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상적석식 적석목곽묘의 목곽부와 적석부의 성격

        김대환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6 고고학지 Vol.22 No.-

        적석목곽묘의 적석부와 목곽부를 분리해서 연구하는 경향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었다. 이원적 계통관이라고 최병현이 이름 붙인 연구경향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한 경향은 자연스럽게 적석부와 목곽부를 분리해서 연구하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현재까지도 그런 인식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데, 이러한 점에서 일제강점기 일본인 연구자의 연구관점은 여전히, 아직도 우리에게 이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최근 목곽부와 적석부를 정치하게 복원하고 그것을 토대로 상장례 또는 매장의례를 복원하는 연구가 새로운 연구경향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가 가능한 것은 과거 천마총과 황남대총을 정밀하게 발굴하고 꼼꼼하게 보고서를 간행한 선학들의 노고에 힘입은 바가 크다. 그런데 적석목곽묘의 매장의례를 복원하는 연구를 읽어보면 목곽부와 적석부는 별개의 구조가 아니라 의례과정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이해된다. 그래서 측벽부 적석은 매장의례를 위한 제단과도 같은 역할을 하였다고 보았고, 개부(蓋部) 적석이 쌓인 최종형태는 건축을 형상화한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The tendency to conduct research on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by dividing them into wooden chambers and wooden mounds bega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dual systematic research view” was named by Choi Byung-hyun. Such a trend has created an atmosphere in which the stone mound area and the wooden chamber area have been studied separately, and this trend has continued right up to the present day, thus maintaining the viewpoints of the Japanese researchers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New research trends have recently emerged by which the wooden chamber area and the stone mound area are being restored, along with funeral and burial rites. Such research is made possible thanks to previous scholars’ dedicated efforts to publish detailed reports on the excavation of the Cheonmachong Tomb and the Hwangnamdaechong Tomb. The studies on the restoration of the burial rite containing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suggest that the wooden chamber and the stone mound were not designed as separate structures, but were in fact closely related to the ritual process. Thus, it is presumed that the wall-side stone mound probably served as a burial rite altar, and that the finally constructed opening-area stone mound shape was estimated by the formation of the structure.

