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정당한 사유의 확대에 관한 연구

        김수란,장재형 한국조세연구포럼 2019 조세연구 Vol.19 No.4

        The current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has been continuously expanding the taxation of gift tax since the revision of the Tax Law in 1996, and has been defining the concept of gift very broadly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in 2003. In reality, there is a high risk that a taxpayer may be unfairly taxed on a transfer that is not actually a gift, but is included in the comprehensive 'gift' concept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refore, the more comprehensive the concept of gift is, the more proportionally the general reasons for exclusion, such as "Just Cause in the practice of the transaction", should be expanded. Then, the error by the extended gift concep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Even if the gift tax is exclude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income tax can be used as a tool for general taxation.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bove question.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mprehensive Taxation in Korea and contemplating the theoretical reasons why “Just Cause” should be expanded, we have set three system assessment standards based on foreign legislation. In addition, specific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Firs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Just Cause” for exclusion of gift taxes to transactions between related parties, because the relationship itself should not be the basis for gift tax, even if the existence of a special relationship may be subject to a strong presumption of the gift tax. Therefore, by reference to the US case, the exclusion rules for related parties should be prepared. Second, unlike other countries, there are some regulations in Korea that include market returns in the taxable amount of gift tax when the value increases as the state of the subject of gift changes, such as the conversion of bonds to stocks. However, it is reasonable to exclude them from gift taxation because they belong to “Just Cause”. Some provisions which currently require taxation of all economic benefits, including market returns, need to be amended. Lastly, the current law only recognizes “Just Cause” as a case where trade practices are formed, which limits the exclusion of gift tax. As a broader concept, the scope of “Just Cause” should be extended to reflect the concept of “at arm's length”. Furthermore, even if there is no "Just Cause in the practice of the transaction", the tax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that only the portion to be taxed as 'gift' can be taxed by separating the part to be taxed as income tax from the part to be taxed as gift tax.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1996년 세법개정이래 증여세 과세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오면서, 2003년 완전포괄주의 도입과 함께 증여의 개념을 매우 폭넓게 규정하고 있다. 이에 납세자는 법 해석상 포괄적인 ‘증여’ 개념에는 포함되나 실질적으로는 증여가 아닌 부분까지도 부당하게 과세될 위험이 커졌다. 따라서 증여개념이 포괄적으로 확대될수록 불합리한 과세부분을 배제할 수 있는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와 같은 일반적인 적용배제사유도 비례적으로 확대되어야 확대된 증여개념에 따른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증여세가 배제되더라도 소득세가 일반적인 과세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인식하에 필요한 부분에 한하여 증여세로 과세한다는 원칙의 수립과 포괄증여과세에 대한 실용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정당한 사유가 확대되어야 하는 이론적 이유와 우리나라의 포괄증여과세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본 후, 주요국의 입법례를 바탕으로 세 가지 제도평가 기준을 세워보고 이를 토대로 현행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입법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특수관계의 존재는 증여세를 과세할 만한 강력한 추정의 대상은 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관계 자체가 증여세를 과세하는 근거가 되어서는 안되는바, 증여세 배제요건인 정당한 사유를 특수관계인 간의 거래까지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국과 같이 특수관계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포괄증여과세가 되지 않도록 특수관계인에 대한 증여과세 배제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사채의 주식전환과 같이 증여대상의 상태변화에 따라 가치가 증가한 경우 그 가치증가분까지 증여세 과세대상에 포함하는 일부 규정이 존재하나, 그 가치증가분 중 정상적인 시장수익율에 해당하는 부분은 증여세 과세를 배제하고 소득세의 과세 틀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현재 시장수익률을 포함한 모든 경제적 이익을 과세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의 일부 규정은 수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현행법상 정당한 사유를 ‘거래의 관행이 형성된 경우에 한정’하여 인정하고 있어 증여세 배제사유가 제한되고 있는바, 보다 넓은 개념인 시장의 거래조건(at arm's length)을 반영하여 정당한 사유의 범위를 확장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증여세로 과세될 부분은 증여세로, 소득과세로 과세될 부분은 소득세 또는 법인세로 과세하여 과세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분양사업을 통한 주주의 간접이익에 대한 증여세 과세 쟁점―상증세법 제42조의3 및 포괄증여 개념의 해석론을 중심으로―

        정연대,정지선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3 세무와 회계 연구 Vol.12 No.1

