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진로․취업상담자가 지각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개념도 연구

        양명주,김가희,김봉환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pecific factors and conceptual structure of ethical dilemma perceived by university career counselors and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when recognizing the factors, and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 Thus, after collecting the idea through questionnaires targeting 20 ‘employment supporting counselors’ in four-years university nationwide, the total 60 final statements were elicited through the overall editing process. The participants rated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between the 60 statements for themselv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 factors in this study. As a result, a concept map consisted of 2 dimensions and 10 clusters 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2 dimensions, ‘organizations’-counselors’ responsibility factors’ and ‘physical-relational working context factors’ were found, when the university career counselors perceived the ethical dilemma factors of this study. Second, the 10 clusters and 15 sub-clusters were showed, and contents of the 15 sub-clusters in order of importance were ‘overburdened multiple job’, ‘uncertain employment contract with the organization’, ‘lack of counseling records security’, ‘lack of counselors competences’, ‘restriction of the autonomy’,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unclear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counselors', ‘avoiding cooperation with other professionals’, ‘inadequate counseling facilities’, ‘lack of personal counseling information protection’, ‘inadequate counseling setting’, ‘failure in justice of offering counseling service’, ‘discrepancy in organization value’, ‘failure of informed consent for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failure in following psychological tests ethic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creased ethical sensitivity of career counselor, organization and related workers in a university through investigating the ethical dilemma factors which university career counselors perceived in their doing the work. Additio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a preparation of a code of ethics, training program for the code of ethics, and ethics audit scale which is specific for career counseling in a university.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대학 진로․취업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구체적 요인들 및 이들의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고, 상기 요인들의 인식 시 사용하는 차원 및 군집을 확인하며, 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에서 진로·취업상담을 담당하고 있는 취업지원관 2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아이디어를 수집한 후, 종합·편집 과정을 거쳐 총 60개의 최종진술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최종진술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자들이 유사성과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으며,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2개 차원, 10개 군집으로 이루어진 개념도를 얻을 수 있었다. 그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진로·취업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요인은 ‘기관-상담자 책임 요인’ 및 ‘물리적-관계적 근무 맥락 요인’의 2개 차원을 통해 인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 진로·취업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윤리적 딜레마 요인의 15개 하위 군집 내용을 중요도 평정 결과가 높은 순으로 제시하면 ‘과중한 복합직무 수행’, ‘고용기관과의 근로계약 불명확’, ‘상담기록 보안 미흡’, ‘상담자의 역량 부족’, ‘내담자의 선택 자율권 침해’, ‘지적재산권 존중 부족’, ‘상담자 역할 및 책임의 불명확’, ‘동료 전문가와의 협업 기피’, ‘적절하지 않은 상담환경’, ‘개인상담 정보 보호 미흡’, ‘부적합한 상담세팅’, ‘상담서비스 제공의 공정성 위배’, ‘기관가치와의 불일치’, ‘내담자 동의없는 개인정보 활용’, ‘심리검사 관련 윤리 미흡’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현장에서 진로·취업 업무 수행 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대학기관과 실무자들의 윤리적 민감성 제고에 이바지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진로․취업담당자들을 위한 윤리강령 마련, 윤리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윤리 평가 척도 제작의 초석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독 상담자의 다중 관계에 대한 윤리적 고려

        손현동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

        Although addiction counselors are more likely to have ethical dilemmas due to multiple relationships than other counselors, there is a lack of clear ethical guidelines or research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ssues that can cause ethical dilemmas in relation to multiple relationships in addiction counseling and to identify appropriate guidelines accordingly. As a result, 38 ethical consideration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1) revealing to the client that the counselor himself is a recovery ('self-disclosure'), 2) counselor and client participating together in a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 3) counselor's relapse ('relapsing counselors in recovery'), 4) recovering counselor's excessive desire to intervene in client healing ('excessive intervention'), 5) thinking that the experience and the client's recovery experience would be the same ('overidentification with the client'), 6) hiring a former client as an employee ('employ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unique issues that addiction counselors may experience in relation to multiple relationships and suggests guidelines accordingly, which will be helpful in ethical education for addiction counselors in the future. 중독 상담자는 다른 상담자에 비해 다중관계로 인한 윤리적 갈등의 소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명확한 윤리적 지침이나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중독 상담에서 다중 관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대응 방법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총 10개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8개의 윤리적 고려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6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1) 상담자 자신이 회복자임을 내담자에게 밝힘 ('자기 공개'), 2) 상담자와 내담자가 함께 자조집단에 참여 ('자조 모임 참여'), 3) 상담자의 재발 ('회복 중인 상담자의 재발'), 4) 회복 중인 상담자의 내담자 치유에 대한 과도한 개입 욕구 ('과도한 개입'), 5) 상담자의 회복 경험이 내담자의 것과 같다는 생각('내담자와의 과동일시'), 6) 이전 내담자를 직원으로 고용 ('고용'). 이 연구에서는 다중 관계와 관련해 중독 상담자들이 겪을 수 있는 독특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혔다는 점과 그에 따른 대응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중독 상담자들을 위한 윤리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상담경력과 집단상담 윤리 인식: 한국과 미국 집단상담자 비교연구