      • KCI등재

        동아시아 적석단총에 나타난 삼원오행론과 선도제천문화의 확산

        정경희 ( Jung Kyung 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9 No.-

        본고는 동아시아 상고·고대문화에 대한 ‘중원계 예제문화’적 시각, 또 ‘서·북방계 샤머니즘’적 시각과 차별화되는 ‘한국계 선도문화’의 시각으로 써 동아시아 적석단총제에 나타난 ‘원·방·팔각’ 상징 및 ‘3·7·5·9 계 단수’ 상징의 선도적 의미와 지역적 변화상을 살핀 연구이다. 선도문화는 삼원오행론이라는 기학적 세계관에 기반한 문화이다. 삼원오행론은 모든 존재의 본질이자 우주의 근원적 생명(氣)인 ‘일기 (一氣)·삼기(三氣, 천·지·인, 원·방·각)’가 ‘1기·3기 ↔ 2기 ↔ 4기 ↔ 8기’의 과정을 거치면서 현상화(물질화)하고 현상은 다시 본질의 차원으로 수렴된다는 ‘존재의 생성과 회귀’에 관한 인식이다. 이러한 존재의 생성과 회귀 과정은 다양한 상(象)·수 (數)로 상징화, 배달국시기 단·묘·총 및 옥기 유적·유물에 두루 반영되었다. 배달국시기 대표 제천시설인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또는 ‘3층-원·방-환호’형을 표준으로 하는 적석단총에 나타난 바, 원·방 및 3층 상징은 천·지·인(원·방·각) 삼원사상 및 지감·조식·금촉 선도 수행을 표현한 것이었다. 배달국시기 적석단총제는 단군조선시기 고인돌 단총제와 공존·결합하는 방식으로 이어지다가 B.C.3세기 무렵 배달국 적석단총 제의 발원처였던 백두산 서편에서 다시 부활, 고구려에 이르러 대표 제천시 설로서의 위상을 회복하였고 백두산 서편·한반도·일본열도에서 크게 성행 하였다. B.C.3세기 이후 백두산 서편·한반도·일본열도에서 성행한 적석단총제는 배달국 적석단총제의 원형을 계승하는 한편으로 지역에 따른 다변화의 양상을 보였다. 원·방 상징 외에 팔각 상징이 나타났고 3층 외에 7·5·9 계단수 상징이 나타났지만 삼원오행 표상 내에서의 다변화였다. 반면 중원 지역에서는 중원사상인 음양오행론에 의한 상징 변형으로 4 계단수 상징이 나타났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undo(仙道) thought and regional changes of the ‘Circle(圓)·Square(方)·Octagon(八角)’ symbol and the ‘3·7·5·9 staircase’ symbol in the stone mound altar·tomb of the East Asia with the perspective of Korean Sundo cul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ritual culture and the perspective of Western or Northern shamanism. Korean Sundo culture is based on the Ki(氣) philosophical worldview called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 行論)’. It is the theory on ‘the creation and regression of the being’, that is, ‘One-Three(One Ki氣-Three Ki三氣, Chun天·Ji地·In人, Circle圓· Square方·Triangle角)’ is the substance of all beings and the cosmic life particle, becomes phenomena(materialization) and the phenomena converge again into the dimension of the substance through the process of ‘1·3 ↔ 2 ↔ 4↔ 8’. The creation and regression process of the being had symbolized by various statues(象) and numbers(數), and reflected in Altar(壇)·Shrine(廟)·Tomb(塚) and jade artifacts of Baedalkook(倍達國). The ‘Circle·Square’ symbol and the ‘3 staircase’ symbol of the representative Heaven Ritual facility of Baedalkook, ‘the hilly Heaven Ritual facilitiy with a moat(‘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stone-mound altar·tomb)’, was the expression of the theory of One-Three一·三(One Ki-Three Ki, Chun·Ji·In, Circle·Square· Triangle), the core onthology of Korean Sundo and Jigam(止感)·Josig(調 息)·Geumchog(禁觸) Sundo discipline. The stone-mound altar·tomb system during Baedalkook period led to the coexistence and combination with the Dolmen system during Dangun Joseon(檀君朝鮮) period. By the third century B.C., it was resurrected in the west side of Mt.Baekdu(白頭). In Goguryeo(高句麗), it regained its status as a representative Heaven Ritual facility, and was prominent in the west side of Mt.Baekdu,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archipelagos. Since the third century B.C., The stone-mound altar·tomb system in the west side of Mt.Baekdu,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succeeded the original form of Baedalkook and showed some diversification within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to Circle(圓)·Square(方) symbol, Octagon(八角) symbol appeared newly. Also in addition to 3 staircase symbol, 7·5·9 staircase symbol appeared newly. On the other hand, ‘4 staircase symbol’, the deformation form by the theory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Yin and Yang(陰陽五行論)’ had appeared in China.

      • KCI등재후보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요서지구 소하서문화∼흥륭와문화로의 전파

        정경희(Jung, Kyung Hee)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2 유라시아문화 Vol.7 No.-

