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1930년대 고소설 향유 양상과 비평 연구

        이민희(Min-Heui L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8 No.-

        본 연구는 1920-1930년대의 고소설 비평 및 인식의 문제를 짚어보는 데 목적이 있다. 1920-1930년대에 특별히 주목한 이유는 독서물로서의 고소설 향유 양상과 고소설 인식의 문제가 비교적 선명히 포착되는 마지막 시기이면서 근대적 독자와 지식인의 눈에 비친 고소설 인식의 문제와 위상을 들여다 본 기존 연구가 부족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고소설 비평 및 인식의 내용이 그 시기 고소설 향유 양상과 향유 주체와 맞물려 있는 관계로 고소설의 향유 양상과 비평 문제를 함께 다루고자 했다. 1920-1930년대에도 고소설 작품들이 여전히 필사와 세책, 출판물(방각본과 구활자본), 그리고 낭독(음독) 등의 형태로 유통ㆍ향유되었다. 이 시기에 나타난 고소설 긍정론은 새로운 이론적 논거랄 것이 없는 관념적 평가에 그쳤다. 부정론 역시 큰 틀에서는 이전 시기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고소설 비평을 가한 이들이 신학문을 접한 근대소설가나 문학평론가, 국문학자 등의 지식인이었기에, 서양의 문학 이론과 사상적 영향 하에서 고소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개진했다. 특별히 그들은 심미론적 관점에서, 기존에 고소설에 관해 언급되던 도덕적ㆍ교훈적 효용론을 무마시키고 고전문학 자체, 소설 장르 자체의 차별적 특성을 부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고소설이 지닌 서사상의 특징과 향유 방식을 거론하며 부정적 담론을 공고화하고 일반화했다. 그러나 이태준을 비롯해 고소설을 부정적으로 비평한 지식인들이 고소설의 단점이라며 내세운 제반 특징들은 실은 고소설 작품 전체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닌, 당시에 성행했던 구활자본 소설에 국한한 평가의 결과였다. 제한된 소설(특히 국문 영웅소설과 신소설) 작품을 볼모로 고소설의 일반적 특징이라며 운운한 비평의 결과는 그 이후로 오늘날까지 고소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생산해 내는 단초가 되었음을 지적하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고소설 전반의 특성을 제대로 평가함으로써, 교육 현장과 일반인 사이에 잘못 인식되기 쉬운 이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search for the understanding and criticism on old novel in the 1920's-1930's. In these periods, new readers who learned new knowledge and modern sciences appeared in a mass and old novel was criticised in a various perspective by them. Though modern novel was written in a mass, and new reader read it widely, there were still so much readers who wanted to read and hear old novel. A circulation and enjoyment of old novels in the 1920's~1930's were as follows: Copying oneself and lending old novels from lending bookstore, recitation of old novel, publishing of old-type printed novel (舊活字本) and of wood-print old novel for commercial profit(坊刻本), and etc. It was almost same in a way of enjoying old novel, when it was compared with previous period. But one thing was different. That is, old-type printed novel became readable novel, since old-type printed novel had published at the first time in 1912. In those period, there were both viewpoints for the old novel. One was related to the affirmation that old novel give a moral, educational lesson and fun to the readers. But the other was negative view, which is connected with a special quality of old novel, eg., reading aloud instead of silent reading, or fixed and typical character, happy ending, a chance meeting, a exaggerated expression, nonrealistic description, a typical life story of hero and etc. But these negative comments of critics about old novel is just applicable to the old-type printed novel, not to all old novels. It means that negative understanding for a special quality of old novel was caused by the partial and limited criticism of modern-educated critics. We need to undeceive contemporaries of their misconception for old novel's original trait.