        권경인,김태선,조수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4

        This study explored Korean and U.S. group counselors’ views on important ethical factors in relation to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ethical awareness. A total of 228 group counselors (Korea: 122, U.S.: 106) completed the Group Counselor Ethical Inventory (GCEI) to assess prevailing beliefs about important factors pertaining to group counseling ethics.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nselors’ perceptions concerning the importance for Ethics of Member Rights’ Protection and Education, Ethics of Group Counselor Expertise and Responsibility, and Ethics of Group-Counseling Composition and Process among novice, intermediate and expert group counselors in both Korea and the U.S. U.S. group counselors rated overall ethical factors as more important than did Korean group counselors, with the exception of Confidentiality, Group Participation, and Group Counselor Responsibility and Expertis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reviewed from educational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for group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집단상담가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집단상담 윤리적 범주들이 무엇인지 경력에 따른 차이와 국가 간 비교를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집단상담 전문가 228명(한국 122명, 미국 106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 윤리요소들 가운데 어떤 요소들을 중요하게 인식하는지를 ‘집단상담 윤리 요소 질문지’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집단상담자의 경력별 비교에서 초심, 중간, 숙련의 세 집단의 집단상담자의 집단원 권리 보호 및 교육원리, 집단상담자 전문성 및 책임 윤리, 집단상담 구성 및 과정 윤리의 세 가지 윤리영역에 대한 중요도 인식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 미국 집단상담자의 윤리요소 중요성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 비밀유지, 집단상담 참여, 집단상담자 책임 및 전문성 범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미국 집단상담자가 한국 집단상담자보다 윤리 중요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차이 및 특성을 윤리 교육 및 시스템, 문화적 맥락에서 해석하고 집단상담 실제에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질적 연구 윤리로서의 윤리적 주체-되기

        김소연(So yeo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2

        본 연구는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이 연구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윤리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구 윤리 지침들과 연구 윤리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윤리를 핵심과제로 다루는 철학에서는 윤리를 무엇이라고 규정하고 있는지, 윤리적 행동의 근거는 무엇이며, 윤리적 인간과 비윤리적 인간의 차이는 어디서 출발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실제 상담자로서 연구 현장에서 질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자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고민하는 윤리적 문제들은 무엇이고, 그러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 살펴보았고. 질적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한 명의 연구참여자와의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자와 연구참여 자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들여다보았다. 마지막으로 철학적 담론과 논리를 근거로 면담내용에 대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우리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태도와 실천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보편성과 동일성을 담지하는 의무로서의 윤리인 윤리 규정이나 선행 질적 연구자들이 제시한 지침들을 아무런 반성 없이 준수 하는 절차주의적 윤리 실천 행위는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그 한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에게 요구되는 윤리로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하여 지금-여기 삶의 현장에서 여전히 붙들고 있는 나의 존재 방식을 반성하고, 나와 마주하고 있는 절대적인 타자의 얼굴에서 전달되는 무조건적인 환대에 대한 요청을 받아드림으로써 ‘또 다른 나’가 되기를 결단하고 실천하는 차이 생성적 실존 양식인 ‘윤리적 주체-되기’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thical issues that researchers face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counselors and seek relevant countermeasures to address the issue. To this end, the study first explored the existing research ethics guidelines and precedent studies conducted on the topic of research ethics and how ethics are defined in philosophy that studies ethics as a key issue. The study also examined what the basis of ethical behavior is and where the difference stems from to distinguish ethical person from unethical person. As a practicing counselor, the author has interviewed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research field, to identify what kind of ethical problems they are facing and which efforts they are exerting to solve the ethical problems they encounter. The author also interviewed a researche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o look into the perspective gap between the researcher conducting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conclusion,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based on philosophical discourse and logic.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the ethical stance and practices required for the researchers wh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as a counselor.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rocedure-based behaviors in ethical practice had their limitations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a councilor, as the behaviors mean following ethical regulations or guidelines provided by predecessors without self-reflection, accepting it as responsibilities to imply universality and identity. The author, therefore, proposed “becoming an ethical subject,” a différance-generative way of existence to become an “alter ego”, as a work ethic required for a researche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a counselor. This can be achieved by introspecting one’s own way of existence that the person adheres in this life of here and now and embracing the implicit request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expressed in the face of “the absolute other (totaliter aliter)” facing the self.

