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적 전회와 분석철학

        한상기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건지인문학 Vol.0 No.22

        Analytic Philosophy is roughly 100 years old, and it is now the dominant force within Western philosoph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review the historical origins and roots of analytic philosophy at present, and to examine what are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what is called “analytic philosophy” as analytic philosophy. Some have found that there is a single characteristic that defines an analytic philosophy and have attempted to define analytic philosophy based on any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There are, however, many things based on prejudices or misconceptions that are easily refuted. For example, it is sometimes believed that analytic philosophy is committed to a thoroughly anti-metaphysical stance, analytic philosophy ignores or neglects history of philosophy, or analytic philosophy adheres to allegiance to science and scientific method. These beliefs are cases of typical biases or misconceptions about analytic philosophy. However, there is a view about analytic philosophy that can not easily be refuted. It is the view that analytic philosophy is essentially linguistic philosophy, and analytic philosophy was born when philosophers adopted linguistic turn. Among others, M. Dummett argued that “analytical philosophy was born when the linguistic turn was adopted”, and is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of analytic philosophers who has this vie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is view, among other attempts to define analytic philosophy, that analytic philosophy was born through linguistic turn and that analytic philosophy is linguistic philosophy. I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s “linguistic turn” or “linguistic philosophy” by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the various contexts in which these expressions are used, and then consider whether linguistic turn is defining characteristics that can define analytic philosophy. In this process, we pay attention to the revolutionary nature of the 20th century analytic philosophy and examine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analytic philosophy and Wittgenstein’s linguistic turn. In conclusion, we will argue that linguistic turn is a feature of some phases of analytic philosophy, but it is insufficient to cover all phases of analytic philosophy. As a result, I would argue that linguistic turn as well as other prejudices or misconceptions can not be regarded as a single characteristic that defines analytic philosophy.

      • KCI등재

        ‘언어적 전회’에서 ‘인공적 전회’로: 합성곱 신경망과 오토인코더를 중심으로

        박승일 한국언론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20 No.2

        본 연구는 2012년의 두 실험, 즉 약칭 ‘알렉스넷’과 ‘구글의 고양이’에 대한 기술공학적인 분석을 통해 이것이 과연 어떤 이유에서 인공지능 개발사에 종별적인 차이와 함께 거대한 변혁을 가져왔는지를 검토한다. 특히 두 실험의 핵심 기술인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과 ‘오토인코더(Autoencoder)’를 살펴보면서 그 각각의 원리와 작동, 메커니즘을 가능한 한 정교하게 언어화해 나간다. 기술에 대한 번역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글은 이러한 기술적 논의를 연결 고리 삼아 인문사회적인 질문을 던지는 데까지 논의를 확장해 나간다. 무엇보다 이 글은 인공지능이 기존의 ‘언어적 전회(Linguistic Turn)’, 즉 언어가 우리의 사유와 경험을 구성한다는 문제설정을 어떻게 기술적 차원에서(기술적 언어를 통해) 반복하는지를 파고들면서, 기계에 의한 또 다른 전회의 가능성, 이른바 ‘인공적 전회(Artificial Turn)’의 성립 여부를 원리적 차원에서 점검한다. 인공지능이 자체의 고유한 방식을 통해 기표와 기의를 결합시키고 또 그럼으로써 이 세계를 인식하고 (재)구성한다면, 마치 언어가 그러했듯이 이 또한 어떤 전회의 한 계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이 글은 이를 인공지능이라는 기술적 대상을 중심으로 한 인공적 전회로 규정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인공적 전회를 언어적 전회와 나란히 읽어내는 데 그치기보다는, 도리어 그것이 어떻게 언어적 전회를 그 내부에서부터 침식하고 변형하는지, 또 그럼으로써 어떻게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사유를 요청하는지를 규명한다. 인공지능과 언어(기호), 세계, 그리고 (기술적)존재로 이어지는 새로운 계열을 묻는 것, 이것이 이 글의 핵심 질문이다. This study attempts a technical engineering analysis of two experiments in 2012, namely ‘Alexnet’ and ‘Google's Cat’. Through this, we examine why these two experiments have transformed the history of AI development along with their difference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principles, operation, and mechanism of each of the two experiments' core technologie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Autoencoder’. It can be said to be a translation of technology. Next, the article builds on this discussion and extends it to ask humanistic and social questions. Among other things, this article explores how AI technologically repeats the Linguistic Turn, the idea that language organizes our thoughts and experiences.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another turn by the machine, the so-called ‘Artificial Turn’, is examined at a principle level. If AI can combine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in its own way, and as a result, recognize and (re)construct this world, wouldn't this also be an opportunity for some turn, just like language did? We define this as an Artificial Turn centered on a technological object(AI). Lastly, we examine how an Artificial Turn transforms a Linguistic Turn from within and how it calls for a new way of thinking that is different from before. This is the central question of this article, asking for a new series of connections between AI and language, worlds, and existence.