      • KCI등재

        전·후기 노인들의 감각기능, 인지기능과 신체기능 간의 관련성

        전소연(So-Youn Jeon),이석구(Sok-Goo Lee)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16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33 No.5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nsory,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young-old and old-old individuals. Methods: Participants were 10,451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raw data of a 2014 National Survey on Korean Older Person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nsory,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Results: The key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5% had poor vision function(young-old 3.5%, old-old 7.1%), 3.8% had poor auditory function(young-old 1.7%, old-old 6.7%), 33.0% had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young-old 30.9%, old-old 35.7%), 3.6% were disabled(young-old 1.6%, old-old 6.3%) and cognitive function influences physical function more greatly than does sensory function. Additionally, in the young-old groups, vision among sensory functions, attention among cognitive functions, and IADL among physical functions, turned out to be the most influential. However, in the old-old groups, auditory function among sensory functions, orientation among cognitive functions, and IADL among physical functions, turned out to be the most influential. Conclusions: This study implies that functions in the young-old and old-old individuals must be considered with all three functions—sensory, cognitive, and physical—together at the same time and that this comprehensive approach is necessary in national policy making.

      • KCI등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윤희,홍주연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2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23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nmet medical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the impact on unmet medical care for the young-old (65 to 74 years old) and old-old (over 75 years old) who have experienced unmet medical care. Methods: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a logistic regression model using data from Community Health Surveys. Results: As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young-old and old-old groups, those whose education level was lower, who had no spouse, whose total household income was lower, and who did economic activit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medical. As for health-related behavior those who perceived stress, whose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poorer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medical in both the old groups. While the types of disease differed between the young-old and old-old groups, morbidity affected the experience of unmet medical. Conclusions: This study aim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welfare policies such as programs that consider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by subdividing age by breaking away from the polic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verage elderly.

      • KCI등재후보

        농촌지역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이명숙(Myung Suk Lee),임현자(Hyun-Ja Lim)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0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5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significant factors in rural elderly(young-old vs old-old).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une 22th to Sep. 18th, 2009. A total of 556 elderly aged 65 years or over were selected from 14 rural districts in C province, South Korea. Ag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s below 65-74 and 75 or older.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ir perceived health status, the difficul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cluded nutrition, stress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exercise, health responsibility and self-actualization. The score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us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2.0. Results: Of the 556 subjects, we found that the young-old(65-74 aged) were 359 and the old-old elderly(over 75 aged) were 197. We found that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higher for young-old (2.75±0.374) compared to old-old elderly people (2.67±0.399).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living with spouse, and number of generation living together for the young-old, and quality of life for old-old elderl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age differences in associated factor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fore our findings may provide useful assistance in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according to their age differences.

      • KCI등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조기노령연금 수급 원인과 정책방안

        김혜진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3 사회복지정책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sons for applying for the early old-age pension and the recipi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how to improve the early old-age pension system. To this e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reasons for applying for the early old-age pension and opinions on how to improve the system among 33 early-age pension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recipients often apply for the early old-age pension for minimum living expenses because of reasons such as unemployment, business failure, and deteriorating health. However, in addition to living expenses, recipients apply for the early old-age pension to reflect their thoughts on economic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uch as believing that it’s economically better to enjoy a comfortable life at a younger age. Recipients also apply for the early old-age pension due to concerns about the depletion of the national pension or disadvantages from other social security systems (health insurance and basic pension). Next, when looking at opinions on improving the early old-age pension, many people indicated they would still apply for the early old-age pension even if the enrollment period and eligibility age were increased. There was an overall positive attitude towards introducing a partial early old-age pension syste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arly old-age pension system in the future, such as strengthening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However, any improvements to the system, like strengthening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and introducing a partial early old-age pension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employment system for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노령연금 신청 이유와 조기노령연금 관련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수급자의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조기노령연금 수급자 33명을 대상으로 조기노령연금 신청 이유와 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노령연금 신청 이유를 파악한 결과 실직이나 사업 실패, 건강 악화 등의 사유로 최소한의 생계비를 마련하기 위해 조기노령연금을 수령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젊을 때 여유 있게 생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등 경제적 유불리에 대한 개인의 생각이 반영되어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국민연금 고갈에 대한 우려나 타 사회복지제도(건강보험과 기초연금)의 불이익에 대한 우려로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기노령연금 개선에 대한 의견을살펴보면 먼저 현행 가입 기간 요건과 수급 연령이 상향되더라도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현재 생활이 어려운 수급자나 연금액이 많지 않은 수급자의 경우 수급 요건이 강화되더라도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겠다는 의견이 두드러졌다. 한편 부분 조기노령연금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조기노령연금의 수급요건 강화, 부분 조기노령연금 도입 등과 같은 제도 개선을 고려해야 할 것이나, 이러한 제도 개선은 고령자 고용제도의 발달을 전제로 도입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농촌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황성호(Seong Ho Hwang),이명숙(Myeong Sook Lee),이성국(Sung Kook Lee)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1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6 No.4

