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원지역 초등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미술수업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조사하고,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들의 요구와 특수성을 살린 치료교육적 미술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표는 전국적으로 많은 초등학교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특수학급 중 수원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아동들의 개별화된 특성에 맞는 미술교육이 시행되고 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특수학급 대상아동에 대한 효과적인 미술수업을 위해 치료 교육적 미술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실행을 위한 현실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설문의 결과에서처럼, 교사들은 미술활동을 통해 아동들에게 현재의 문제를 표현, 개선하려는 심리 치료적 역할과 미적 안목 및 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적 목표가 함께 공유되기를 바라고 있다. 따라서 특수학급의 치료 교육적 미술활동의 필요성과 적절한 양질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치료 교육적 미술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현장 적용과 그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Art provides much benefits for the student with special needs that other academic curriculum cannot provide. Art activity is helpful for children in the special classes to express their mind and thinking and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 But the reality of art education in the special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has many difficulties, so we need to survey of that to do efficient art activity for handicapped children.<BR>  This study was initially re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 of art class for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n Suwon area and was suggested the demand and the extraordinary nature of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research into the situation making the most of special children" characteristics. The second purpose is to recommend a requirement of art activities and a planning condition about an effective therapeutic-educational art activity for students in special clas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teachers want to share educational purpose about a psychological role, an aesthetic sense and a learning skill through art activity as expressing and improving the present problems with special class student.<BR>  Furthermore, to accomplish the needs about a good quality educational service and a requirement of art activity in special class, this study is discussed about applying specific situation of therapeutic educational art activity for the future study.

      • KCI등재

        과제분석과 용암법에 의한 발달적결손행동의 치료교육 효과

        홍준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9 No.3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behavioral techniquea such as task analysis, shaping, and prompt fading to teach new behaviors to children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orders such as autistic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The subjects were four developmentally delayed youn children with the age of 2.0 to 6.0 years. The target behaviors were selected from the areas of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using the diagnostic procedure of developmental behavior checklists (E-LAP and LAP-D). They were: (1) finding a group of objects same to a sample presented by a trainer; (2) completing a 5-piece puzzle; (3) pointing to correct pictures when asked verbally; (4) discriminating the size difference between a long one and a short on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gramed therapeutic procedure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behavioral techniques such as task analysis, chaining, and prompt fading were highly effective to teach a new behavior to children with autistic and developmental disorders. 이 연구는 과제분석과 행동연쇄, 촉진과 용암법 등 응용행동분석의 기법에 기초한 프로그램 교수방법이 발달적 결손행동의 치료교육에 미치는 효과가 무성인지를 검증하기 위한 소규모 시범연구로 시도되었다. 피험자로는 2.0세에서 5.0세에 이르는 자폐장애 및 발달장애로 진단된 아동 4명이 선정되었다. 표적행동은, (1) 같은 종류의 물건 찾기, (2) 다섯조각 퍼즐 맞추기, (3) 언어적 지시에 따라 그림 카드 찾기, (4) 대립개념(긴것/짧은 것) 식별하기 등으로서, 한국행동수정연구소(1995)에서 번안한 발달적 행동 체크리스트인 '조기진담과 치료교육'을 활용하여 인지 및 언어발달 영역에서 추출하였다. 연구결과에서는 과제분석, 행동연쇄, 촉진과 용압법 및 즉각적 정적강화 등 응용행동분석의 기법을 활용한 치료적 중재 프로그램이 자폐 및 발달장애 아동들의 발달적 결손행동을 치료교육하는데 높은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러한 프로그램 교수전략에 의한 체계적이여 단계적인 교육방법은 한 단계의 학습 효과가 차상의 단계의 훈련과정에 일반화(전이)되어 짧은 시간에 단계별 학습목표를 성취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자폐 및 발달장애의 치료와 교육에 응용행동분석 접근과 서비스 체제 개발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음악치료 놀이극 프로그램이 통합교육과정에서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최은실,윤선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0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5 No.1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know the effect of a Therapeutic-music-play program created by the author for the development of a few children's self-concept, who were under an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research, an integrated class with four disabled and three normal children was chosen, And four different therapeutic-music-play program were used sixteen times in total, the contents of which came from some nursery tales. The Therapeutic Music Paly Program was performed by children and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in self-concept advancement of children was observ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program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rapeutic Music Play Program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s in terms of Physical Concept development. Nevertheless, the Friend and General Self Concep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viable level of 0.05. Generally, they increased positively in their mutual interaction and self-confidenc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rapeutic Music Play Program. Particularly, the disabled children were showed more progressive self-concept and positive mutual interaction than the normal children. Therefore, the Therapeutic Music Play Program as an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helped to increase the self-concept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