        본고는 근래 동북아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선진적 중기 신석기문화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흑수백산지구 오소리강 하류의 소남산문화(B.C.7200년∼B.C.6600년경)의 표지인 ‘적석단총-옥석기문화’가 요서지구 최초의 신석기문화인 소하서문화∼흥륭와 문화로 전파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핀 연구이다. 요서지역 최초의 신석기문화인 소하서문화의 토착 묘제는 거지묘 또는 거실묘 형식의 토광묘로 흑수백산지구의 적석단총문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의기류 방면에서는 일부 소남산 옥석기문화의 영향이 나타났으나 소재나 기종 등 여러 면에서 그 영향력 정도가 미미하였다. 소하서문화는 당대 최고의 선진문화권이던 소남산문화권의 외곽지역으로부터 소남산 옥석기문화를 흡수, 소남산문화권의 ‘간접적’ 영향하에 놓여 있었다. 소하서문화기를 지나 흥륭와문화기가 되자 소남산문화권의 외곽지역이 아닌 중심지역 소남산사회에서 ‘직접적’으로 적석단총-옥석기문화가 전파되는 변화가 생겨났다. 곧 요서지구의 최북단인 서랍목륜하 일대 백음장한사회로 소남산 적석단총문화인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적석단총’이 전수되어 ‘돌담을 두른 구릉성 적석단총’ 형태로 나타났고 옥석기문화 방면에서도 소남산 옥석기의 주요 기종들이 전수, 소남산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본격적인 영향을 받게 되었다.(흥륭와문화 백음장한유형) 백음장한유형은 요서사회내 소남산문화를 전파하는 문화적 전진기지가 되어 사해유형을 위시하여 요서사회 전역으로 소남산 적석단총-옥석기문화를 확산시켜가는 역할을 하였다. 백음장한유형이 소남산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직접적인 영향하에 놓여 있었던 반면 사해유형은 ‘소남산-백음장한’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영향하에 있으면서도 묘제 방면에서 적석단총제를 수용하지 않고 토착 묘제인 거실묘를 인습하거나 옥석기문화 방면에서도 옥석기 이전의 구전통인 골ㆍ도기를 절충하는 등 소남산-백음장한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전형성에 미치지 못한 모습이었다. The indigenous tomb style of Xiaohexi culture(小河西文化), the first neolithic culture in Liaoxi(遼西) region, was a pit burial tomb(土壙墓) in the form of Geojimyo tomb(居地墓) or Geosilmyo tomb(居室墓) and the stone mound altar⋅tomb of Amur river-Mt.Baekdusan region did not appear.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ritual objects(儀器), a partial influence of the jade⋅stoneware of Xiaonanshan culture appeared but the degree of influence was insignificant in many ways such as materials and types. As these influence had given from the outskirts of Xiaonanshan culture, it can be said that Xiaohexi culture was under the ‘indirect’ influence of Xiaonanshan culture. After Xiaohexi cultural period, reaching Xinglongwa culture(興隆窪文化), there was a new change that the stone mound altarㆍtomb-the jadeㆍstoneware culture of Xiaonanshan had spread to Liaoxi region ‘directly’. The stone mound altarㆍtombs of Xiaonanshan appeared in Baiyinzhanghan(白音長汗) society of Xinglongwa culture. In addition, the main jadeㆍ stoneware types of Xiaonanshan including Gyeol(玦) and Bi(匕) appeared in Baiyinzhanghan society. Baiyinzhanghan society was placed under the full-fledged influence of Xiaonanshan culture.(‘Baiyinzhanghan type’) Baiyinzhanghan type became a base for cultural propagation to spread Xiaonanshan culture within Liaoxi society and played a role in spreading ‘the stone mound altarㆍtomb-the jadeㆍstoneware culture’ of Xiaonanshan throughout Liaoxi region including Zhahai(査海) society. Although Zhahai society was basically influenced by Xiaonanshan culture through Baiyinzhanghan society but adopted the indigenous Geosilmyo tomb style instead of accepting the stone mound altarㆍtomb and greatly compromised some old traditions of boneware and earthenware, the main ceremonial items prior to the main use of the jadeㆍstoneware. These style was somewhat distant from the typicality of Xiaonanshan culture.(‘Zhahai type’)

