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말려초 재지성주의 장군칭호의 의미

        강문석(Kang, Moon-seok)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7

        이 글의 목적은 나말려초 재지 지방통치자의 칭호인 성주와 장군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나말려초 중앙에서 자립한 재지 지방통치자는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나 장군, 혹은 성주 · 장군, 지주제군사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칭호중 공식적인 칭호는 금석문에 기록된 지역명을 관칭한 장군과 지주제군사였다. 재지 지방통치자가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나 성주・장군으로 기록된 점에서 관칭한 지역명의 성과 지방통치자의 관계가 어떠하였는지 논의가 있었다. 이 논의는 하나의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두 개의 견해로 나뉘었는데 재지 지방통치자가 관칭한 성에서만 세력이 있었다고 본 견해가 있고, 재지 지방통치자가 관칭한 성뿐 아니라 일정군현정도의 영역까지 세력이 있었다고 본 견해가 있었다. 사료를 검토한 결과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 · 장군은 관칭한 지역이 포함된 군현정도의 영역까지 세력을 미치는 존재였다. 재지성주의 공식칭호인 지역명+장군과 지주제군사 중 지역명+장군은 재지성주가 일차적으로 자칭한 것이다. 이들이 장군직을 자칭한 것은 신라하대부터 골품제와 상관없이 일정부대의 지휘관을 장군으로 경칭한 것의 연속선상에 있었다. 재지장군은 대장군도 자칭하였는데 역시 신라하대의 연속선상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장군을 칭한 재지장군은 장군을 칭한 재지장군보다 병사가 많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세력을 대장군이라는 호칭으로 표현하였다. 재지장군은 후삼국중 고려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대부분 고려에 귀부한다. 고려는 재지성주가 자칭한 장군직을 인정하고 고려중앙의 장군으로 받아들였으나 재지성주가 자칭한 대장군직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고려에서 대장군직은 중앙의 군관중 장군직을 맡은 사람이 승진하는 경우 주어졌다. 고려는 장군직과 대장군직을 구분하여 귀부한 재지장군을 중앙의 장군직에 준하여 받아들이고 중앙의 대장군휘하에 두는 통제책을 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title of a local general and a local Sung-joo in the Late-Silla & Early Koryo Period. The local ruler had some titles. One was a Sung-joo, another was general, and so on. The local ruler lived a fortress, so most people called him Sung-joo. But the official title of the local ruler was the general. The local ruler called himself a general, because he was a military commander, and a general was a title of honor. Since King Shin-moo(神武王) called Chang Po-go(張保皐) a general, the general title was a title of honor regardless of Golpoomje(骨品制). The local ruler who had more soldiers than any other generals, called himself a major general (大將軍). Koryo Dynasty was stronger than Silla and the late Baek-je(後百濟), so many local generals made an alliance with Koryo. Koryo Dynasty accepted them and treated them as a general of Koryo. But Koryo did not accept the title of a major general. Koryo Dynasty permited the title of a major general in the only central army. The major general in Koryo controlled the local ge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