        In the traditional way of gift, The decrease of donor’s property is as same as the increase of donee’s one. so it is easy to figure out the gift tax requisition. That’s why there is little dispute. However, the profit sharing through a profit-making corporation which only increase the donor’s property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the tax requisition about established rules and to judge whether gift tax can be levi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of gift. That parents with experience and know-how in sale in lots transfer the profits of real estate sales to their children as a means of the sale is a type of indirect gift. Because it provides an opportunity of acquiring economic benefits to their children. In the case of expedient gift, the tax office has continuously attempted to levy based on the article 42-3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donation of profits resulting from increase in value of property after acquisition of property) or the article 2-6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comprehensive gift). The tax tribunal takes a position that gift tax can be levied if the sale rate is good, and in the opposite case, gift tax can not be levied. This is because of wide application about the tax requisition of established rule and comprehensive gift taking into account the intent of all inclusive theory. However, traditionally, the court that regards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as important tends to narrowly apply the tax requisition of related laws in spite of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gift. The taxpayers can be embarrassed because of different situation between court and tax practic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supreme court ruling.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opinions on the tax requisition of article 42-3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After supplementing and reorganizing the gift tax law and legal system in 2015, there has been considerable opinions that the gift tax can be levied because the value of property can be calculated in a reasonable and objective way by applying similar established rules as long as it is included in gift concept. We can not know at the present time what ‘reasonable and objective way’ is. Generally, they seem to think that they can be resolved by the accumulation of precedents. However, it is hard to accept because it is contrary to the rule of law to solve most of the tax requisitions by the accumulation of court rulings. The taxation disposition for indirect profits of the sale in lots is very similar to deeming profits to have been donated through transactions with specially related corporations or deeming profits accruing from business opportunities provided by specially related corporations to have been donated. As concerns the distribution of profits, such as tunneling, there is a prescript which levy the gift tax on the increase of stock value, unrealized profits, by deeming gift and also adjust double taxation between the dividend income and the capital gains tax. If the gift tax is levied on indirect profit of sale in lots by comprehensive gift concept, the ratio amount of taxes can be close to 80% to 90% of the sale in lots profits. Since there is no double taxation adjustment device. This will have implication for the confiscation or collection of criminal proceeds. so legislative improvement must be needed. 전통적 방식의 증여는 증여자의 재산 감소액과 수증자의 재산 증가액이 같기 때문에 증여의 과세요건 사실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다툼의 소지가 적다. 그러나 증여자의 재산이 감소하지 않으면서 수증자의 재산만 증가하는 영리법인을 통한 이익분여는 예시적 규정에 관한 과세요건 사실에 관한 해석이 복잡하고 나아가 포괄적 증여 개념으로 증여세 과세가 가능한지에 대한 판단이 매우 어렵다. 분양사업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부모가 분양사업을 수단삼아 부동산 분양이익을 자녀에게 이전하는 것은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자녀에게 제공하는 간접증여 유형이다. 이러한 유형의 편법 증여에 대해 과세관청은 상증세법 제42조의3(재산취득 후 재산가치 증가에 따른 이익의 증여) 또는 상증세법 제2조 제6호 등(포괄적 증여 개념)을 근거로 지속적인 증여세 과세처분을 시도하고 있다. 조세심판원은 분양률이 양호하면 증여세 과세가 가능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증여세 과세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예시적 규정의 과세요건이나 포괄증여 개념을 완전포괄주의의 도입취지를 고려하여 넓게 해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중요시하는 법원은 포괄적 증여 개념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령의 과세요건을 좁게 해석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과세실무와 법원의 입장이 달라 납세의무자로서는 여간 곤혹스러운 일이 아니다. 상증세법 제42조의3의 과세요건에 관한 다양한 해석과 의견이 존재하지만 대법원 판결이 없기 때문이다. 더불어 2015년 상증세법령 및 법체계를 보완․정비한 이후에는 증여 개념에 포섭되기만 하면 유사한 예시적 규정을 준용하여 합리적․객관적인 방법으로 증여재산가액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증여세 과세가 가능하다는 의견이 상당하다.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지만 대체로 판례의 축적을 통해 해결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그러나 과세요건의 대부분을 법원 판결의 축적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조세법률주의에 반하는 것이라 수용하기 힘들다. 분양사업을 통한 간접이익에 대한 조세부담 체계는 이른바 일감몰아주기 또는 일감떼어주기에 대한 증여의제와 매우 유사하다. 일감몰아주기 방식 등의 이익분여에 대해서는 증여로 의제하여 미실현이익인 주식가치 증가분에 대해서 증여세를 과세함과 동시에 배당소득세 또는 양도소득세와의 이중과세를 조정하는 규정을 두었다. 그러나 분양사업을 통한 간접이익에 대해 포괄적 증여 개념으로 증여세를 과세할 경우 이중과세 조정장치가 없어 조세부담률이 분양이익의 약 80% 내지 90%에 육박하여 범죄수익의 몰수 내지 추징과 다를 바 없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자기증여의 취급에 관한 고찰

        정기상 한국세법학회 2023 조세법연구 Vol.29 No.2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notion that gift taxes are imposed on what donors give to themselves in common sens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transfer of wealth’. Excluding ‘self-gift’ from the gift tax is also considered to be in line with the nature of gift tax. However,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does not have a prestigious provision on non-taxation of self-gift. Even if there are no prestigious provisions, self-gift should be considered to be excluded from the taxation of gift tax in interpretation. The gift example clauses presuppose that the concept of gift is satisfied. Article 38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which stipulates the gift of profits from mergers, belongs to the gift example clauses. Self-gift does not meet the conceptual element of gift called ‘transfer of wealth to others’ and in some cases, it may meet the requirement of ‘increase in the recipient's property or economic benefits’. Therefore, even if merged new shares are allocated to treasury stocks held by the merged corporation or stocks held by the merged corporation, this is practically nothing more than the merged corporation issuing merged new shares to itself, which means nothing in terms of economic substance. The deemed gift literally means that any act or fact is deemed as gift, but does not meet the concept of gift. Therefore, the logic that the deemed gift clauses cannot be applied because self-gift does not satisfy the concept of gift is not vali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f the donor and the recipien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act or fact to impose the gift tax is denied due to their identity, the gift tax cannot be imposed according to the deemed gift clauses.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of the beneficiary corporation is also a shareholder of the related corporation, the sales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hare ratio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shall be excluded from the gift tax under Article 45-3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증여자가 자신에게 증여하는 것에 대해서도 증여세를 부과한다는 관념은 상식적으로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당장 ‘부의 이전’이 없는데 왜 과세하는가 하는 의문이 들기 때문이다. ‘자기증여’를 증여세 과세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증여세의 본질에도 부합한다고본다. 그런데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는 자기증여 비과세에 관한 명문의 규정이 없다. 명문의 규정이 없더라도 해석상 자기증여는 증여세의 과세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보아야 한다. 증여예시규정은 증여의 개념을 충족할 것을 전제로 한다. 합병에 따른 이익의 증여를규정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8조는 증여예시규정에 속한다. 자기증여는 ‘타인에 대한부의 이전’이라는 증여의 개념표지를 충족하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증자의 재산또는 경제적 이익의 증가’라는 요건을 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합병법인이 보유하던자기주식이나 합병법인이 보유하던 피합병법인의 주식에 대하여 합병신주를 배정하더라도 이는 실질적으로 합병법인이 자신에게 합병신주를 교부하는 것에 다름 아니어서경제적 실질의 측면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다. 피합병법인의 자기주식이나 포합주식과관련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될 수 없다고 새겨야 한다. 증여의제규정에서 자기증여 비과세의 논리는 증여예시규정의 경우와는 다르다. 증여의제는 말 그대로 어떠한 행위나 사실을 증여로 보게 될 뿐 태생적으로 증여의 개념 위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자기증여가 증여의 개념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증여의제규정을 적용할 수 없다는 논리는 타당하지 않다. 증여자와 수증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동일성으로 인하여 증여세를 과세할 만한 행위나 사실이 부정되어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이 해당 증여의제규정의 목적이나 취지에 부합하지도 않는다면 그 규정에따라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고 해석해야 한다. 이른바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규정인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3을 적용할 경우에도 수혜법인의 지배주주 등이 특수관계법인의 주주이기도 하다면 수혜법인의 특수관계법인에 대한 매출액 중 그 지배주주 등이 보유한 특수관계법인 주식비율에 대응하는 매출액만큼은 증여세 과세대상에서 제외하여야 한다.