      • KCI등재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의 옥·석기 조합 연구

        정경희 ( Jung Kyung 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2 No.-

        소남산문화 2기(B.C.7200년∼B.C.6600년경)의 적석단총인 옥기묘·제1묘지·제2묘지 중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의 단총은 제1묘지 Ⅲ구역의 적석묘이다. 이곳에서 출토된 옥·석기의 주요 기종은 ‘벽·부·관류(관·석무저통형기)’였다. 특히 관류중 석무저통형기는 훗날 요서지구 홍산문화의 도무저통형기로 이어졌다. 일반 기종은 도구류 ‘부·촉’, 기본 기종은 ‘부’였다. 또한 구석기 후기 말타문화의 ‘벽+도구류 권장(골모)’이 ‘벽+도구류 권장(부)’으로 이어졌다. 제1묘지 Ⅲ구역의 적석묘보다 늦은 시기의 단총이자 소남산유적의 최상급 단총인 옥기묘의 4대 옥·석기 기종은 ‘[벽류(벽·환·결)+도구류(부·비·촉 위주)]+관류+태아형기’였다. 제1묘지 Ⅲ구역의 주요 기종인 ‘벽·부·관류’가 옥기묘에서도 ‘벽류(벽·환·결)·도구류(부·비·촉 위주)·관류’로 이어졌다. 더하여 벽과 함께 구석기 시대 이래의 대표적인 생명표상물이었던 태아형기도 나타났다. 또한 말타문화의 ‘벽+도구류 권장(골모)’이 제1묘지 Ⅲ구역의 ‘벽+도구류 권장(부)’으로 이어졌다가, 옥기묘의 ‘벽류(벽·환·결)+도구류 권장(부·비)’으로 이어졌다. 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소재나 형태는 달라져갔지만 ‘벽류+도구류 권장’의 기본 구도에는 변함이 없었다. 소남산문화의 4대 옥·석기 기종에는 ‘천·지·인 삼원조화론’이라는 선도의 세계관, ‘성통→공완→조천론’이라는 선도의 생사관, ‘지감·조식·금촉론’이라는 선도의 수행관이 반영되어 있었다. 특히 ‘벽류·도구류·태아형기’ 3종은 단군조선에 이르러 ‘청동거울·청동검·태아형기(또는 청동방울)’의 청동제 제천의기 3종, 곧 ‘천부삼인’으로 전승되었다. 이렇듯 소남산 옥·석기문화는 동북아 신석기∼청동기 옥·석기문화로 면면히 계승, 동북아 신석기∼청동기 옥·석기문화의 원형을 소남산문화로 바라보게 된다. Among the Jade tomb, the first cemetery, and the second cemetery, which were the stone mound altar·tomb of the second period of Xiaonanshan Culture(from B.C.7200 to around B.C.6600) belonging to Whanguk(桓國) period, the earliest altar·tombs were the stone mound altar·tombs in the first cemetery-district III. The main types of the jade·stoneware excavated here were ‘Byeog(璧)·Bu(斧)·Guans(管類)(Guan·the bottomless tubeshaped stoneware石無底筒形器)’. In particular, the bottomless tube-shaped stoneware of Guans later led to the bottomless tube-shaped pottery(陶無底筒 形器) of Hungsan culture in Liaoxi(遼西) areas. And the general types were ‘Bu·Chok(鏃)’ and among them, the status of ‘Bu’ was high. Also ‘Byeog+Power cane among Tools(Bone pointer)’ tradition of Malta culture in the late Paleolithic period led to ‘Byeog+Power cane among Tools(Bu)’ tradition in the first cemetery-III district. The four major types of the jadeㆍstonewares of the Jade tomb, which was later than the first cemetery-district III and was the highest-class tomb, were ‘[Byeogs(ByeogㆍHwan環ㆍGyeol玦) + Tools(BuㆍBi匕ㆍChok)] + Guans + Taeahyeong-gi(胎芽形器, 曲玉). As the main types of the first cemeterydistrict III were ‘ByeogㆍBuㆍGuans’ and the main types of the Jade tomb were ‘Byeogs(ByeogㆍHwanㆍGyeol), Tools(BuㆍBiㆍChok), Guans’, we can understand that the main types had continued unchanged. In addition, Taeahyeong-gi, which had been a representative energy symbols since the Paleolithic period along with Byeog, also appeared. In addition, ‘Byeog+Power cane among Tools(Bone pointer)’ tradition of Malta culture and ‘Byeog+Power cane among Tools(Bu)’ tradition of the first cemetery-district III led to ‘Byeogs(ByeogㆍHwanㆍGyeol)+Tools(BuㆍBi)’ of the Jade tomb. Over time, the material and form had changed, but the basic composition of ‘Byeogs+Power cane among Tools’ had not changed. The four major types of the jadeㆍstonewares of the Jade tomb had been passed down to the jadeㆍstoneware culture of Neolithic era to Bronze Age in Northeast Asia, so we can see the prototype of the jadeㆍstoneware culture of Northeast Asia as Xiaonanshan culture. In the four major types of the jadeㆍstonewares of Xiaonanshan culture, the worldview of Sundo(仙道) called ‘the harmony idea of Cheon(天)ㆍJi(地)ㆍ In(人)’ and the birth and death view of Sundo called ‘Seongtong(性通) → Gongwan(功完) → Jocheon(朝天)’, and the practice view of Sundo called ‘Jigam(止感)ㆍJosik(調息)ㆍGeumchok(禁觸)’ were reflected. Among the jadeㆍ stonewares of Xiaonanshan culture, the three types of ‘ByeogsㆍPower cane among ToolsㆍTaeahyeong-gi’ were handed down to Dangun Joseon(檀君朝 鮮) as three bronze vessels for Sundo heaven ritual(仙道祭天), namely ‘Cheonbu Samin(天符三印: tree symbols of Sundo, Bronze mirrorㆍBronze swordㆍTaeahyeong-gi(or Bronze drop)’.