        본 연구는 노인이 하나의 동일한 성격을 가진 집단이 아니라 연령에 따라 다양한 경험과 세대 차이가 있는 하위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65~75세 미만의 전기노인과 75세 이상의 후기 노인들의 특성과 개인별 건강행태 특성, 그리고 현재의 건강상태 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주시 관내 24개 읍ㆍ면ㆍ동 지역의 경로당 이용자 617명(전기노인 287명, 후기노인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실태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과는 남ㆍ여 모두 학력과 직업, 결혼상태, 동거가족에서 전ㆍ후기노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 3회 이상 10분 이상 걷기 횟수는 남자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수면 시간은 남자와 여자노인 모두 전기노인의 수면시간이 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았다. 질병 이환율은 여자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제시한 16가지 계통의 질병중에서 남자 노인은 신경통ㆍ관절염이, 여자노인은 고혈압이 전기노인에 비해 후기노인의 이환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생활수행능력은 경로당을 이용하는 건강한 노인이라는 특성이 반영되어 ADL(일상생활수행능력) 6개 항목을 모두 스스로 실천하는 응답자는 96.4%, IADL(수단적 일상생활능력) 6개 항목을 모두 실천하는 응답자는 90.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태에서 여자는 스트레스와 자살을 생각해본 경험이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고, 구강건강 상태와 청력, 시력은 남자와 여자 모두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ㆍ후기 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에 대한 비교에서 남자는 주 3회 이상 10분 이상 걷기, 수면시간, 구강건강, 청력이, 여자는 수면시간, 스트레스, 청력, IADL이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후기 노인은 전기 노인에 비해서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서 취약하며 이환된 질환의 수는 많았으나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노인은 적었다. 또한 신체활동능력과 정신건강 그리고 구강건강, 청력, 시력이 전기 노인에 비해서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기노인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취약성을 노화과정의 하나로만 볼 것이 아니라 연령층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중의 하나라고 받아들이고 전ㆍ후기 노인들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의 특성에 맞춘 다양한 질병예방, 건강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관리와 지원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rner useful inform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es between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a rural Korean area. Methods: We define the young-old elderly as those 65 to 74 years of age, and the old-old as those over 70. The survey was administered in October and November of 2009 at senior citizen centers in Sangju City, Kyongsangbuk-do, South Korea. The number of subjects surveyed approximated the demographics of the aged popul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centers of 24 eup, myeon, and dong. Results: Compared with the young-old elderly, the old-old were vulnerable to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hile there were many cases of contraction of diseases, only a small percentage of old-old elderly were engaged in regular exercise. In addition, the old-old elderly lagged behind the young-old in terms of physical activity, mental and oral health, hearing, and vision. Conclusions: The vulnerability of the old-old elderly in term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needs to be acknowledged a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at appears according an age group. A variety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focus on the health behavior and status of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need to b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 KCI등재

        노년기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변인의 조절효과: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의 비교