      • KCI등재

        종합부동산세제 및 배우자 증여재산공제의 변화가 부동산 증여에 미친 영향

        정운오,박성욱,이성실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학 연구 Vol.25 No.4

        최근 부동산 보유세와 양도소득세 부담이 급증하였다. 부동산 관련 조세부담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절세 전략으로써 증여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로 증여가 증가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 8월부터 2008년 4월까지의 월별증여등기건수를 통해 증여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부동산세의 최초 시행을 앞두고 수도권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소재 부동산 증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2005년 종합부동산세제가 최초 시행되기 직전에 부동산 과다보유자들이 증여를 통해 조세부담을 줄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배우자 증여재산공제한도가 5억원에서 3억원으로 축소되기 직전 증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러한 예상은 실증적으로 입증되지는 않았다. 이는 배우자 증여재산공제한도의 축소가 시행되었던 2002년에는 아직 종합부동산세나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규정이 도입되기 이전이라서 부동산증여의 절세효과가 그리 크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2008년 배우자 증여재산공제한도가 3억원에서 6억원으로 확대된 이후에는 비수도권 소재 부동산 증여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비수도권 소재 부동산의 증여만 유의적으로 증가한 이유는 수도권과는 달리 비수도권 주택의 공시가격은 대부분 6억원 이하라 증여세 부담 없이도 배우자에게 증여가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1세대 3주택 이상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규정이 시행되기 직전에는 수도권 소재 부동산 증여가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1세대 3주택의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부동산시장 규제당국에게 유익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real estate holding taxes and capital gains taxes have sharply increase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cent sharp increases in these taxes affect taxpayers' decisions to consummate real-estate gift transactions. As the real-estate-related tax burden is on the rise, a public attention is drawn to gifts as a means of reducing the burden. Ye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gift transactions have indeed increased in an attempt to alleviate the tax burden. This study analyzes the number of the monthly gift transactions registered from August 2001 to April 2008, and obtain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during the six months prior to the initial implementation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es(CREHT), gift transactions increase significantly both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in the non-metropolitan areas. This result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the taxpayers who own excessive amounts of real-estate properties attempt to lower the CREHT burden by gifting some of their properties to related parties. Second, although gift transactions are expected to rise before the deductible ceiling for spouse gift taxes declines from 500 to 300 million Won, such prediction is not substantiated empirically.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decline in the ceiling occurred in 2002, when the government has not enacted the CREHT and a law that would result in a sharp increase in the capital gain taxes for multiple-house owners, so that real-estate gifts may not give rise to significant tax savings. In contrast, when the deductible ceiling for spouse gift taxes is expanded from 300 to 600 million Won, it is observed that real-estate gifts significantly increase in the non-metropolitan areas.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the non-metropolitan gifts only seems to be that unlike those in the metropolitan areas, most properti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s are less than 600 million Won in value so that those properties can be transferred to spouses without incurring gift taxes. Third, immediately before the sharp rise in the capital gains tax rate for the households owning more than three houses, real-estate gifts in the metropolitan areas increase. This result suggests that most households with more than three houses possess the third house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s. These empirical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and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to tax authorities.

