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麗藏(初雕藏․再雕藏)의 底本에 대한 一考*

        유부현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8 No.-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bottom books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gai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Joseongjangbon, the First Tripitaka Kore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with the existing 13 kinds of Tripitaka Kai bao, and to clarify the bottom book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rough the analysis of Kyojeongbyullok.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s idea is again confirmed that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re the modified ‘bokgakbon’ of Tripitaka Kai bao. Especially for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Sugi, the Buddhist monk, used largely the Songbon as the first bottom book among the Gookbon, the Danbon, and the Songbon, and compared it with the Gookbon and the Danbon to proofread and correct. In addition, the corrected Songbon was used as a ‘deungjaebon’, the bottom book for making woodblocks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nd it seems clear that the scriptures, either missing in the Songbon or with some critical faults, were corrected with the Gookbon or the Danbon as the secondary bottom book. Either this corrected bottom book was used as a ‘deungjaebon’ or a newly carved ‘deungjaebon’ was included or substituted in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erefore, this researcher's argument over the above fact seems to be well confirmed. 본 연구는 현존하는 13종의 개보장본을 중심으로 조성장본, 초조장본, 재조장본의 대조 분석을 통해 초조장본, 재조장본의 저본에 대해서 다시 고찰해보고, 교정별록의 내용 분석을 통해 재조장의 저본에 대해서 분명하게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초조장과 재조장은 개보장의 수정 복각본으로 추정했던 필자의 견해를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특히 재조장의 경우 수기법사가 국본․단본․송본 가운데 대부분 송본을 제1차적인 저본으로 삼은 다음 이 송본을 국본․단본과 대교하고, 국본․단본 등에 의거해서 송본을 교감하여 수정하였다. 아울러 이 수정된 송본은 바로 재조장을 간행함에 있어 그 판각의 저본 즉 등재본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송본에 없거나 중대한 결함이 있는 경전은 국본이나 단본 등을 제2차적인 저본으로 삼아 이를 수정하여 등재본으로 삼아 판각을 하거나, 새로 등재본을 마련해서 판각한 다음 재조장에 편입시키거나 대체시켰던 것으로 주장했던 필자의 견해도 분명히 확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Tripitaka Koreana

        유부현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9 No.-

        This study offers the chance to understand and meditate the 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through bibliographical study of it in depth. As everyone knows, the Tripitaka Koreana represents the Tripitaka of World Buddhism. However, the bibliographical studies including the organization, contents, root books, and corrections of the Tripitaka Koreana have not been satisfactory until now. Accordingly, the study focuses on enlarging and reconfirming the 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Tripitaka Koreana are considered as the revised and reprinted edition of the Tripitaka Kai bao. E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the Tripitaka Kai bao is the first root book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corrected on the basis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ripitaka Kidan, and had bokgak. It is thought that the books which are not in the Tripitaka Kai bao or have serious flaws were published with the second root book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ripitaka Kidan etc. Additionally,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in the origin(gyetong) of Tripitaka belongs fundamentally to “Jungwongyetong”, but it has the contents of “Bukbanggyetong” and “Nambanggyetong”. Also, it has been carefully considered that the differences for the contents of letters have unique and improved elements of its own.

      • KCI등재

        初雕藏 「御製秘藏詮」 版畵의 底本과 板刻에 대한 硏究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5 No.-