      • KCI등재

        (탈)식민의 역사주의에서 언어적 전회로 2000년대 이후 이태준 연구의 방법과 논리

        최현희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2 No.-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Yi T’aejun studies during the decade from 2004 to 2014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Linguistic Turn. Since the mid-2000s, the mainstrea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field has been under considerable influence of Post-colonialism studies and Cultural Studies. Korean literature scholars in the trends regard Literature not as a given but as a historically constructed discourse. The transition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is what I call the strategical turn from the Literature to the Discourse. Yi T’aejun studies from the last decade substantialize this turn in their analyses with the problematique of Hybridity and Language Consciousness. However, the turn remains incomplete as they see an immediate reflection of the Reality from Yi T’aejun texts’ hybridity and passive resistance against the Reality from the perversity of Yi’s theory of “Munjang” [sentence, language, or words]. They originally intended to describe how modern conception of Literature is contingent on particular historical context at the Linguistic Turn. However, they find themselves trapped in, if not unconsciously endorsing, Historicism, which is discursively rendering Literature as a given. Their initial conscious intention to overcome Historicism in literary studies remains unfulfilled as they unconsciously assert their own version of Reality as the only tenable reality on the hermeneutic horizon of the History. Here, student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must learn the following ironic lesson: that literary studies are allowed to achieve historicity when they thoroughly accomplish the task of the Linguistic Turn and confine themselves strictly to the level of Discourse. 이 글은 2000년대 중반부터 2014년 현시점까지의 이태준 연구의 경향을 ‘언어적 전회’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탈식민주의와 문화연구의 흐름에 견인된 2000년대 중반의 한국근대문학 연구는 ‘문학’을 소여(所與)로 보지 않고 역사적으로 구성된 ‘담론’으로 보는 관점을 취한다. ‘문학’으로부터 ‘담론’으로의 전회라는 방법론상의 자각은, ‘혼종성’과 ‘언어의식’을 해석학적 지평으로 삼아 분석한 이태준 연구들로 실체화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궁극적으로, 이태준 텍스트의 혼종적 면모를 당대 ‘현실’의 무매개적 반영으로 보거나, 문장론에서 나타나는 ‘문장’ 개념의 전도성을 ‘현실’에 대한 저항으로 보는 한계를 보인다. 이는 ‘문학’ 자체의 역사성을 기술하려고 했던 엄밀한 객관주의 정신이, 자기가 인식한 ‘현실’만이 ‘역사’의 보증을 받는 유일한 버전의 현실임을 강요하는 역사주의로 빠져버렸음을 의미한다. 결국 ‘문학’ 자체의 존재를 담론적으로 정당화하는 역사주의 극복이라는 과제는 아직 완수되지 못한 채로 남는다. 이는 한국근대문학 연구가 ‘역사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더욱 ‘담론’ 차원에의 집중을 철저히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려준다.