      • KCI등재

        흑자법인에 대한 증여시 주주에 대한 증여세 과세 여부

        유철형(Yu Cheolhyung) 한국세법학회 2012 조세법연구 Vol.18 No.3

        공평과세를 정책목적으로 삼아 모든 형태의 부의 무상이전에 대해 증여세를 과세한다는 증여세 완전포괄주의가 2004. 1. 1.부터 시행된 이후 수년이 지나도록 과세사례를 찾기 어려웠으나, 2012. 1. 1.부터 이른바 일감몰아주기에 대한 증여세 과세규정이 신설ㆍ시행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포괄증여에 대한 과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최근 특수관계법인간 고?저가 거래나 흑자법인에 대한 증여를 통하여 그 주주인 특수관계자의 주식가치를 높여줌으로써 부의 무상이전을 꾀하는 행위에 대해 상증법 제2조 제3항, 제35조, 제41조, 제42조 등에 근거하여 증여세를 부과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런 형태의 부의 무상이전에 대해 증여세를 과세함에 있어서는 먼저 미실현이익에 대한 과세라는 점에서 그 선결과제와 관련한 헌법상 과잉금지원칙 위반과 재산권 침해 문제가 있고, 상증법 제2조 제3항 자체에 대한 위헌 논의와 독자적 효력규정 여부, 그리고 법인을 통하여 주주가 간접적으로 이익을 얻었다고 할 경우 증여재산가액을 합리적으로 산정할 방법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이런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상황에서 법인에 대한 증여가 있다는 이유로 주주에게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은 헌법상 과잉금지원칙과 재산권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하는 것으로서 헌법에 위반되는 것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상증법 제2조 제3항은 증여세 과세대상을 ‘부의 무상이전’과 ‘기여에 의한 타인의 재산가치 증가’로 규정하고 있고, 이는 증여세 과세요건인 과세대상의 본질적인 사항에 해당된다. 그런데 ‘부의 무상이전’이나 ‘기여에 의한 타인의 재산가치 증가’가 발생하는 형태는 다양하고 수시로 변화하는 것이어서 일일이 법률에 열거할 것이 아니라, 대통령령 등 하위 법령으로 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세표준은 증여재산가액 산정의 예시적 규정인 상증법 제33조 내지 제42조를 참작하여 산정할 수 있으므로, 상증법 제2조 제3항은 조세법률주의에 위반되는 것으로 보기 어렵고, 상증법 제2조 제3항을 근거로 한 증여세 과세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판례도 같은 입장이다. 다만, 납세자의 예측가능성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다양한 유형의 부의 무상이전행위에 대한 증여재산가액 산정방법을 입법으로 계속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끝으로 미실현이익에 대한 증여세 과세와 상증법 제2조 제3항에 근거한 과세를 합헌으로 보더라도, 증여재산가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법인의 순자산증가를 통하여 주주가 얻은 간접적인 이익을 법인이 얻은 직접적인 이익인 순자산증가분과 동일하다고 하는것은 타당하지 않다. 대상사례와 같은 경우에 증여재산가액의 산정은 법인에 대한 증여를 전후한 주식가치를 상증법상의 비상장주식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한 가액으로 비교하여 산정하는 것이 그나마 조세마찰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안일 것이다. The Unlimited Comprehensive Taxation System (“UCT”), which is a tax scheme that imposes gift tax on transfer of wealth regardless of the form of transaction, was introduced to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he “IGTA”) and came into effect starting January 1, 2004. The policy purpose behind the UCT is to achieve equity in taxation, which is a principle that taxes should be fair and should be based on different people’s ability to pay taxes. For several years after the UTCS first came into effect, however, there had been virtually no gift tax case on which the UTC was actually applied. This was so until the Gift Taxation on Increased Corporation Value through Intra-Group Transactions was introduced on January 1, 2012. Sine then the tax authorities have actively implemented the UTC. Recently, numbers of the gift tax assessments which were made based on Article 2(3), 35, 41 and 42 of the IGTA are increasing in connection with the cases where transfer of wealth is made thorough indirect gift to certain controlled corporations (e.g., non-arm’s length price transactions between related parties, giving donation to profitable corporations, etc.). With respect to such gift tax cases, there could be controversies whether or not they violate essential part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the Property Right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given that they are related to taxation on unrealized profit. Furthermore, it must be considered and concluded in advance (i) whether Article 2(3) of the IGTA itself is unconstitutional and (ii) what the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is for the taxable gift for shareholders when they benefit from the increased value of controlled corporations. Otherwise, it is likely that the taxation on shareholders, who merely own the equity shares in the corporation which receives the gifts, will be considered unconstitutional since this may viola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the Property Right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However, according to Article 2(3) of the IGTA, it is “transfer of wealth” and the “increase of property value by contribution” which constitute the basic two elements for imposing gift tax. In other words, these two elements are essential parts of tax requisition for the gift tax. Given that the formalities of two elements could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constantly changing, it is necessary to delegate the task of legislating the detailed scope of these elements (i.e., taxable cases and evaluation methods) to the sub-legislations of the IGTA (e.g., presidential decree of the IGTA), as opposed to stipulate them to the IGTA itself. Furthermore, in light that the tax base of gift tax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Article 33 and 42, it cannot be said that Article 2(3) violates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Thus, imposition of gift tax solely based on Article 2(3) of the IGTA should be allowed, and this is the position taken by Korean court precedents.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predictability from taxpayers’ perspective, it will be necessary to complement evaluation methods for various types of wealth transfer through legislation. Lastly, even in the case where it is concluded that imposition of gift tax (i) on unrealized profit and (ii) based on Article 2(3) of the IGTA is constitutional, it is still unreasonable to regard the amount of taxable gift received by shareholders as being exactly identical to the income directly incurred at the level of the subject corporation. In order to minimize conflicts between taxpayers and the tax authorities , the amount of taxable gift in the illustrated case may be determined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onation share value and the post-donation share valu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s prescribed under the IGTA.