        이윤진,유성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4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variabl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and further to examine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would differ by the age groups, young-old (65-74 years old) and old-old (75 years old and above) older adults. Based on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and Korean culture, it was hypothesized that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were risk factors, and reasons for living related to family was a protective factor tha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 community sample of 2,000 older adults were recruited from Chuncheon, a mid-size city in Korea. The Depressive Symptom Inventory-Suicidality Subscale (DSI-SS) was used to assess suicidal ideation during the past two-week. Participants also completed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Revised (INQ-R), and a subscale of the Reasons for Living Scale-Older Adult Version (RFL-OA) to assess depression, thwarted belongingness,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reasons for living related to family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warted belongingness,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family-related reasons for liv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family-related reasons for living were stronger among the young-old group compared to the old-old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thwarted belongingnes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ial psychosocial intervention approach in suicide prevention for young-old and old-old older adults. 본 연구는 노년기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이 전기 노인(65-74세)과 후기 노인(75세 이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자살에 대한 대인관계-심리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좌절된 소속감과 짐이 되는 느낌이 노년기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조절하는 위험요인이 될 것이라 가정하였고, 한국문화 특성을 고려하여 가족책임 및 자녀걱정으로 인한 삶의 이유가 노년기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완충시키는 보호요인이 될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춘천노인생활 실태조사 패널 1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행동척도(DSI-SS)를 사용하여 지난 2주 동안의 자살생각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한국판 노인우울 단축형 척도(SGDS), 개정판 대인관계 욕구 질문지(INQ-R), 노인판 삶의 이유 척도(RFL-OA)를 사용하여 우울, 좌절된 소속감, 짐이 되는 느낌과 가족책임 및 자녀걱정과 관련된 삶의 이유를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좌절된 소속감과 짐이 되는 느낌, 그리고 가족책임 및 자녀걱정과 관련된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하지만 후기 노인에 비해 전기 노인에서 짐이 되는 느낌과 가족책임 및 자녀걱정으로 인한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좌절된 소속감의 조절효과는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자살생각 감소를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에 있어 노년기 생애 주기에 따른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영화에 투영된 타자화된 노인 : < 워낭소리 >와 < 그대를 사랑합니다 >를 중심으로

        박우성 ( Woo Sung Park )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7

        The old man was alienated from the movie. Recently, Old-man`s film had box office success. < Old Partner >(Lee chung-ryeol, 2009) and < I Love You >(Chu Chang-min. 2011) is it. Discussion in this article will center around finding the key scene to Old-man`s film. However, Especially interesting from our point of view is that the life of the elderly has been distorted in film. To be exact, the entire play is pervaded with Romantic. Regrettably, Old-man`s problem in sociology does not reproduce in film. In this film, by the same token, Old-man`s main problem was covered with excessive rhetorical devices. Their life and relationship were not portrayed in considerable detail. Precisely, Old age problem is reduced. Real old disappears from the frame. In the context of the film industry, to make money, or in the name of beauty. Their love is not real love. It is too romantic. Love is not realistic. As a result, the old man in the film are neglected. In the center, but is alienated. It is intimately linked with Orientalism. It will produce one of the Other`s stereotypes. In other words, the two films shows an Other`s image of the elderly in Korea. They are not modern humans. It should be reiterated that Old-mans life in film were one of pre-modern. In the process, it is by no means a coincidence that they are merely aesthetic objects. They are not of everyday life. The old man is a tourism product. They are just spectacular. 엄밀하게 말해 한국영화에서 ``노인영화``라는 새로운 장르를 규정할만한 토대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어쩌면 사회학적 의미에서의 ``노인``은 한국영화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들은 언제나 주인공의 삶을 보조하는 도구적 인물에 불과했다. 그러던 중 최근 개봉된 두 편의 노인 주인공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노인이 중심이 된 영화의 생산적 토대가 마련되는 분위기다. < 워낭소리 >와 < 그대를 사랑합니다 >가 그것이다. 그런데 본고는 이 두 영화가 노인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음에도 여전히 사회학적 노인문제를 온당히 묘사하는 데는 실패했다고 판단한다. < 워낭소리 >의 경우 자본주의에 적응하지 못하는 노인의 삶을 초월적인 미적대상으로 치환 혹은 단순화시키면서 도리어 노인의 삶이 타자화되고 있다. < 그대를 사랑합니다 >의 경우 원작 만화를 영화적 문법 속에 효과적으로 번역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상업화에 대한 고려나 100분 정도밖에 되지 않는 시간적 한계 탓에 원작이 품고 있는 노인문제를 지나치게 낭만적으로 묘사했다고 판단한다. 결론적으로 초월적인 우정이나 낭만적 사랑의 프레임 탓에 충무로 기성 상업영화에서 쉽게 상상할 수 없었던 노인 주인공의 영화가 탄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도리어 사회학적 노인은 배제되고 있는 것이다. 노인은 낭만화 되거나 미화되어야 할 특별한 존재가 아니다. 자본주의 시스템 안에서 구체적 역사의 현재 진행형을 여전히 감내하는 일상의 생활인일 뿐이다.