      • KCI등재

        유명론과 언어적 전환 - 인문 교육의 힘

        백도형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3 인간 · 환경 · 미래 Vol.0 No.31

        심신 문제는 인간과 자연 간의 형이상학적 관계를 묻는 문제이다. 나는 그동안 심신 문제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인 정신 인과mental causation의 문제를 ‘심신 유명론psychophysical nominalism’이라는 입장으로 해명하였다. 심신 유명론은 물리적인 것에 대한 유명론을 함께 주장하고 있는 만큼 ‘형이상학적 유명론’이라는 보다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유명론의 형이상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확장해 보려고 한다. 나는 이 글에서 유명론이 개별자 존재론의 입장 뿐만 아니라 20세기 이후 서양철학을 포함한 서양 학문 일반에 널리 퍼져 온 ‘언어적 전환linguistic turn’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입장임을 논하려고 한다. 유명론에서 말하는 언어 범주, 즉 이름 뿐인 것은 다른 말로 하면 의미를 지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의미를 지닌 것의 총체를 우리는 ‘문화’라고 칭해 왔다. 유명론이 실재론에 대비되는 입장 중 하나이듯이, 그리고 그 때의 ‘실재’의 조건은 정신이나 주관(혹은 주관의 인식)으로부터 독립적이라는 점과, 문화를 흔히 자연과 대비되는 것으로 본다는 점은 서로 통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사실상 ‘언어적 전환’은 ‘문화적 전환’일 수 있다는 점도 살펴보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 결국 자연과 세계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문화적 전환을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요즘 현실 사회에서 흔히 거론하는 ‘인문학의 위기’와는 상관없이 철학을 비롯한 인문학적 통찰이 보다 더 중요하게 평가받아야 하며 인문교육이 보다 더 실용적인 것으로 인정받아야 마땅하다는 점을 결론으로 제시하려고 한다.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physical nominalism” I have explained mental causation, a central topic in the mind-body problem. Psychophysical nominalism can be a general and comprehensive view called "metaphysical nominalism" by taking a nominalist position on physical entities.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metaphysical nominalism can embrace both particularism and the "linguistic turn" that has spread across Western academic disciplines, including philosophy, since the 20th century. Metaphysical nominalism suggests that linguistic categories and names have meaning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ulture." Therefore, it is worth considering that the commonly understood "linguistic turn" can be seen as a "cultural turn." Accepting these ideas implies accepting the linguistic and cultural turns regarding nature and the world. So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practicality of philosophical and humanistic insights, including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또 다른 근대의 사회학과 문화 이론