      • KCI등재

        조세회피방지를 위한 증여세 완전포괄주의 적용의 의의와 한계

        박훈 사법발전재단 2013 사법 Vol.1 No.25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gives a definition of ‘gift’, which differs from the civil definition of ‘gift’, and has descriptive regulations in regard to this. This is to prepare grounds to impose taxes on transactions that gratuitously transfer wealth and thus avoid the gift tax. Since the ‘Gift Tax Act’ was enacted in April 1950, there have been numerous legal actions against the avoidance of tax caused by the gratuitous transfer of wealth. For example, in December 2003,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was added with a new clause (Article 2 (3)), which introduced comprehensive taxation. In January 2013, the general principles was formulated with respect to the calculation of donated property (Article 23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and in August 2013, profitable enterprises were added to the donation of profits made from transactions with specific corporations (Article 41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On the other side, there used to be law revisions to prevent the gift tax from being imposed even on the gratuitous transfer of wealth that does not have much to do with the avoidance of tax, for the purpose of clearly defining boundaries and to present the taxable amount of gift tax. Likewise, the Supreme Court inhibited the overextension of gift tax, e.g., cases where regulations on deemed donation are inhibited from being overextended (Supreme Court Decision 78Nu423, Apr. 24, 1979, etc.) and where the burden of proof, given to unaffiliated persons, was reversed (Supreme Court Decision 2011Du22075, Dec. 22, 2011, etc.).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s with the problem of whether to impose taxes on profits made from profitable corporations, along with discussions on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amended in December 2003 when comprehensive taxation was introduced, amendments in January 2013 and August 2013, from the perspective that taxpayers should not be overburdened with administrative procedure and tax amount under comprehensive taxation.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recently, lower court cases have aroused controversies about whether taxes should be imposed on profits made from profitable corporations. Thus, there is the need to prevent the avoidance of tax and the overextens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Accordingly, Article 41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is judged to be problematic. The Article, intended for corporations in deficit, is applied to profitable corporations that may also be subject to corporate tax, dividend income tax and transfer income tax,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axpayers to predict.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dvisable to apply correspondingly to Article 42 (1) subparagraph 3 to profits found to be made from changes in ownership shares (or the amount) of a profitable corporation. This is because it needs to be respectful of the juridical intent regarding the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o impose taxes on the gratuitous transfer of wealth in accordance with Article 42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민법상 증여와는 별개로 세법상 증여를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여러 증여예시규정들을 두고 있다.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부를 무상이전하여 증여세를 회피하고자 하는 거래 등에 대한 과세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부의 무상이전 시 조세회피에 대한 입법적 대응은 증여세가 신설되었던 1950년 4월 증여세법 제정 시부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2003년 12월 상증세법 제2조 제3항 신설 등으로 대표되는 완전포괄주의의 도입 뿐만 아니라, 2013년 1월 증여재산가액 계산의 일반원칙 규정 신설(상증세법 제32조), 2013년 8월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규정(상증세법 제41조)에 흑자영리법인 추가하는 개정 등이 그 예이다. 이와 달리 조세회피와 관련성이 떨어지는 부의 무상이전에까지 확대적용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증여세 비과세되는 경우를 확대하거나 명확하게 법 개정, 과세를 하지 않는 증여세 과세기준 금액 및 비율 등을 제시하는 법 개정도 있었다. 대법원도 증여세 기타증여의제규정이 지나치게 확대되는 경우를 제한한 사례(대법원 1979. 4. 24. 선고 78누423 판결 등), 특수관계없는 자에 대한 증명책임 전환을 한 사례(대법원 2011. 12. 22. 선고 2011두22075 판결 등) 등에서 법 해석을 통해 증여세가 지나치게 확대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보여준바 있다. 이 글에서는 증여세 완전포괄주의가 도입된 2003년 12월 상증세법 개정 뿐만 아니라, 2013년 1월 상증세법 개정, 2013년 8월의 상증세법 개정안까지 포함하여 흑자법인을 경유한 이익에 대한 증여세 과세 여부에 대한 최근 논의까지 다루었고, 조세회피방지를 위한 증여세 포괄주의의 취지를 살리면서도 납세자에게 지나친 세부담이 되지 않는 측면에서 논의를 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최근 증여세 포괄주의 적용과 한계와 관련하여 흑자법인을 경유한 이익에 대한 증여세 과세 여부가 하급심판례에서 계속해서 다투어지고 있다. 조세회피행위를 막으면서도 지나친 증여세포괄주의 확대를 견제하는 법 해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례들에서 상증세법 제41조의 적용 및 유추적용은 타당하지 않다. 결손법인 등을 전제로 한 상증세법 제41조를 흑자법인에 직접 적용 및 유추적용하는 경우 법인세,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등 이외에 추가적인 세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납세자가 예측하기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흑자법인의 소유지분이나 그 가액이 변동됨에 따라 얻은 이익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제42조 제1항 제3호의 직접적용은 아니지만 유추적용은 허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사법상 개념을 세법상 최대한 존중하면서도 부의 무상이전에 대해 과세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기타증여예시규정인 상증세법 제42조의 취지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상속세와 증여세 폐지 및 자본이득세 전환의 비판

        송승현 한국법제연구원 2022 법제연구 Vol.- No.62

        Currently, the people are obligated to pay taxes according to various tax items. The burden of such taxation is one of the basic obligations of citizens stipulated by the Constitution. However, among these tax items, there is a part that is currently being debated in relation to the (article) tax burden, and it is related to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In other words, the abolition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is being argued. However, there is one thing being discussed along with this, the argument for converting to a capital gain tax. This is being raised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re inclusive of succession and estate tax (inheritance tax) and fully comprehensive taxation (gift tax). However, looking at the current tax revenue ratio in Korea, the proportion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mong the tax items of the national tax is insignificant. In addition, the current taxation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economy and society, and in a situation wh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is intensifying to attract companies employment and investment around the world,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taxation has made companies delay their implementation. It is causing the distance. In addition, both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were completed after taxation such as income tax was already applied to the source of the property when the property was acquired, and when such property is transferred to descendants,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re levied again. Continuous repetition of this process is regarded as double taxation. In addition, various problems arise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rules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nd in the case of capital gains tax, the problem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system and the tax burden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still exist. This can be said to be against the basic principle of taxation under the Constitution, while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exists. The tax principle is a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a request for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today's society, inequality and injustice are becoming more and more serious, and the regressive tax system and rent-seeking are accelerating. Both the current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taxation system and the transition to the capital gains tax tax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need to be reexamined from a macro perspective. 현재 국민들은 다양한 세목들에 의해 납세 의무를 부담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의 부담은 헌법이 정하고 있는 국민의 기본의무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 세목들 중에서 현재 (조)세 부담과 관련하여 논쟁이 되고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상속세 및 증여세와 관련된 것이 그것이다. 즉, 상속세 및 증여세의 폐지가 주장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이와 함께 거론되고 있는 것이 있는데, 자본이득세로 전환하자는 주장이다. 이는 상속세 및 증여세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써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상속세 및 증여세는 포괄승계주의·유산세 과세 방식(상속세) 및 완전포괄주의 과세 방식(증여세)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의 세수 비율을 보면 국세의 세목 중에서 상속세 및 증여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다. 그리고 현재 상속세 및 증여세의 과세는 경제 및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고용 및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국제적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상속세 및 증여세 과세는 기업으로 하여금 이에 대한 시행을 머뭇거리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속세 및 증여세 모두 그 과세 대상이 되는 재산을 취득할 때 이미 그 재산 원천에 대해 소득세 등의 과세가 이루어진 후에 취득이 완료되었고, 이러한 재산이 자손 등에게 이전될 때 다시 상속세 및 증여세가 부과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의 계속적인 반복은 이중과세라고 본다. 또한 상속세 및 증여세의 규정을 해석 및 적용함에 있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자본이득세의 경우에도 상속세 및 증여세 제도의 문제 및 상속세 및 증여세의 과세 부담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재산권 침해의 가능성이 존재함과 동시에 헌법상의 조세 기본 원칙에 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세 원칙은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법치주의적 원리이면서 평등의 원칙의 요청이다. 오늘날의 사회가 불평등과 불공정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고, 역진적인 조세 제도와 지대 추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 과세 체계와 이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써 자본이득세 과세 체계로의 전환 등 양자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동일인 명의로 반복된 명의신탁의 증여세 과세에 관한 연구