        初雕藏 「御製秘藏詮」 판화에 대한 종래의 학설은 북송의 開寶藏 「御製秘藏詮」 판화를 밑바탕으로 하면서도 독자성을 살리고 보태어 雕造된 것이었다. 따라서 개보장 「御製秘藏詮」 판화와 비교해보면 고려회화의 독자성을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으로 고려 초기의 산수화풍을 짐작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서 평가되어 왔다. 本稿는 이러한 초조장 「御製秘藏詮」 판화의 그 저본과 판각에 대해 종래의 견해와는 다른 입장에서 새롭게 고찰한 것이다. 즉 초조장 「御製秘藏詮」에 삽입되어 있는 판화와 개보장 「御製秘藏詮」 제13권에 삽입되어 있는 4장의 판화와의 전체적이면서 정밀한 대조 분석을 진행한 것이다. 그 결과 초조장 「御製秘藏詮」 판화는 개보장 「御製秘藏詮」의 판화가 그대로 登梓本으로 사용되어 覆刻된 것으로 구명되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초조장 「御製秘藏詮」 판화에 대한 종래의 연구 결과 및 평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증명하는 하나의 단서가 될 것이다. The existing theory for Eojebijanggeon which is i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is that it was based on Eojebijanggeon, the Tripitaka Kaibao in Buk-Song(北宋), but completed by adding the originality and improving its weak points. Compared with the woodcut of Eojebijanggeon, the Tripitaka Kaibao, it has been recognized as an invaluable material which helps assume the style of landscape painting in the early Goryeo Period. The study presents a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viewpoints, on on the base book and publication for the woodcut of Eojebijangge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This study compares in detail and overall the woodcuts of Eojebijangge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with the four woodcuts in the thirteen volume of Eojebijanggeon, the Tripitaka Kaibao.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woodcuts of Eojebijangge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were engraved, using the woodcuts of Eojebijanggeon, the Tripitaka Kaibao. as their bas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fore, could confirm the need for reexamining the existing theories and research findings on the woodcuts of Eojebijangge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 KCI등재후보

        고려대장경의 문화적 가치와 활용의 방안

        이재수 ( Jae Soo L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7 No.1

        본 논의는 고려대장경에 담긴 문화적 함의를 살펴보고, 그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여 과거의 소중한 문화유산과 기록유산으로서의 위치를 다시 한 번 논의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문화유산이자 기록유산인 고려대장경을 활용하는 한 방안으로서의 전자불전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 논의는 과거의 역사적인 상황의 규명과 과정에 대한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서 대장경의 가치를 드높이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먼저 대장경이 지니는 불교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고려대장 경이 조성되게 된 경위와 그 의의에 대해 정리하였다. 고려대장경의 가치를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고 세계 기록유산으로서의 가치를 함께 논의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고려대장경이 지니는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문화적 함의를 살폈다. 우선 대장경의 의의와 특징을 원형성에 있다고 보았고, 종교적 기능을 담당했으며, 대중성과 사회성의 지향의 결과물이라는 관점으로 제안하였다. 아울러 한글대장경과 세 번째 대장경 조성불사라 할 수 있는 전자불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불전전산화의 토대를 확립한 고려대장경연구소의 고려대 장경 디지털 서비스로 보았다. 아울러 고려대장경연구소를 비롯한 전자불전을 위한 단체들과 전자불전 보살들의 노력의 성과를 통해 디지털 대장경의 현재를 조망해 보았다. 이는 유산으로서의 대장경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 논의에서 대장경 2.0의 제안을 통해 초조대장경 천년의 해에 새로운 도전이라는 발걸음을 크게 내딛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ripitaka Koreana, rediscover its cultural values, and renew its status as one of the valuable cultural and record assets of the past. It also aimed to discuss electronic Buddhist Texts as a way to utilize Tripitaka Koreana, a cultural and record asset. The study tri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higher values of Tripitaka Koreana in the present and future rather than to examine its historical situations and processes. First examined in the study was the Buddhist significance of Tripitaka Koreana along with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its creation. Then the investigator moved onto examining its values as a world cultural and record asset and further its overall and solid cultural implications. Tripitaka Koreana, whos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lie in its qualities as an archetype, performed religious functions and was the product of orientation towards popularity and sociality. Also discussed in the study were electronic Buddhist Texts, which are called the third Tripitaka creation project, as well as the Hangul Tripitaka. The investigator also examined the digital service of Tripitaka Koreana provid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which built a foundation for Buddhist Texts digitization, and the efforts to create electronic Buddhist Texts by various organizations includ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and Buddhists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getting a picture of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tripitaka based on the accomplishments, which are attributed to diverse efforts to preserve and utilize the tripitaka as a legacy. The study proposed a big step of new challenge in the 1,0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through Tripitaka 2.0.