        이성화(Seonghwa Lee) 한국정치사상학회 2004 정치사상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역사 또는 사회적 문맥에 뿌리박지 못한 근대 체계에 비판적인 한편 분화된 사회적 기제로써 사회적 기반의 본질적 토대를 해체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권력 담론과 형식 분화된 사회의 자기소모적 다원성에 비판적이다. 미리 주어진 범주 또는 본질의 규범 하에 통제되었던 근대적 사회체계와 개인의 행동은 인간성과 사회의 분화로 그 존재를 정초할 수 없이 불확실하게 되었다. 근대의 주변 담론과 근대 후기의 분화된 인간성과 사회는 근대적 사회체계와 개인이 정초하고 있는 이성 또는 주관의 본질을 해체하며 순수화된 논리 안에서 예측할 수 있었던 사회체계의 역할과 개인의 행동에 불확실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우연성과 가상 현실의 이미지 유희는 근대사회학에 균열을, 문화 이론에 ‘차이’의 문제를 제기한다. 보편적 사회학과 문화 이론의 불가능성은 분화된 사회와 개인의 또 다른 정체성을 모색하는 출발점이다. 이른바 “또 다른 근대(another modernity)”의 규율이란 ‘재 반성’, ‘재 기술’, ‘재문맥화’의 전통으로서 근대적 주관의 ‘의식’ 또는 ‘물질’ 본질의 “언어적 전환(linguistic turn)”을 가리키는 것이며 “해석학”의 토의적 이상 또는 “생체미학(kinaesthetics)”의 공감적 언어 소통에 의해 개인과 사회의 본질적 토대를 대체한다. 그러므로 사회학과 문화 이론에서의 이른바 언어적 전환은 생활된 언어 공간의 ‘내재적 규율(coherence)’을 기술하는 “문화적 전환”이며 문화적 전환은 곧 생활세계로의 전환이다. “생활세계”의 언어적 토대는 근대적 물질 또는 의식의 본질적 토대로부터 분화된 ‘비본질적 토대’로서 담론의 역사적 문맥, 공론의 이상, 언어 표상의 구조로서 조건지어진 사회 또는 문화의 문맥을 생활세계의 살아있는 소통적 언어로서 재기술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가 기술하는 ‘재 반성’, ‘재 기술’, ‘재 문맥화’의 또 다른 사상 전통은 실증적인 사회 구조 또는 역사적 사실에 토대한 근대정치에서의 사회와 문화를 비본질적 토대의 언어로 대체하는 전환적 정치 사상이다. “우리들의 정치”는 해석학적 ‘공론’의 이상과 생체미학적 ‘생활모습’의 공감으로 숭고화된 ‘대안’ 정치로서 제시되며 세간적 정치의 역사적 문맥 또는 물리심리적 사실로서 기술된 사회성과 개인성을 소통적인 한편 초월적인 것으로 재 문맥화 한다. ??Modern social system and individual identities are founded on the pre-given rules of logocentric reason and substance as the base of social and individual action. In contradiction, the historiography of the other discourses at the margins of logocentric modernity and the dispersed systems of 'high modern' society set the stage of contemporary social and individual identity for uncertainty. In specific, living with contingency in the age of postmodernism forced upon modern sociolgy and cultural theory with the decline of their identity. The impossibility of universality in sociology and cultural theory takes its point of departure to find the other rationality to encounter with the differentiated society and personalities. This other rules which I take as “another modernity” in the tradition of 'reflexivity', 'redescription' and 'recontextualization' is a turn from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materialism to linguistics of 'hermeneutics' and 'kinaesthetics' of our communication. The so called “linguistic turn” is thus a “cultural turn” from the logic of modern rationality and substance to the coherence of lived space of communication. Linguistic turn finally turns out to be the turn to “life-world”, which reconfigures historical context of discourse, idealized deliberation and structure of metaphor by lived space of hermeneutics and kinaesthetics of our communication. In response, “politics of ourselves” in terms of “public deliberation” and sublime “lifestyle” is presented as an exit from empiricism of modern political thought that presumes pure logic, objective structure and historical fact of socio-cultural identity. In consequence, this thesis on the other politics subsumes 'another modernity' as an 'alternative' political thought which recontextualizes both structure of sociohistorical context and mundane psychophysical fact of modern/postmodern politics through 'transversal' “transcendence” and lateral sublimation.

      • KCI등재

        ‘문화학적 전환’ 시대의 텍스트언어학을 위한 시론

        조원형 ( Cho Wonhyong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21 텍스트언어학 Vol.50 No.-

        In this study I have demonstrated that there is already a great deal of meaningful research on ‘cultural linguistics’ that has been conducted by Korean and European linguists. The result of this body of work is that the ‘cultural turn’ is well recognized in the modern linguistics. However, the theoretical basis of cultural linguistics remains open to debate. Thus, I have discussed in this study that the linguistic theory of Wilhelm von Humboldt coul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ext linguistics in the era of the ‘Cultural Turn’. This applies specifically to his ‘energeia’ theory as well as his effor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human thought.