      • KCI등재

        인삼의 연생별 지상부와 지하부의 주요 생장반응과 특성에 관한 비교분석

        박성용,이경아,장윤기,김도현,김민수,허수정,정햇님,박기춘,차선우,송범헌 한국약용작물학회 2013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21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have the basic and applied information to develop the cultivation methods and models an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high-quality ginseng. Plant height was dramatically increased from one year old to four years old, and then it was grown up very slowly. Stem length was shown similar tendency as the plant height did. Its range were from 9.4 cm in one year old to about 42.4 cm in four year-old ginseng. The leaf area was clearly increased until four years old, 10.1cm2 in one year old to 204.9cm2 in four years old, while it was slightly increased after four years old. Root length w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one year old until four years old, and then it was grown up very slowly. Tap root length which was measured was appeared about 8 cm from three years old to six years old, showing not much different among the year-olds. The root diameter w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one year old to six year-old ginseng, about 2.9 mm and about 19 mm,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on the shoot than that on the root. It was slightly decreased as they were getting old. In shoot part, the rate of leaves and stems based on dry weight was about 1 : 1. In the root, the dry weight of tap root was heavier than that of lateral root. The dry weight of shoot was decreased after four years old, while it of the root was continuously increased until six years old, resulting the production of ginseng roo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rowth characteristics of shoot and root of ginseng were dramatically increased from one year old to four years old and then their growths were appeared different between shoot and root, showing not much growing in shoot and keep growing in root.

      • KCI등재

        연소노인, 고령노인, 초고령노인의 우울 수준 및 우울 관련요인 비교:일상적인 근심의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인정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7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8 No.-

        본 연구는 연소노인, 고령노인, 초고령노인의 우울 수준 및 우울 관련요인들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였다. 특히, 일상적인 근심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세 연령집단에서 존재하는지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74세 노인 211명, 75세-84세 노인 233명, 85세 이상 노인 154명을 면접하였으며 chi 검증,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고령노인이 연소노인, 고령노인보다 우울 수준이 높았다. 둘째, 일상적인 근심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연소노인, 고령노인, 초고령노인의 우울에 공통적으로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에서, 사회적 지지는 연소노인과 초고령노인에서 각각 일상적인 근심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입, 연소노인과 초고령노인의 사회적 지지 활성화 등 실천적 방안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worry and psychosocial resources on depression of the young old, the older old, and the oldest old. Especially, it tried to test if psychosocial resources(self-esteem, social support) attenuated the influence of worry on depression among these three groups. Survey data collected from 598 community residing older persons(211 young old, 233 older old, 154 oldest old) were used for chi-square 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depression was much higher in the oldest old than in other two groups. It was also found that worry was strongly related to depression among all three age groups. In regard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resources, self-esteem buffered the negative impact of worry on depression of the young old and the older old. Social support buffered a negative impact of worry on depression of the oldest old and the young old. According to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