      • KCI등재

        고려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 장소 및 일자에 관한 연구

        김성수 한국문헌정보학회 201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No.2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facts about the place and date of praying for the engraving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very first idea of engraving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was evidenced in the record of ‘The beginning of Tripitaka Koreana’ from ‘Daejanggakpan Gunsin Gigomun’ written by YiGyuBo. 2) After comparing the contents of ‘Daejanggakpan Gunsin Gigomun’ with the record of the third volume of ‘Goryeosa Jeolyo’ dated February 13, 1011, this researcher confirmed that ‘Daejanggakpan Gunsin Gigomun’ also recorded this historical fact. 3) In the third volume of ‘Goryeosa Jeolyo’ dated February 13th, 1011, it is documented that a ritual was held to pray to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for expelling the Kitan from the country. Further, the document states that this particular ritual consisted of a ceremony of lanterns held at the temporary palace in Cheongju on February 15th, to report to the gods on ‘the engraving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4)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the date of praying for the engraving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was February 15th of the lunar calendar, 1011(the second year of King Hyunjong’s reign), and the place was the temporary palace in Cheongju. 이 논문은 고려 초조대장경 각판(刻板: 雕造)과 관련한 발원(發願)의 장소(發願地) 및 그 일자(發願日)의 문제를 규명한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조대장경 각판 발원의 단서는 이규보의 <대장각판군신기고문>에서 ‘초조대장경의 초창지단(初創之端)’의 내용에 입각하였다. 2) 거란군이 침략하고, 현종이 남순(南巡: 몽진)하다가 다시 개경(開京)으로 환궁하기까지의 기간 사이에, 군신(君臣)이 함께 거란군(契丹軍)을 물리치기 위한 대규모 행사의 개최 또는 신명(神明)이 보답하는 제사(報祠)를 올린 기록을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서 검색하였다. 그 결과, ‘「고려사절요」 제3권, 현종 2년(1011) 2월 정사일(丁巳: 13일)’條의 내용이 <대장각판군신기고문>의 초조대장경 각판 발원의 내용과 일맥상통함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대장각판군신기고문>의 내용 또한 역사적 진실(史實)을 담고 있는 기록임을 파악하였다. 3) 「고려사절요」 현종 2년(1011) 2월 13일의 기록 즉, ‘거란군이 스스로 물러가도록 신명(神明)이 보답할 수 있는 제사를 올렸다’는 사항은 바로 2월 15일에 청주 행궁(行宮)에서 거행된 <연등회(燃燈會)>의 의식 및 제사를 말하는 것이며, 이 연등회의 제례(祭禮)에서 신명께 기고(祈告)한 내용은 곧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이었을 것임을 입증하였다. 4) 그리하여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장소는 청주행궁(淸州行宮)이며, 그 발원일자(發願日)는 1101년(현종 2) 음력 2월 15일임을 규명하였다.

      • KCI등재

        고려 초조대장경 조조의 가치와 의미에 관한 연구

        김성수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were done: 1) by clarifying the place and date of praying for the engraving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its significance as “Daejanggyeong” produced to expel the Kitan was more clearly explained; 2)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o provide evidence of the artistic and creative features of its engraving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aebo Tripitaka made in China; and 3) its structure was analyzed from a viewpoint of a systematic bibliography. It was found that since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contained all the earlier lists of Buddhistic scriptures in China(and individual scriptures were thoroughly examined and included into its content since the reign of King Munjong), it had a systematic bibliographical significance demonstrated by its comprehensive and cumulative nature. 이 논문은 고려 초조대장경 조조의 가치와 의미를 도출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은1) 초조대장경의 조조(雕造)는 거란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한, 즉 ‘鎭兵大藏經: 거란과의 전쟁을 진압한 대장경’이라는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증거와 발원지(發源地) 및 발원일(發願日)을 규명함으로써 그 가치와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부여하고자 하였다. 2) 형태서지학적인 측면에서의 초조대장경 판본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초조대장경의 목판 판각에 있어서 중국 개보칙판대장경의 인쇄본을 단순하게 복각(復刻)한 것이 아닌, 이른바 독창적이고 탁월한 예술성(藝術性)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형태서지학적인 가치와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체계서지학적인 측면에서의 초조대장경의 편성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초조대장경의 편성에는 중국 역대의 모든 불전목록을 빠짐없이 편입한 것으로 보아, 문종시대 이후의 초조대장경의 편성에는 개개 불전 또한 목록학적(目錄學的)인 철저한 검증을 거쳐서 대장경에 편입시켰을 것이라는 점에서 보면, 포괄성(包括性)과 누적성(累積性)을 지닌 체계서지학적인 가치와 의미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고려대장경』을 통해 본 실담장(悉曇章)의 세 측면