      • KCI등재

        ‘언어로의 전회’와 인문학으로서의 작가론

        김예리(Kim, Ye Rhee)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지금까지 본 논문은 ‘언어로의 전회’ 이후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작가론이라고 하는 연구 형식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지, 그리고 여전히 유효하다면 작가론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문학 연구가 담론 연구 중심으로 전환되고, 저자라는 개념 역시 담론의 질서 속으로 포섭이 된 이 시대에, 작가론이라고 하는 이 고루한 문학 연구 형식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 이유는, 작가론의 목표가 단지 ‘저자의 의도’를 밝히는 데에 있는 아니라, 저자가 그런 의도를 품고, 또 그런 말을 하게끔 한 원인을 읽어내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는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즉, 저자가 하는 말이 담론의 구조 속에서 비틀려버렸기 때문에 비로소 저자들이나 저자들의 말이 차지하고 있어 보이지 않던 ‘저자의 자리’가 보이기 시작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저자가 죽은 뒤 마침내 드러난 ‘저자가 차지하고 있던 자리’란 작가가 자신의 말로 감추고 있던 바로 그 자리이자, 누구나 그 자리에 들어서면 그 말을 할 수밖에 없게 하는 일종의 억압인 동시에 칸트적인 의미에서의 초월론적인 형식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발견된 형식이란 담론이라는 언어의 그물망 속에 갇힌 작가론이라는 글쓰기가 언어의 그물망으로부터 탈출하여 마침내 다가가야 할 문학적 진실 그 자체이다. 문제는 구조주의 이후의 시대 작가론의 새로운 연구 대상이 된 이 ‘문학적 진실’이 네거티브하지 않은 방식으로 언어화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데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은 작가론이 나가야할 방향으로 트랜스크리틱을 제안했다. 작가론이 작가의 진실이라는 것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그것을 숨기면서 드러내는 방법 밖에 없고, 이는 곧 자신의 시선을 이동시키는 행위가 없으면 작가의 진실은 결코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research type as the study of authorship still stands, despite the linguistic turn. Even though the author has already been sentenced to death, the reason that the study of authorship is still valid is the fact the goals of the study shifted. The goal of the study in the era in which the concept of the author was valid aimed to find the intension of the author, wherea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of authorship is extended even to reading the author’s unconsciousness. The ultimate goal of such a converted purpose is to look out a transcendental form from the Kantian meaning. This form means the truth of literature, which the writing named the study of authorship captured in linguistic order should come close to, after escaping linguistic order. This truth of literature, which has been dealt as an object of the study of author since the era of structuralism, does not have methodology to be expressed in language in a non-negative way. For this reason, this paper suggests the transcritique to which the study of authorship should move forward. The truth of author should be revealed in a veil for the study of authorship to approach the truth of author. This is because it means that the truth of author never comes out without an act moving a researcher"s point of view.

      • KCI등재

        일반논문 : 분석철학과 언어적 전환

        엄정식 ( Jung Sik Um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논집 Vol.27 No.-

        분석철학은 현대철학의 한 조류로서 "언어분석"이라는 철학적 방법론에 의존하며 "과학정신"이라는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철학사적으로는 플라톤의 존재적 전환 및 데카르트의 인식적 전환에 비견되는 "언어적 전환"의 계기를 마련 하였으며, 문명사적으로는 과학적 탐구와 그 지식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성찰에 관여함으로써 과학기술시대를 풍미하는 현대철학의 한 전형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의 새로운 언어관과 쿤의 역사주의적 과학관이 등장함으로써 분석철학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정체성의 문제에 부딪치며 이른바 "후기 분석철학"의 형태로 전개된다. 데이빗슨을 중심으로 해서 칸트적 전환이 이루어진 후 분석철학은 로티와 퍼트남의 주도로 신실용주의의 입장에서 활로를 찾고 있는데, 그것이 어떻게 전개될지는 아직 미지수로 남아 있다. 그러나 언어적 전환을 통해 포퍼가 강조하는 비판적 합리성을 극대화함으로써 과학정신을 구현하는 분석철학은 현대를 대표하는 철학사조로 계속 군림하게 될 것임에 틀림없다. As one of major contemporary philosophical currents, analytic philosophy relies upon such methods as "linguistic analysis", and reflects "scientific spirit", the spirit of the time. Philosophically, it has initiated the so-called "linguistic turn", which may well be compared with other two major changes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Platonic "existential turn"and the Cartesian "epistemic turn" on the one hand, moreover historically` it has proved to be the embodiment of the scientific spirit by means of engaging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on the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alytic philosophy, however, has experienced radical changes and confronted with the problem of identity, mainly due to the later Wittgensteinian conception of language and the Kuhnian historicist`s view of science. Such changes have eventually resulted in its transformation into "post-analytic philosophy". At the present moment,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at analytic philosophywoud be like in the future, although R. Rorty and H. Putnam have played leading roles in finding the neo-pragmatic way out of living ever since D. Davidson had revived the Kantian stance. In any case, it is quite certain that analytic philosophy would successfully accomplish its historical mission as one of the contemporary philosophical currents in realizing the scientific spirit by maximizing the Popperian notion of critical rationality.