      • KCI등재

        우하량 유적을 통해 본 홍산문화의 제사체계 형성과 변화

        홍지혁(Hong Jihyeog)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9

        홍산문화는 기원전 4,500~3,000년경 중국 동북지방에서 등장했다. 홍산문화는 중국 동북지역에서 제사가 처음 등장했고 제사가 사회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홍산문화에 대한 연구는 홍산문화를 문명 혹은 국가로 정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사를 바라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홍산문화 제사체계의 변화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연구 대상으로 우하량 유적을 정했는데 우하량 유적의 경우, 유구 및 유물의 형태 변화가 층위별로 비교적 뚜렷하다. 따라서 유물 및 유구의 형식분류를 통해 제사체계를 구성하고 그 변화를 고찰할 수 있었다. 우하량 유적은 제사 유구의 등장 이전에 어떠한 인간의 점유 흔적도 확인되지 않는데 이는 우하량 유적이 철저하게 제사의 목적으로 만들어졌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구 및 유물에 대한 비용이 증가하는데 이는 제사의 강화를 나타내며, 이후 홍산문화가 붕괴되면서 제사유적은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물질문화의 변화를 조망함과 동시에 제사고고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그 변화에 대입하고자 했다. 그리고 캐서린 벨의 개념을 고고학적으로 일부 수정하여 도입했는데, 그 결과 홍산문화의 제사가 강화될수록 제사의 특성이 새롭게 등장하거나 강화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산문화는 정치적인 위계가 보이기 이전의 제사를 조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위계가 뚜렷하지 않은 홍산문화 사회에서 제사가 어떻게 사회통합 및 분리에 기여했는지 탐구할 수 있다면, 홍산문화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도 보다 깊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Hongshan culture appeared in northeast China, around 4500-3000 BC. Since ritual was a key factor of the Hongshan culture society, understanding ritual and ritual system of the Hongshan culture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ngshan culture. However, the current stream of research regarding the Hongshan culture looks at ritual as a way to define Hongshan culture as a civilization or st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ritual system of Hongshan culture. The Niuheliang ritual center is possible to organize the ritual system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structures and artifacts and to examine the change. The Niuheliang was only made for rituals. Also, as time passes, the cost of structure and artifacts increases, which indicates the strengthening of ritual. Finally, as Hongshan culture collapses, the ritual site of Niuheliang stopped to function. In this study, I introduce the concept of archeology of ritual and apply this concept when investigating the change of material culture. For this purpose, I used a partially modified concept of Catherine Bell to assess archaeological material culture. As a result, I confirmed that as the ritual of the Hongshan culture transforms, new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appear and such characteristics strengthen. Hongshan culture is important since it shows rituals precedenting the political hierarchies. By exploring how ritual contributed to social integration and separation in Hongshan culture society, of which the hierarchy is unobserved, this study contribut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Hongshan culture social system.