        강대현 ( Kang Dae-hyu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5 No.-

        『고려대장경』에서의 실담장은 크게 세 가지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먼저 음운론적 측면으로, 『현응음의』에서는 전체 범자를 47자로 규정하면서 5음을 舌根聲, 舌齒聲 등과 함께 일부 한자독음에는 반절을 표기하고 있고, 『혜림음의』에서는 범자를 50자로 규정하면서 이들에 대한 반절 및 세밀한 해석을 부가하고 있으며, 총론에서 喉聲·?聲·?聲·齒聲·脣吻聲으로 구분하고 있다. 다음은 실담장에 대승사상을 적용한 예로, 불공의 『금강정경석자모품』의 50자문 각각에는 대승불교의 철학적 근간인 반야공사상을 적용하여 실담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반야경』, 『화엄경』 등의 42자문의 사상적 적용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화엄학에서도 실담장의 비유를 들고 있다. 범자 음운과 그 결합의 원리 등을 말하는 실담장을, 60권 『화엄경』 등에서는 실담장 초장의 원리를 십지의 수행계위에 비유하거나, 실담장 14음을 字緣에 비유하고 36자모를 字界에 비유하였다. 또한 『법계도기총수록』에서는 실담장의 비유를 통하여 `깨달음의 문`에 이르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범자 음운과 그들이 결합하여 명·구·문을 완성하는 원리를 화엄학적인 `一卽多多卽一` 등에 비유한 것이다. Siddhavastu is deployed in three different aspects in the Tripitaka Koreana. First of all, in terms of phonological, in the Xuanying`s Transliterations and Senses, the Indic writing was prescribed in all 47 letters, five tones were composed of gustatory faculty voice and tongue with tooth voice and so forth, besides, there were marked a system of indicating the initial and final sounds of a character by two others at some of Chinese Letter sound, in the Huilin`s Sounds and Meanings, there were detailed analysis and marked a system of indicating the initial and final sounds of a character by two others at all of Chinese Letter sound at the Sanskrit was prescribed in all 50 letters, and five tones were itemized of throat voice, gingiva voice, gum voice, tooth voice, lip voice in general introduction. Next example, it is an application of the thought of great vehicle, in the Yu ch`ieh chin kang ting ching Su tzu mu p`in translated by Amoghavajra, there were 50 siddham letters and accentuate importance of each letter Siddhavastu with the emptiness of prajna, they were similar to applying an ideological 42 letters of Prajna-paramita sutra and Avatamsaka-sutra. The last example, Siddhavastu was compared insight of flower adornment`s experiential realm in Huayan Teaching. As we already know, Siddhavastu is all tone of Indic writing and it`s principle of combination. The 60-volumed Avatamsaka-sutra and so forth, first sentence of Siddhavastu compares of stage to carry out or perform, 14 vowels compare of Sanskrit vowels and 36 matrices compare of word`s realm. There was compare of reaching `the door of Enlightenment` through Siddhavastu in the Beopkyedogichongsurok. The comparison of Huayan Teaching between Siddhavastu, there were `one is many, the many are one` and so forth, finally, it is the principle of complete words, phrases, and syllables through all tone of Indic writing and it`s principle of combination.