        유철형 한국세법학회 2019 조세법연구 Vol.25 No.2

        명의신탁 주식을 매각하고 그 대금으로 다시 주식을 취득하면서 동일인 명의로 명의개서를 하는 행위를 계속 반복한 경우, 합병이나 주식의 포괄적 교환으로 취득하는 신주를 종전의 명의수탁자 명의로 다시 취득하는 경우, 증자로 발행된 신주를 동일한 명의수탁자 명의로 취득하는 행위를 한 경우 각각의 재취득을 최초의 명의신탁과 별도로 증여의제 과세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실무상 논란이 많았는데, 최근 대법원은 대상 판결을 포함하여 증여의제 과세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판결을 선고하였다. 이러한 대법원 판결은 납세의무자를 보호한다는 입장에서는 환영할 만한 판결이지만, 동일한 명의수탁자 명의로 명의신탁을 반복하는 경우와 명의수탁자를 변경하여 명의신탁을 반복하는 경우를 다르게 취급할 것인지와 관련하여 조세법률주의를 기본으로 하는 조세법의 해석에 있어서는 대법원이 간과하고 있는 점이 있다. 이에 대상 판결을 중심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대법원 판결들이 상증세법 제45조의 2의 문언에 부합하는 해석인지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상증세법 제45조의 2가 규정한 명의신탁 증여의제의 주요 요건을 검토하였는데, 명의신탁 증여의제의 적용에 있어서 주요 요건으로는 실제소유자와 명의자가 다르게 등기 등이 될 것(명의신탁의 합의)과 조세회피목적의 존부가 있다. 따라서 증여의제 과세대상이 되는지 여부는 위 두 가지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심리․판단하여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주요 요건과 관련하여 동일인 명의로 반복되는 명의신탁의 사례로 동일한 명의수탁자 명의로 반복된 주식 매매사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사례, 주식의 포괄적 교환 사례, 대상 판결이 판단한 합병사례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내용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유상 증자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법원이 대부분의 사례에서 명의신탁 증여의제의 주요 요건인 명의신탁의 합의 여부와 조세회피목적의 존부에 대해 전혀 판단을 하지 아니한 채 다른 이유를 들어 증여의제 과세대상이 되지 아니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대상 판결은 동일한 명의수탁자 명의로 취득한 합병신주가 새로운 명의신탁이라는 점은 인정하였으나, 조세회피목적과는 관계없는 이유를 들어 증여의제 과세대상이 되지 아니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대상 판결의 쟁점은 동일한 명의수탁자의 명의로 취득한 합병신주가 명의신탁 증여의제의 과세대상인지 여부이므로 그러한 합병신주의 취득에 대해 명의신탁의 합의와 조세회피목적의 존부를 판단하여 과세대상인지 여부를 가렸어야 한다. 대상 판결은 합병신주의 명의신탁으로 인하여 종전 명의신탁에 의한 조세회피가 계속되고 있는지, 새로운 조세회피가 추가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합병신주의 명의신탁이 증여의제 과세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어야 한다. 납세의무자의 보호든 과세관청의 정당한 과세권의 행사든 헌법이 정한 조세법률주의의 틀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과세관청이 조세법을 유추․확장해석하여 과세권을 남용하는 것이 제한되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법원이 조세법의 명백한 문언을 도외시한 채 법률에 근거가 없는 이유를 제시하여 과세를 부정하는 것은 법원의 해석범위를 넘어 입법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서 역시 제한되어야 한다. 법률에 근거하지 않은 법원의 판결은 ... There has been a lot of practical controversy regarding the deemed gift taxation of reacquisitions as a separate matter from the initial name trust in situations where name trust shares are sold and new shares acquired under the same name on a repetitive basis, where new shares are acquired by a comprehensive exchange of mergers or shares are acquired again in the name of the former trustee, or where new shares issued by way of capital increase are under the name of the original trustee. The Supreme Court recently issued decisions holding that such reacquisitions are not subject to deemed gift taxation. These Supreme Court decisions are welcome in the sense of protecting taxpayers, but the Supreme Court has overlooked the interpretation of tax laws based on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n this regard, I have examined whether the interpretations issued in a series of Supreme Court decisions including the decision at issue conform to Article 45-2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his paper examines the major requirements of the deemed gift issue involving name trusts as prescribed in Article 45-2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he main requirements for the application of the deemed gift involving name trusts are the consent to establish a name trust and tax avoidance purpose. Therefore, whether or not name trusts are subject to deemed gift tax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viewing and judging whether it meets the above two requirements. In connection with these major requirements, the Supreme Court decisions and issues are reviewed in respect to cases involving name trusts in the name of the same trustee, such as the repeated share transfers in the name of the same trustee, capital increases with issuance of new shares and capital increases without consideration, comprehensive exchange of stock, and merger as in the case of the decision at issue. Based on the review,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upreme Court held, in most cases, that there is no deemed gift tax issue without making any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re was consent to establish the trust as a name trust or whether there is tax avoidance purpose, which are the main requirements of deemed gifts. With respect to the case at issue, the court ruled that the new shares acquired from merger under the same name in the name of the trustee was a new trust but concluded that the gift would not be subject to tax for reasons unrelated to tax avoidance purpose. The issue in the case is whether the merged new shares acquired in the name of the same trustee is subject to deemed gift taxation and as such, the court should have considered whether such acquisition of new shares from merger are subject to taxation based on consent to establish a name trust and tax avoidance purpose. The case at issue should have determined whether the name trust of new shares from merger is subject to deemed gift taxation based on a determination of whether there was continued tax avoidance to the previous name trust or addition of new tax avoidance as a result of the name trust of new shares from merger. The protection of taxpayers or the exercise of legitimate taxation rights by the taxing authorities should occur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s prescribed by the Constitution. Although the tax office should limit the abuse of taxation rights by analogy or broad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the courts should be prevented from denying taxation based on grounds without legal basis while ignoring clear language of the tax law. Such decisions by the court without any legal basis may be beneficial to the taxpayers in some cases, but leaves the taxpayer in a position that is unstable as the decision is not based on the law and there is room for different judgments to be issued depending on the court and is ultimately undesirable in terms of protecting the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of taxpayers. The deemed gift of n...