      • KCI등재

        상담자의 성 행동과 기독교상담윤리규정의 한계 및 대안

        전요섭 ( Jeon Joseph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6 복음과 상담 Vol.24 No.2

        이 연구는 기독교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성 행동을 분석하고 이런 문제를 예방하며, 바람직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여 바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상담윤리규정 제정의 의미와 배경, 내담자관련 성 행동의 실태와 폐해, 상담관련 성 행동의 발생원인과 취약성, 성 행동에 대한 상담윤리적 입장, 기독교상담적 대처방안 등에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 성 행동은 성 행위(성교)를 포함하여 성 폭력, 성 폭행, 성 학대, 성 추행, 성적 호감 등 광범위한 성적 부정행위를 내포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상담윤리라는 것은 상담에서 도덕적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일련의 태도, 기준, 지침, 규칙, 규정, 규범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독교상담자로서 자신을 지키는 것은 성령 안에서 기도하며 영성훈련을 통해 하나님과 밀착되고 비성경적인 유혹으로부터 이격되는 절제의 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상담자의 잘못된 성 행동 예방을 위한 기독교상담적 대처방안으로는 상담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 상담자가 확고한 기독교인간관을 수립하도록 하고 투철한 역할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해야 하며, 관리기관에서는 상담자의 자격유지를 위한 상담윤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Christian counseling ethics on a counselor`s sexual misconduct. The researcher dealt with the meaning and the background of counseling ethics. The researcher also examined the realities and the evil effect of a counselor`s sexual misconduct, cause and weakness of a counselor`s sexual misconduct, and a Christian counselor`s preventive device against sexual misconduct. The definition of sexual misconduct u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sexual intercourse, sexual violence, sexual assault, sexual abuse, sexual harassment, sexual attraction, and various sexual behavior. Counseling ethics deals with a moral and ethical standard, which includes a counselor`s attitude, guideline of conduct in counseling. The cases of sexual misconduct in counseling setting and also in Christian counseling setting have been reported frequently these days. A counselor`s sexual misconduct breaks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Counselors who committed sexual misconduct are mainly male. Counselors should maintain a psychological and physical safety-distance from clients. Also, counseling institutes, such as associations, academies, societies, and graduate schools, in which they issue license of counseling should provide education system and/or curriculum on Christian counseling ethics in detail. One who wants to be a Christian counselor ought to have biblical perspective on human and Christian self-identify.

      • KCI등재

        상담자의 발달수준에 따른 윤리적 행동문제의 이유

        정상화,금명자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2

        This study examined counselors’ ethics-related experience and behavior based on counseling career developmental level and supervision experienc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counselors, and 479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vice counselors reported a lower frequency of ethical issues than counselors with middle and high level of counseling experience. Primary ethical issues identified were related to areas including: qualification courses, personal neglect, counselor anxiety, conflict with institutions, professional judgment, and preparation for improving counseling services. Novice counselors tended to prioritize personal convenience and qualification preparation, while more experienced counselors reported ethical conflicts related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belief in their own professional judgment, and exerting flexibilit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ethics education and follow-up studies by developmental level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들이 윤리적 갈등이나 비윤리 경험의 빈도가 높다고 평가한 상황들에서 윤리적으로 행동하기 어려운 이유들이 무엇인지 확인하였고, 수퍼비전 받은 횟수 또는 상담경력에 따라 초보, 중간, 숙련집단으로 구분하여 그 이유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자격이 있는 상담자들을 심층 면접하여 윤리적 행동문제 이유 질문지를 구성하였고, 이를 479명에게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보집단이 중간 및 숙련집단에 비해 윤리적 행동문제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행동문제의 주요 이유로는 자격증 수련 과정 목적, 개인적 소홀함, 상담자의 불안, 기관과의 갈등 등도 있었지만 전문가로서의 판단, 더 좋은 상담을 하기 위한 준비 등도 있었다. 초보집단은 개인적 편의와 자격증 준비를 우선에 두는 경향이 있었으며 숙련집단은 자신의 전문적인 판단을 믿고 융통성을 발휘하는 과정으로 윤리적 행동문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수준별 윤리교육과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 소수자의 감염병 비밀보장에 대한 법과 상담 윤리적 쟁점 분석