      • KCI등재

        울진 후포리유적과 한반도 남부의 신석기 선도제천문화

        최수민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선도문화 Vol.34 No.-

        최근 고고학적 발굴의 성과가 축적되면서 아무르강과 오소리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에서 맥족계 선도제천문화의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한 ‘구릉성 적석단총’유적이 발굴되면서 중기 신석기문화(서기전 7200∼서기전 6600년 경)의 내용적 성격이 드러나게 되었다. 아무르강 하류-연해주-한반도 동해안의 문화가 서로 관련된 문화임이 고고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한반도 동남해안 에 나타나는 신석기시대의 구릉성 단총과 아무르강과 백두산을 사이에 둔 흑수백산지 구의 구릉성 단총간에 형태적⋅내용적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지금까지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구릉성 단총은 그 문화의 내용성보다는 입지, 묘제, 장법, 두향, 부장품 위주로 연구되어 왔기에 단순히 사자의 무덤이란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에서 시작된 선도제천문화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면 단순한 무덤의 의미를 넘어 제천시설로 바라보게 된다.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는 ‘적석단총-옥⋅석기문화’로 선도제천문화임이 드러난 바 본고에서는 한반도 남부 신석 기시대 구릉성 석단총유적 중 흑수백산지구 선도제천문화의 전통을 반영한 전형적인 유적으로 울진 후포리유적을 조명해 보았다. 울진 후포리유적은 야트막한 구릉상의 야산 정상부에 7개의 화강암괴로 둘러진 자연 구덩이를 이용하여 40여 구의 인골을 순차적으로 세골장한 집단 매장유적이다. 토기는 1점도 없이 180여 점의 장대형석부와 비, 관옥 등 옥⋅석기만을 부장하여 ‘구릉성 석단총’을 조성하였기에 ‘구릉성 석단총-옥⋅석기문화’로 볼 수 있어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계통의 선도제천문화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소남산문화에 나타난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적석단총’은 사방에서 조망이 좋고 하늘과 가까운 탁 트인 공간 즉 ‘구릉지’라는 입지 조건, 무덤 조성시 돌을 이용하여 ‘적석’의 방식을 채용한 점에서 선도제천을 위한 구릉성 적석단총으로 바라보고, 단총내 제천 의기인 ‘옥⋅석기를 부장’한 측면에서 ‘구릉성 적석단총-옥⋅석기문화’로 바라본다. 울진 후포리유적 역시 ‘구릉지’라는 입지 조건, ‘화강암괴’로 둘러진 자연구덩이를 무덤으로 이용한 점, 제천 의기인 ‘옥⋅석기만을 부장’한 점 등을 들어 ‘구릉성 석단총- 옥⋅석기문화’로 바라보게 된다. 후포리 석단총의 묘주들은 후포리 지역사회에 선도제 천문화를 알리고 보급한 중심 인물들로 제천 의기인 마제석부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이자 선인층(仙人層) 즉 사제 계층의 일원이었으리라 미루어 짐작하게 된다.

      • KCI등재

        백두산 서편의 제천유적과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에 나타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권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1990년대 중국측은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라 백두산 일대에서 홍산문화(선상문화 · 예제문화)의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고 일차적으로 백두산 서편 통화지역의 적석 단 · 총에 주목하였다. 통화 일대의 고제단 연구는 1989년 여명 제단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는데, 중국 당국의 주목을 받아 1990년대 10여년간 만발발자 제단 및 여명 제단을 위시하여 무려 40여기에 이르는 고제단군이 발굴조사 되었다. 발굴 결과를 종합해보면, 백두산 서편 제천유적의 기본 성격은 B.C.4000년~A.D.600년경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로 정리된다. 이는 요서 우하량 상층적석총 단계(B.C.3500년~B.C.3000년경)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계승되었다. 필자는 이상의 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백두산 서편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 ② B.C.3500년~B.C.3000년경 요서 우하량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③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을 동일 계통 유적으로 보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총칭해보았다. 중국측이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추진해간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지역을 관통하던 ‘맥족계 선도제천문화권’의 존재가 드러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