      • KCI등재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1)

        정영근(Young kun Tschong)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도상적 전환’(iconic turn)이라는 문화과학에서의 패러다임 변동이 인간의 인식과 교육에 주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시대적 전환이 교육학에 주는 영향과 시사점을 고찰하기 위해 ‘언어학적 전환’에서 ‘그림 및 도상적 전환’으로의 패러다임이 넘어가게 되는 과정을 서술하고, 그에 따른 그림 인간학적 관점의 형성이 교육과 교육학에 주는 의미를 파악하며, 이와 같은 전환의 연속적 과정에서 교육학적 지식과 교육학의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세부내용으로는 먼저 ‘도상적 전환’으로의 패러다임 이동이 발생하게 된 학문사적 배경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장했던 철학과 미술사학 분야의 주창자들의 관점과 문제제기를 통해 살펴본다. 그 다음에는 그림과 영상의 인간학적 차원을 파악하려 시도했던 Belting의 독특한 관점을 설명하면서 그것이 교육학적 사유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를 해석하는 부분에서는 독일의 경우 이러한 전환이 교육학 연구에 어떻게 수용되고 내용화되는지 언급하고, 또 ‘도상적 전환’에 따른 지식의 관점 변화를 소개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러한 전환의 시대에 교육학이 영상과 문자 텍스트 사이에서 어떠한 인식관심과 실질적 대처를 해나가야 할지 제안하고 있다. Die Bedeutung von Bildlichkeit für Erkenntnisfragen hat in den 1990er Jahren in den Geisteswissenschaften zu einer ikonischen Wendung bzw. zum ‘pictorial turn’ oder ‘iconic turn’ geführt. Die ikonische Wendung steht in kritischer Abgrenzung zum ‘linguistic turn’ von R. Rorty und damit zu sprachanalytischen, philosophischen und linguistischen Positionen, die jede Form der Erkenntnis als Problem der Sprache darstellen. Seitdem gewannen Bilder neben Repräsentationen von Wirklichkeit in Form von Texten als Quelle von Erkenntnis zunehmend an Beachtung, so auch in jüngerer Zeit in den Sozial- und Erziehungswissenschaften. Für Boehm ist das Kunstbild als jenes Bild zu betrachten, das seiner Genesis wie seiner Geltung nach diese Erkenntnisfunktion geradezu verkörpert. Aber Belting betrachtet das Bild aus anthropologischer Perspektive. Während Boehm die Arbeit am Bild vordringlich unter dem Aspekt des Bildes als Medium der Erkenntnis und der Reflexion auf Wahrnehmung betrachtet, sieht Belting den Hauptweg dieser Arbeit in einer anthropologisch orientierten Wissenschaft, die sich als Sach- und Kulturkunde des Bildes versteht. Inwieweit ein ‘iconic turn’ zu einer Vertiefung der Bildung des Menschen beiträgt, lässt sich aus der Praxis noch nicht beantworten. Es gibt aber durchaus trifftge Gründe, warum das Bild bzw. Bilderwelten in den Fokus der pädagogischen Diskussion rücken. In dieser Abhandlung wird versucht, die ikonische Wendung aus pädagogischer Perspektive zu interpretieren.

      • KCI등재

        발화 속도와 말차례 교체 빈도에 따른 운율 단위 변화에 관한 연구

        원유권 한국음성학회 2022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4 No.2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peech appearing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s Daily Conversation Speech Corpus (2020) and reveal how the speech rate and the frequency of turn-taking affect the change in prosody uni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onation phrase, word phrase frequency, and speaking duration as the speech speed increased; however, the correlation was low, and the suitability of the regression model of the speech rate was 3%–11%, which was weak in explanatory pow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peech rat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turn-taking, and the speech rate decreased as the frequency of the turn-taking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frequency of turn-taking increased, the frequency of intonation phrases, the frequency of word phrases, and the speaking duration decreased; there was a high negative correlation. The suitability of the regression model of the turn-taking frequency was calculated as 27%–32%. The frequency of turn-taking functions as a factor in changing the speech rate and prosodic units. It is presumed that this can be influenced by the disfluency of the dialogue, the characteristics of turn-taking, and the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spe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