        박지수,허난설,이은수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thical dilemma that emerged from the Itaewon club mass infection case and to analyze the implications for counselors. To this end, counseling ethical codes of Korean and American counseling related associations, and current Korean laws regarding the infectious diseases were analyzed in connection to counseling with sexual minorities. The result shows that in very special cases if sexual minorities have an infectious disease or are at high risk to third parties, the confidentiality can be revoked through careful decision-making. However, the counselor should be careful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as the sexual orientation of the client can be exposed to public disgust and discrimination. Regarding that considerable point, content elements were significantly missing in the code of ethics of Korean academic socities, and there were no separate guidelines or supplementary provisions. Next, an analysis of two current Korean law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in a broader context indicated that no laws stipulated the obligation of counselors to report the specific counseling content but depending on the type and circumstances of the infectious disease, there could be situations in which reporting of the client list was required. However, even if there is no legal obligation to report, the counselor still must warn clients themselves and others of risk based on the professional ethics, which is imprinted through the Tarasoff precedent. In this study, the factual information that counselors can refer to in ethical decision-making situations regarding the confidentiality of infectious diseases of sexual minorities, questions for counselors’ reflection, and information on decision-making step are provid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es. 본 연구는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사태에서 나타난 윤리 딜레마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것이 상담자들에게 어떠한 함의를 주는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치명적인 감염병에 걸렸거나 감염 위험이 있는 성 소수자 내담자와의 상담과 관련하여 국내․외 윤리강령들을 검토하고, 국내의 감염병과 관련된 법률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 소수자가 감염병에 걸렸거나, 감염 위험성이 높은 경우 중 제3자에 대한 위험이 있는 매우 특수한 경우에, 신중한 의사결정을 거쳐 비밀보장을 파기할 수 있으나, 이 과정에서 내담자는 성적 지향이 드러나 혐오와 차별에 노출될 수 있기에 상담자는 다각적인 요소를 고려해 최고의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대해 국내 학회들의 윤리강령들은 누락하고 있는 내용 요소들이 상당히 있었으며, 별도의 지침이나 보조 조항들도 부재하였다. 다음으로 보다 넓은 맥락에서 감염병과 관련된 두 가지의 국내 현행법을 분석한 결과, 경고 의무에 해당하는 상황에 대해 상담자의 신고 의무를 규정한 법률은 없으나, 감염병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내담자의 상담자 방문 사실에 대한 신고가 필요한 상황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법적인 신고의 의무가 없다고 해도, 상담자에게는 Tarasoff 판례를 통해 각인되어 있는 자신과 타인에 의한 위험 경고의 의무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상담자들이 성 소수자의 감염병 관련 비밀보장에 대한 윤리적 의사결정 상황에서 참고할만한 사실 정보들과 상담자 성찰을 위한 질문들, 의사결정 단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교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김도희(Kim, Do-Hee),김희정(Kim, Hee-Joung),지경예(Ji, Kyong-Y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2

        본 연구는 윤리 강령에 따라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Scale for Counselors: EPSES-C)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학교 상담자 집단의 응답을 바탕으로 척도의 타당도를 검토함으로써 위 척도가 학교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상담자 윤리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윤리 규정을 검토하여 총 2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완성하였으며 초․중․고등학교 및 교육청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자 2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표본을 무작위로 나누고 122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나머지 122명의 자료를 통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최종 척도에는 15개 문항이 포함되었으며, 연구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 권리 존중, 상담윤리 이해, 내담자 자살 방지, 전문성 개발, 비밀보장과 관련된 자기효능감을 포함한 총 다섯 가지의 하위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수록 소진이 낮고, 학교 상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상황에서 더욱 바람직한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69에서 .79 사이이며,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90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n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scale for counselors (EPSES-C). Additionally, it review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based on the responses of a group of school counselor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ly applying this scale in schools.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and ethical guidelines regarding the ethics of counselors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based on 27 items. It obtained data of 244 counselo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well as in the Offices of Education in South Korea. Moreover, it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y dividing samples randomly and using data of 122 counselors, in addition to perform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data of the remaining 122 counselors. The final scale included 15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nd the study ensured this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Additionally, the study derived five sub-factors, including self-efficacy related to respect for rights of counselees, the understanding of ethics of counseling, the prevention of suicide of counselees,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nd ensuring counselee confidentiality.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ounselors who had a higher EPSES-C score tended to be less prone to exhaustion. They were also likely to make more ethical judgments in difficult situations during practical counseling in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criterion validity was ensured. Reliability ranged from .69 to .79 with respect to the sub-factors, and as the reliability of all items was calculated to be .90, this study verifie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being effectively applied in schools.