      • KCI등재

        『梵網經』異本을 통한 고려대장경과 돈황 유서 비교 연구

        조은수(Eun-su Cho)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2 No.-

        본 논문은 梵網經 (K. 0527, T. 1484)에 대해 돈황사본, 고려 초조대장경, 그리고 고려 재조대장경의 다른 판본들을 대조하여, 범망경의 구성과 성립 과정에 대해 시사점을 가지는 문헌상의 몇 가지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범망경은 5세기경 중국에서 성립된 위경이며, 대승보살계를 설하는 주요 경전으로 동아시아 불교의 계율사상 형성에 핵심이 되는 문헌이다. 본 연구에서는 50종 총 342 점에 이르는 돈황사본을 활용하여 이들 사본과 인경본들을 검토한 결과 범망경은 그 글자의 출입이 상당하며 오랜 시일을 거쳐 많은 교열 과정을 거친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대장경 재조본은 상권·하권이 모두 존재하는 반면, 초조본은 하권만 존재하는 등, 판본에 따라 경전의 수록 범위도 다르며, 글자 교열을 통해서 내용의 수정도 가해져서 흥미로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같이 필사본과 인쇄본 등을 대조 연구함으로써 상이한 매체에 따라 어떻게 지식이 교정되고 선택되며 표준이 정립되어 가는지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notabl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various recensions of the Fanwangjing (K. 0527, T. 1484) by conducting a comparative examinations of the many Dunhuang manuscripts and the first and the second-editions of the Tripitaka Koreana. The Fanwangjing, an apocrypha Buddhist text, presumably created around 5th century China, is a popular sutra in East Asian Buddhism, famous as a major textual source that systematically presents the Mahayana Bodhisattva precepts. Over time, significant corrections were made, hence the breadth of changes to the contents, and even the range of the inclusion of texts varied depending on the versions. By investigating these exciting features of diversity and variation, we were able to come up with an explanation about the course of the life of the Fanwangjing, presenting an interesting case study of how knowledge can be distribu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dia, how it can be corrected and selected in order to make a standard version that asserts an authenticity both in the form and contents it provides.

      • KCI등재

        「天請問經」에 대한 考察

        김은미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5 No.-

        This study arrang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eoncheongmungyeong (Devatāsūtra), a Buddhist scripture, examined its system and analyzed the existing bibliography by comparing the text of Dunhuang(敦煌) Copy with Chinese-translation of Daejanggyeong(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criptures). Cheoncheongmungyeong is one of the scriptures of Eighteen Schools of India imported by Xuanjiang(玄奬) from ancient India in 645 A.D. and translated into 582 Chinese characters in 648 A.D. This scripture was translated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the practical Buddhism doctrines, that is, teaching of Buddhist commandments and almsgiving. The structure of its text shows the repetition of the same terms, and many of its contents are the same with those of Chulyogyeong(出曜經) and Japahamgyeong(雜阿含經). All the Dunhuang(敦煌) copies of Cheoncheongmungyeong, disclosed up to now, are manuscripts. They were bound together with other short scriptures which prayed for the happiness of the dead and the longevity and fortunes of the living persons. The printing types and contents of Daejanggyeong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first and the second editions of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and the Qishazang(磧砂藏) of China. This study found that the first-carved edition was carved, based on Gaebochikpan Daejanggyeong(開寶勅版大藏經) and the second-carved edition was re-carved on the basis of its first-carved edition. Three kinds of Cheoncheongmungyeong-so, which is the annotations of Cheoncheongmungyeong, were found up to now. Particularly, Sin 316(新316) is the annotation for the writing model recorded in Sinpyeon jejonggyojang chongrok(新編諸宗教藏總錄) of Ueicheon in the Goryeo Period. Cheoncheongmungyeong-byeon of Sa 1397(斯1397號) was not Bianwen(變文), but the transcription of the text quotations(榜題) on the wall paintings which illustrated the contents of Cheoncheongmungyeong. 이 연구는 「天請問經」이라는 불교경전의 구조적 특징을 정리하고, 계통을 파악하며, 敦煌寫本, 漢譯大藏經의 교감을 통해 현전하는 문헌자료의 상황을 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다. 「天請問經」은 玄奘에 의해 645년 인도로부터 原典이 수입되었고, 648년 漢譯된 582字 분량의 小乘單譯經이다. 大衆에게 修戒와 布施라는 실천적인 敎義를 설파하기 위해 번역된 경전이다. 문장의 구조는 동일한 용어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특징을 보이며, 내용은 「出曜經」 및 「雜阿含經」과 많은 부분이 일치한다. 현재까지 공개된 敦煌本 「天請問經」은 모두 寫本이다. 다른 짧은 경전들과 함께 合本형태를 이루는데, 죽은이의 冥福을 빌거나 살아있는 사람의 長壽와 福을 비는 내용의 경전들과 함께 필사되어 있다. 大藏經本으로는 高麗大藏經의 初雕本과 再雕本, 중국의 磧砂藏을 중심으로 자형 및 내용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초조본은 開寶勅版大藏經을 底本으로 板刻되었으며 재조본은 초조본의 飜刻本임을 확인하였다. 註釋書인 「天請問經疏」는 현재 총 3種이 공개되었는데 특히 新316는 高麗 義天의 「新編諸宗教藏總錄」에 수록되어 있는 文軌의 註釋이다. 斯1397號 「天請問經變」은 變文이 아닌 「天請問經」의 내용을 그린 벽화 榜題의 底稿로서 필사된 것이었다.