      • KCI등재

        흑자의 영리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간접적인 이익의 이전에 대한 증여세 과세의 한계

        이경훈 사법발전재단 2016 사법 Vol.1 No.35

        This paper is a commentary on Supreme Court Decision 2013Du13266 Decided October 15, 2015. Question Presented in the case is whether a gift tax may be imposed on indirect wealth transfer between parties in special relationship through transactions with a profitable corporation.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the “IGTA”) adopted the so-called “Complete-Comprehensive Taxation System for Gift Tax” (the “CCTS”) by: (a) establishing Article 2(3) imposing tax liability not only on gifts under the Civil Act, but also on gratuitous transfer of property in a direct or indirect manner and increase in property value by donation, consistent with the tax law-specific concept of comprehensive gift; and (b) converting the “positive enumeration of deemed gift regulations” into an “illustrative regulations on calculating the benefit/value of a gift”(the “Illustrative Evaluation Regulations”). The CCTS went into effect on January 1, 2004.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CCTS, Article 41 of the IGTA imposed gift tax liability only on transfer of wealth through transactions with corporations that has a deficit or under business suspension or closure. It was understood that a gift tax liability was not imposed on a corporate shareholder who indirectly turned a profit through transactions with a profitable corporation, since such shareholder profits would be subject to dividend income tax or capital gains tax at the point of distribution or share transfer. The revision of Article 41 of the IGTA under the CCTS into an illustrative regulations on computing the value of a gift has preserved the contents on tax liability and scope. However, the National Tax Service began to impose gift tax on shareholder profits realized through donations of asset to profitable corporations whose stock price increased, on the ground that such a profit constitutes a gift under Article 2(3) of the IGTA as a profit arising out of an indirect transfer of property. The subject case held: (a) as a matter of principle, gift tax may be imposed on any action or transaction inasmuch as it constitutes the concept of gift under Article 2(3) of the IGTA; however, (b) gift tax liability under Article 2(3) of the IGTA shall be limited in cases where it can be deemed that the Illustrative Evaluation Regulations restrict gift tax liability to a discrete set of acts or transactions and confines the scope of taxation within certain bounds with a view to ensuring predictability on the part of taxpayers and stability in tax law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 lies in the Supreme Court’s first-ever holding that: (a) Article 2(3) of the IGTA serves as a ground for imposing gift tax liability; but at the same time, (b) the imposition of gift tax liability under said provision has certain limits in relation to the Illustrative Evaluation Regulations. Such limitations on gift taxation can only be further delineated by interpreting tax liability and scope as provided under the Illustrative Evaluation Regulations. Thus, it is anticipated that their content and standard will gradually be specified going forward by the accumulation of precedents on individual issues. 이 글은 흑자의 영리법인과 거래를 통한 특수관계자 간의 간접적인 부의 이전거래에 대하여 증여세를 과세할 수 있는지가 문제 된 대법원 2015. 10. 15. 선고 2013두13266 판결에 대한 해설이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법’이라 한다)은 세법 고유의 포괄적인 증여 개념을 도입하여 민법상 증여뿐만 아니라 ‘재산의 직접·간접적인 무상이전’과 ‘기여에 의한 재산가치의 증가’를 과세대상으로 정의한 제2조 제3항을 신설하고, 종전의 열거방식의 증여의제규정을 증여재산가액의 계산에 관한 예시규정(이하 ‘가액산정규정’이라 한다)으로 전환함으로써, 이른바 증여세 완전포괄주의 과세제도를 도입하여 2004. 1. 1.부터 시행하였다. 완전포괄주의 시행 전의 법 제41조는 결손금이 있는 법인, 휴·폐업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에 대하여만 증여세를 과세하도록 하였다. 흑자의 영리법인과의 거래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그 법인의 주주에게 이익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주주의 이익에 대하여는 배당시점이나 주식의 양도시점에서 배당소득세나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므로, 그 주주에게 별도로 증여세를 과세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완전포괄주의 시행 후의 법 제41조가 가액산정규정으로 개정되면서, 종전의 과세대상과 과세범위에 관한 내용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과세관청은 흑자의 영리법인에 자산을 증여함으로써 그 법인의 주식 가치가 상승하여 주주가 얻은 이익은 ‘간접적인 재산의 무상이전’에 의한 이익으로서, 법 제2조 제3항에 따른 증여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그 주주에게 증여세를 부과하였다. 대상판결은 원칙적으로 어떤 거래·행위가 법 제2조 제3항에서 규정한 증여의 개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증여세의 과세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납세자의 예측 가능성과 조세법률관계의 안정성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개별 가액산정규정이 특정한 유형의 거래·행위를 규율하면서 그중 일정한 거래·행위만을 증여세 과세대상으로 한정하고 과세범위도 제한적으로 규정함으로써 과세의 범위와 한계를 설정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법 제2조 제3항에 의한 증여세 과세가 제한된다고 보았다. 즉 대상판결은 법 제2조 제3항이 증여세 과세의 근거 규정의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밝히면서도, 위 규정에 근거한 증여세 과세는 개별 가액산정규정과의 관계에서 일정한 한계를 가진다는 점을 최초로 판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유형의 증여세 과세의 한계는 개별 가액산정규정에서 정한 과세대상 및 과세범위에 관한 해석에 의하여 가려질 수밖에 없으므로, 향후 개별적인 사안에 대한 판례의 집적을 통해 그 내용과 기준 등이 점진적으로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세율변경과 주택 증여