      • 학교상담자의 학교폭력 전담기구 업무와 다중관계 상담윤리 고찰

        우지향(Jee-Hyang Woo)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21 가족과 상담 Vol.11 No.1

        본 논문은 현행 학교폭력 전담기구 업무의 특성으로 인해 학교상담자가 윤리적 갈등상황에 부딪힐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동안 학교상담자의 학교폭력예방 관련 업무에 대해 상담윤리 측면에서 다룬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법률에 규정된 학교폭력 전담기구의 업무와 학교상담자의 다중관계 윤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교폭력 전담기구 업무 수행 시 학교상담자가 부딪힐 수 있는 윤리적 쟁점은 학교폭력 관련 학교상담자 업무의 모호함으로 인한 역할혼선, 다중관계 측면에서 상담자 윤리갈등 촉발, 내담학생과의 상담관계 형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이다. 그 보완책으로 학교상담자의 윤리 민감성 제고와 실천 노력의 강조, 학교폭력 전담기구 업무를 상담윤리에 부합하도록 조정, 학교상담자 업무 세분화를 위한 인력재배치 및 확충, 국가 차원의 학교상담법 제정과 한국 실정에 적합한 학교상담자 윤리강령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학교상담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과 활용이 빈약한 현실에서 학교폭력 전담기구의 업무로 인한 다중관계 윤리 쟁점에 대해 살펴보고 보완책과 실태 파악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했다는 점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This paper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a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of the organization dedicated to school violence, the school counselors may encounter ethical conflict. Until now,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on school counselors work related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terms of counseling ethics. In this regard, the work of the organization dedicated to school violence as prescribed by the law and the counseling ethics of multiple relationships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following are the ethical issues that school counselors may encounter; confusion of roles due to unclear work of school counselors related to school violence, triggering counselor ethical conflicts in terms of multiple relationships, and nega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lients. As a supplement to these issues, not only enhancing the ethical sensitivity of school counselors and emphasizing their efforts to practice them, but also adjusting the work of school counselors related to school violence to meet the counseling ethics, and rearranging and expanding manpower for subdividing the work of school counselors are suggested. Also,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School Counseling Act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de of ethics for school counselor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are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view is that, in the reality that the recognition and use of the code of ethics for school counseling is poor, the issue of multi-relationship ethics arising from school violence-related work was examined, and supplementary measure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인공지능 상담의 윤리적 이슈와 대안

        송용섭 ( Song¸ Yong Sup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49 No.-

        본 논문은 공감적 인공지능상담가의 등장이 초래할 수 있는 윤리적 이슈들을 분석하고 덕윤리적 입장에서 대안을 제시하려 한다. 첫째, 본 논문은 공감적 인공지능 상담가와 인간 내담자 사이에 전이 또는 역전이가 발생할 경우 심리 및 행동통제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둘째, 인공지능상담가와 인간 내담자의 상담시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윤리적, 법적 책임 소재의 여부가 논쟁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은 이를 판단하기 위한 선제적 연구와 기준을 마련할 것을 주장한다. 셋째로, 본 논문은 인공지능 상담시에는 내담자의 민감한 사적정보가 기록 및 분석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수준보다 높고 철저하게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윤리적 이슈들에 대응하는 방법들은 주로 윤리 강령을 제정하는 것이며 국내에서도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 윤리기준’을 마련하였지만, 이러한 윤리 강령들에는 제한점이 많고 인공지능 개발에 있어서는 초기 단계에서만 유효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공지능 상담가의 개발과 이에 따른 윤리적 이슈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윤리강령의 제정과 실행에 그치지 말고, 덕윤리적 관점을 채용하여 도덕적 또는 덕을 함양한 공감적 인공지능 개발을 지향할 것을 주장한다. 이때, 본 논문은 종교적인 덕을 포함하는 공감적 인공지능이 더욱 효과적이고 윤리적으로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This paper analyzes ethical issues that the emergence of empathic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ors can lead to and presents alternatives from virtue ethics. First,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issue of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trol may arise when transference or countertransference occur between empathetic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ors and human clients. Secondly, if problems are expected to arise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ors and human clients, it is argued that preemptive measure should be established to determine ethical and legal responsibilities. Third, it is argued that in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ing, sensitive private information of the clients will be recorded and analyzed, so it is imperative to seek ways to enhance privacy protection higher than usual cases. While some possible ways to respond to ethical issues are to establish a code of ethics in general, the code of ethics has some limitations and is likely to be valid only in the early stag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prevent the ethical issues that may arise from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ors, it is necessary to employ virtue ethics to the development of moral or virtuous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ors. This paper estimates that empathic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ors that develop religious virtues, may be more effective and ethically sound, which are able to respond to various problematic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