      • KCI등재

        고려시대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어제비장전(御製秘藏詮)』 판화의 내용과 의미

        석혜영 미술사학연구회 2018 美術史學報 Vol.- No.50

        53 woodblock prints of the text Eojebijangjeon from the Goryeo-period first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are currently housed at Nanzenji Temple in Japan. Unlike other Goryeo woodblock prints, which faithfully convey the content of Buddhist scriptures through pictorial engravings, those of Eojebijangjeon call to mind the form of a landscape painting. In this study, I attempt to reconsider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Eojebijangjeon by examining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se prints. Their content is as follows: 1. Each book in Volumes 1-20 of Eojebijangjeon (Volume 17 is missing) contains five prints; most of these are located in the same page positions (1, 5, 9, 13 and 17). 2. The approximately 50 prints included in Volumes 1-10 are generally repeated in Volumes 11-20. 3. The prints in Volume 13 of a Northern Song copy of Eojebijangjeon in the collection of Harvard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and in Volume 13 of the Goryeo period copy at Nanzenji differ in terms of iconography and page location. This implies that duplication of prints was possible, and that they could be rearranged if necessary. 4. The fact that the box number of the prints is marked as “6(六)”, “7(七)”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scripture texts and pictorial engravings were produced separately. 5. The prints portray itinerant monks entering the mountains in search of enlightenment. The depiction of these monks is similar to that in Xuanzang qujingtu (“paintings of Xuanzang’s journey in search of the scriptures”), a genre popular at around the same time in China. It is therefore believed that the Eojebijangjeon woodcuts were influenced by Xuanzang qujingtu. 현재 일본 난젠지에는 고려시대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어제비장전(御製秘藏詮)』 판화본 53점이 소장되어 있으며, 이는 다른 고려시대 판화본들이 경전의 내용을 충실히 도해(圖解)한 것과 달리 한 폭의산수화를 연상시키는 삽화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판화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초조대장경『어제비장전』이 갖는 의의와 가치를 되짚어 보고자 하였으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제비장전』의 권1-20(권17 결본)의 각 책에는 5장의 판화가 삽입되어 있으며 대부분 동일한 위치(장차(張次) 1, 5, 9, 13, 17)에 자리한다. 2. 대체로 권1-10까지 수록된 50여개의 판화는 권11-20까지 중복 사용되었다. 3. 미국 하버드대학교 소장 북송본 『어제비장전』 권13과 남선사(南禪寺) 소장의 고려본 『어제비장전』 권13의 변상판화(變相版畵)는 도상과 삽입된 위치가 각기 다른 것으로 확인된다. 이것은 동일판본의 중복이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재배열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4. 또한 판화의 함차(函次)가 숫자(六·七)로 나타난 것은 경문과 판화가 별도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5. 판화의 내용은 입산구법(入山求法)의 행각승(行脚僧)을 묘사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행각승들의모습은 당시 비슷한 시기에 중국에서 유행한 <현장취경도(玄獎取經圖)>와 유사한 것으로 그 영향을받은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