        김서현,박성욱,최용원 한국세무학회 2023 세무와 회계저널 Vol.24 No.4

        2018년 이후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자 정부는 투기수요의 차단을 위해 조세 정책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종합부동산세 및 양도소득세 세율과 주택 증여에 대한 취득세율을 대폭 인상하였다. 이에 종합부동산세 및 양도소득세와 취득세 부담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일부 부동산 보유자들은 절세전략으로 증여를 선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주택자를 중심으로 한 종합부동산세 및 양도소득세의 세율과 주택 증여에 대한 취득세율 인상이 시행되기 직전에 실제로 주택의 증여등기건수가 증가하였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의 가설 1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이항회귀분석에서는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세율 인상으로 인해 2019년 6월 1일 직전에 증여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지만 최소자승법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에, 다주택자에 대한 강화된 종합부동산세 세율과 양도소득세 중과세 세율의 인상으로 인해 2021년 6월 1일 직전 2개월과 직전 3개월 기간에 최소자승법과 음이항회귀분석 모두 증여가 유의하게 증가한다. 이는 2018년 12월 31일 「종합부동산세법」 개정 시에는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세율 인상이 비교적 소폭이었으나 2020년 8월 18일 개정 시에는 종합부동산세의 세율이 대폭 인상되었고 동시에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세 세율도 인상되어 증여등기건수를 증가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가설 2에 대한 최소자승법 및 음이항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2020년 8월 1일 직전 1개월, 직전 2개월, 직전 3개월에서도 증여가 각각 유의하게 증가한다. 이는 조정대상지역 내에서 시가표준액 3억원 이상인 주택을 증여받는 경우 취득세 세율이 3.5%에서 12%로 개정되어 취득세 부담이 상당히 상승함에 따라 미리 증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주요 부동산 세율의 변화가 증여등기건수에 미친 영향을 수도권 및 비수도권으로 나누어 추가분석한 결과에서는 2019년 6월 1일 직전 1개월과 직전 2개월, 그리고 2021년 6월 1일 직전 2개월의 기간에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증여등기건수가 증가한다. 이는 비수도권 주택의 공시가격은 대부분 6억원 이하이므로 증여세 부담 없이 배우자에게 증여가 가능하기에 나온 결과로 볼 수 있다. 한편 주택 증여에 대한 취득세 세율 인상의 경우는 주요 분석결과와 질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주택 소유자들이 부동산 관련 조세부담이 증가하는 경우 절세전략으로 증여를 활용한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따라서 조세법안을 입안할 때 납세자들의 반응을 미리 예측하여 입법취지에 가장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As the real estate market has overheated since 2018, the governmen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rate, capital gains tax rate and the acquisition tax rate for housing gifts in consideration of tax policy aspects to block speculative demand. As the burden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capital gains tax, and acquisition tax increased rapidly, some real estate owners chose gifts as a tax-saving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number of housing gifts actually increased just before the tax rate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and capital gains tax centered on multiple homeowners and the acquisition tax rate increase for housing gift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Hypothesis 1 of this study, in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ll gifts increase significantly due to an increase in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rate for multiple homeowners, but in the results of the ordinary least squares, gifts do not increase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due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rate for multiple homeowners and the increase in the heavy tax rate on capital gains tax, gifts increase significantly in both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the ordinary least squares in the second and third months prior June 1, 2021. This is because when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Act was revised on December 31, 2018,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rate for multiple homeowners was relatively small, but when it was revised on August 18, 2020,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rate was greatly increased.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heavy tax rate on capital gains tax for multiple homeowners was also increased,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creasing the number of gift registra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sult a month prior to June 1, 2021 because the gifts were made in advance as the standard housing price is announced on April 30 annual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dinary least squares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for Hypothesis 2, gifts also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onths before August 1, 2020. It is seen that because the acquisition tax rate is revised from 3.5% to 12% for houses with a standard market price of KRW 300 million or more, which significantly increases the acquisition tax burden, gifts were made in advance. Furthermore, the impact of changes in major real estate tax rates on the number of gift registrations is further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s a result, the number of gifts increases around the non-metropolitan area in the first and second months before June 1, 2019, and two months before June 1, 2021. This is because most of the declared prices of hous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s are less than KRW 600 million, thus making it possible to gift a spouse without the burden of a gift tax.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increase in the acquisition tax rate for housing gifts, it appears qualitatively similar to the mai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that multiple homeowners use gifts as a tax-saving strategy when the tax burden related to real estate increases.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prepare the most appropriate plan for the purpose of legislation by predicting the reaction of taxpayers in advance when drafting a tax b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